• Title/Summary/Keyword: 전문직 종사자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EEG Responses and Olfactory-related Occupations (천연향 자극에 대한 향 관련 종사자들의 EEG반응)

  • 강인형;민병찬;진승현;전광진;성은진;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28-131
    • /
    • 2002
  • 향 관련 직업을 중심으로 한 연구에는 유기 화학적 냄새에 폭로된 종사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작업환경 개선을 주된 목적으로 실시되어져왔으나 천연향 자극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관련 전문직과 화장품 판매직을 대상으로 100%의 basil oil, lavender oil, lemon oil, jasmine oil, ylang-ylang oil (KIMEX co. Ltd, Korea), skatole (TAKASAO co. Ltd, Japan)등 6종 향 자극에 대한 EEG, 주관평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전문직에서 선호도가 높은 향은 Fz와 F3에서, 선호도가 낮은 향은 P4에서 $\alpha$/$\beta$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상호 정보량에 대해서는 두 직업 모두 선호도가 낮은 향에 대한 상호 정보량이 선호도가 높은 향에 비해 더 많았다. 특히 화장품 관련 전문직에서는 전두엽의 상호 정보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판매직과 비교하여 전문직은 천연향 자극이 감성효과가 아닌 외부자극에 대한 고차원적 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 영역과 관련된 지성효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Legal Study on the Provision of Financial Services Professionals and the Policy Implication for Korea -Based on the UK Financial Services and Markets Act Systems- (전문직종사자의 금융서비스 제공에 관한 법적 고찰과 국내 시사점 -영국 금융서비스 및 시장법 체계를 바탕으로-)

  • Park, Tae-Jun;Park, Chang-Wook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5 no.3
    • /
    • pp.81-93
    • /
    • 2016
  • UK "FSMA" provides a safe harbour for members of professions, which are lawyers, accountants, and actuaries in their provision of certain financial services, despite the general prohibition, the professions carry on exempt regulated activities. In particular, DPBs(designated professional bodies), which professional bodies are designated by the Treasury, must have rules and have to supervise and regulate their members those activities by rules. Also, the FSA must keep itself informed about the role of DPBs, and may make directions concerning the safe harbour in relation to particular classes of persons of different descriptions of regulated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Korea "FSCMA" explicitly except provision of financial services by professions to investment adviser without regard to mainstream financial services activities or incidental activities. Under "FSMA", if the professions conduct provision of financial services as mainstream activities, they must be authorized person and even if their activities is incidental, they have to comply with exemption sections. Therefore, there is a need of prepare the legal safeguards about provision of financial services by professions for the investor protection.

  • PDF

Information needs and research behaviour of legal professionals in Korea (한국 법률전문직 종사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

  • Hong, Myung-Ja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6
    • /
    • pp.291-331
    • /
    • 1997
  • 법치주의 사회에서는 개인적으로 혹은 단체의 입장에서 모두 법률정보를 필요로 하지만, 특히 법률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사회적 임무와 역할이 법률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더욱 강하게 법률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들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법률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 시스템은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에 적합하도록 즉 이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내용을 수록하며, 이용자의 연구습관 및 연구행태 등을 고려하여 마련하여야 하므로, 법률전문직 종사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에 관한 조사는 적절한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선결조건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법률전문직을 두 집단 즉 실무가 (판사, 검사, 변호사)와 학자(법학교수)로 나누어, 각 집단의 법률정보에 대한 태도, 정보요구와 이용행태의 패턴 및 법률정보원에 대한 태도에 관하여 조사한후, 두 집단의 정보에 관한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무가와 학자 모두 그들의 연구를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것은 인쇄 자료로서의 판례집과 법령집이다. 그러나 이들 자료중에서 주로 이용되는 자료는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2) 실무가와 학자 모두 일차자료들의 수록범위, 수록내용, 검색방법 등에 관하여 만족을 못하지만, 특히 검색방법에 대한 불만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용자는 일반적으로 특정 주제어에 의하여 필요한 법률정보에 접근하기를 원하지만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한다. 3) 두 집단은 그들의 역할이 각기 다르므로 따라서 선호되는 법률정보의 종류에 대한 순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4) 도서관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두 집단은 상이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학자들의 과반수는 중요 정보원으로서 자신의 개인장서를 활용하며, 도서관의 장서 및 그 조직방법에 대해서도 별로 만족하지를 못하고 있다. 반면에, 실무가들은 도서관에 대하여 비교적 만족하며 따라서 도서관에 대한 이용도도 높다. 5) 두 집단 모두 보조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으며 사서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볼 때 법률전문직을 둘러싼 정보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인쇄된 일차적 정보자료의 검색방법등을 개선하고, 나아가서는 법령과 판례정보를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며,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요구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잇는 도서관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가장 중요한 것은 법과대학과 사법연수원에서 법학 연구방법에 관한 강좌를 개설하여 각종 법률정보원의 활용 내지 도서관 이용방법에 관하여 교육하는 것이다.

