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력 손실

Search Result 1,98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ransformer Losses Caused By Current Harmonics (전류 고조파에 의한 변압기 손실 해석)

  • Jang, Seungyong;Han, Sanghoon;Choi, Jae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512-513
    • /
    • 2015
  • 최근 다양한 형태의 비선형 부하가 계통에 연계됨에 따라 이러한 부하에 적절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변환장치의 보급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력변환장치들은 전력용반도체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동작하기 때문에 전류의 고조파를 발생시키고, 이때 발생하는 고조파는 변압기의 손실을 증대시키고 역률을 저하시키며 온도의 과도한 상승을 유발하여 결국 변압기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과열을 방지하면서 비선형 부하에 적절하게 연계하기 위하여 전류 고조파에 의한 변압기에서의 손실을 해석한다.

  • PDF

Calculation and Allocation of Transmission Loss Under Competitive Power Industry System (경쟁적 전력산업체제에서 송전손실에 대한 계산과 분배)

  • Hahn, T.K.;Kim, J.H.;Kim, S.S.;Park, J.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c
    • /
    • pp.1334-1336
    • /
    • 1999
  • 전력산업의 구조개편으로 기존의 한국전력 독점체제에서 다수의 전력회사로 나누어 질 것이다. 따라서 손실과 공급의 신뢰도 확보 등의 책임분배와 비용분배의 문제가 새로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손실에 대한 비용의 경우 계산법과 이러한 비용을 분배하는 방법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전력산업구조개편이 이미 이루어진 선진국들의 손실비용의 처리방법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손실에 대한 비용계산 방법을 모의 시스템에 각각 적용시켜보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A Basic Study on the Optimal Method of Loss Management in the Distribution System (배전계통의 손실관리 최적 방안에 관한 기초 연구)

  • Kim, Mi-Young;Rho, Dae-Seok;Kim, Jae-Eon;Kim, Kwa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1a
    • /
    • pp.144-146
    • /
    • 2003
  • 최근 석유공급의 불안정과 에너지 소비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에너지 절약사업이 주요 시책으로 추진 중에 있으