  • PD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Ethics in the Technological Era (기술공학시대에서 전문직의 정체성과 윤리의 문제)

  • Jeong, Yeon-Jae
    • Journal of Ethics
    • /
    • no.77
    • /
    • pp.281-300
    • /
    • 2010
  • Professional ethics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from scholarship in comparison with its practical needs. Professional ethics as an independent study of ethics is still underdeveloped in the sense that there is no theoretical uni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ead to the fundamental importance of the professional ethics. More specifically, this article aims at clarifying the unified view of professional ethics through the detailed analysis of professionalism. Therefore, The main themes of this article are professionalism, conflicts between duties of professional roles and those of ordinary morality, the boundary of professional authority, the foundations of professional values and obligations, and the character of professional responsibility. The conclusion which is drawn from this study can be briefly stated as follows. Professionalism is an important social category, and professional should not isolate themselves from the public sphere. Thus, professional ethics that contains positive ethical standards should be built upon the basis of 'shared responsibility' which stimulate professional's moral commitment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utual information analysis of EEG during odor stimulation classified with occupations (향 자극에 따른 직업별 뇌파의 상호 정보량 분석)

  • 민병찬;강인형;진승현;전광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05-20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단순노무직, 판매직, 전문직에 종사하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100%의 basil oil, lavender oil, lemon oil, jasmine oil, ylang-ylang oil (KIMEX co. Ltd, Korea), skatole (TAKASAGO co. Ltd, Japan)등 총 6가지 종류의 천연향에 대한 두뇌의 정보량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상호 정보량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전문직에서는 상호 정보량의 유의한 변화가 전두엽 사이(F3F4)에서 나타난 반면, 단순노무직과 판매직에서는 전두엽(F3F4), 두정엽(P3P4), 측두엽(T5T6) 사이에서 모두 나타났다. 두 직종과 비교하여 전문직이 주로 외부 자극에 대한 고차원적 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영역의 정보량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인 것은 향을 전문적으로 구분하고, 확인하는 그들의 직업적 특성을 반영한 결과라 추측된다. 또한, 단순노무직과 달리, 전문직과 판매직은 선호도가 낮은 향에서 상호 정보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향 관련 종사자들의 선호도와 상호 정보량간의 관련성을 시사하였다.

  • PDF

Living as expatriate wives/mothers: Balancing work and family issues among Korean working women in Singapore (체류자 아내/어머니로 살아가기: 싱가포르 거주 한국인 기혼 직장 여성의 일과 가족 양립 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Kim, Jeehun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1 no.1
    • /
    • pp.217-248
    • /
    • 2011
  • 이 글은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한국인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영구 이민이 아닌 체류이주 맥락에서 일과 가족 양립 문제의 어려움과 그 대응전략을 살펴보는 탐색적 질적 연구이다. 지난 십여 년간 꾸준히 증가한 해외 거주 한국인 중장기 체류자(sojourner)의 수는 2007년 기준으로 1백5십만 명을 넘어섰다. 그 중 상당수는 한국계 기업 파견 직원('주재원')이나 비한국계 다국적기업 혹은 현지기업 종사 이주자로 파악된다. 고학력 전문 기술직 이주자(highly educated professional/high skilled migrant)에 대한 연구가 매우 드문 한국의 맥락에서, 전문 기술직 체류자 중심으로 이주 한국인 사회가 구성된 싱가포르는 전문 기술직 이주자의 일과 가족 양립 문제뿐만 아니라, 체류자 사회(expatriate community) 전반적인 연구의 중요한 대상지로서의 장점이 크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체류자로서 외국에서 일하며 살아가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특히, 이러한 맥락에서 기혼 여성의 일은 어떠한 의미를 지니며 어떠한 대응전략을 마련하는가?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07년 사이 수행한 전일제 전문직종 종사자, 파트타임 종사자, 전업주부 등 자녀를 둔 26명의 기혼 여성에 대한 심층면접 자료에 근거하여, 아내이자 어머니로서의 일과 가족 양립에 관한 체험적 경험(lived experience)을 탐색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일제 전문직 종사자의 경우 가정친화적 근무 환경을 갖춘 직장으로의 이직, 남편과의 야간근무 조정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전략들을 채택하였다. 파트타임 종사자의 경우 과거 한국에서 전일제 근무를 경험하고 현재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유가 있는 경우는 전일제 근무로부터 벗어나는 '일시적 행복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비교적 경제적 여유가 없는 경우, 어머니 역할 부족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러한 어머니로서의 역할은 친지를 비롯한 한국어 구사를 할 수 있는 가사 보조 네트워크가 결핍된 체류이주 맥락에서 일하며 살아가는 것에서 있어, 비교적 쉽고 저렴하게 가사노동자를 고용하더라도,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보조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을 확인시켜준다.

Professional Nursing Quality Assurance (전문직 간호의 질적보장)

  • Kim, Hea-Sook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2 no.2
    • /
    • pp.248-259
    • /
    • 1992
  • 질적 보장은 전문직 종사자에 의하여 수혜받는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질적보장을 통하여 전문직의 자율성과 책임을 튼튼히 할 수 있는 의무는 전문직 종사자 모두의 관심사가 되어야 한다. 미국에 있어서 질적 간호에 대한 관심은 이제 새로운 이유가 아니다. Beyers(1988)는 건강체계 지도자 사이에 가장 중요한 문제로 강조하는 것이 수혜자의 이용의 용이성(Access), 숫가(Cost) 그리고 질적인 제공(Quality)이 라고 피력 하였다. 미국 건강사업 평가자와 조정자(Regulator)들은 질(Quality)을 위한 자율적인 프로그램에 많은 에너지를 투입하여 전반적인 건강사업 즉 의료계의 질보장, 더 나아가서는 간호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한 많은 프로그램을 분석 연구한다. 이 논문은 간호에 있어서 질적 보장을 위한 내용으로 주요점은 질적 보장에 사용되는 용어, 역사적 배경, 질적 보장을 강조하는 이유, 질적 보장제도의 개발, 질 사정(euali assessment)과 질적 보장에 있어서 간호 전문직 개입을 차례대로 설명하였다. 구미의 경우 1970년대부터 간호직에 있어서는 질적보장제도개발에 우선순위를 두게되어 미 간호협회에서는 Professional Standards Review Organizations (PSRO)에 근거하여 간호실무를 위한 표준을 내어놓았다. 질적보장을 위한 평가방법으로 구조, 과정, 결과 그리고 수혜자가 간호계획을 세우는데 사정에 참여하는 방법 등 4가지를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질적 보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문직과 공공의료기간이 서로 협동체가 되어 중추역할을 해야함을 강조하고 이렇게 서로 협력하므로써만이 비로서 우리의 목적을 성취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구 등이 이용된다. $^{166}$ Ho, $^{198}$ Au, $^{32}$P, $^{90}$ Y, $^{169}$ Er, $^{186}$ Rc, $^{131}$ I, $^{211}$ At 등 의 방사성 핵종의 교질, 미소구 또는 단세포군 항체표지 형태로 직접 종양내 또는 공동이나 체강에 투여하는 치료법이 있다. 류마치스 관절염의 슬관절에 $^{165}$ Dy colloid를 주사하는 $^{166}$ Ho-MAA도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and computed groundwater levels. 본 논문에서는 가파른 산사면에서 산사태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수문학적 인 지하수 흐름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물리적인 개념에 기본하였으며, Lumped-parameter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지하수 흐름 모델은 두 모델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비포화대 흐름을 위해서는 수정된 abcd 모델을, 포화대 흐름에 대해서는 시간 지체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선형 저수지 모델을 이용하였다. 지하수 흐름 모델은 토층의 두께, 산사면의 경사각, 포화투수계수, 잠재 증발산 량과 같은 불확실한 상수들과 a, b, c, 그리고 K와 같은 자유모델변수들을 가진다. 자유모델변수들은 유입-유출 자료들로부터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Gauss-Newton 방법을 이용한 Bard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서울 구로구 시흥동 산사태 발생 지역의 산사면에 대하여 개발된 모델을 적용하여 예제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지하수 흐름 모델이 산사태 발생

  • PDF

The Effect of a Yoga Program on the Stress Levels of Professionals (요가 프로그램이 전문직 종사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Oh, Heesun;Lee, Insook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v.9 no.1
    • /
    • pp.36-44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yoga program on perceived stress, stress response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professional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intervention study. The participants were 47 adults with professional jobs consisting of an experimental group with 23 adults and a control group with 24 adults. The duration of the yoga program was eight weeks from July 4 to August 30, 2012.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stress response score after the yoga program. No significant changes in perceived stress and heart rate variability were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perceived stress, stress response scale, and heart rate variability for some participants whose stress levels were high. Conclusion: An eight-week-long yoga program could be considered as an intervention to decrease the stress response of professionals even though it might not reduce their perceived stress and heart rate variability. To further analyze the effects of a yoga program in professionals, changes in intervention strength (such as longer periods and frequency) and the development of physiological measures, which would show the co-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physiological response, are necessary in future studies.

  • PDF

Demand Prospect of Professional Workers in Execution of the Elderly's Long-Term Care Insurance -Nurse, Social Welfare, Care Probation Professional workers-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 실시에 따른 전문직종사자의 수요 예측 -간호사,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 Park, Myung-Sun;Kang, Sang-Mok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17 no.3
    • /
    • pp.423-44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pare the department creation and the staff increase of education institution by forecasting the demand of health and welfare workers according to execution of the elderly's long-terms treatment insurance system in July, 2008. We estimated confirmors of the elderly's long-terms treatment and the demand of professional workers of health and welfare field due to the increase of care insurance users in facilities treatment organization, care at home service facilities, and family allowance facilities for 2010-2030. The numbers of social welfare professional worker are estimated as 16,624 workers in 2020 and 24,688 workers in 2030. The numbers of nurses are forecasted as 11.287 in 2020 and 16,624 in 2030, we expect that the increase of the demand be accelerated. The demand of necessary care probation worker is 44,824 in 2009, but we already trained over around 500,000 workers in 1,078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one year in Aug. 31, 2009, which excesses over the numbers of workers demanded as much as 10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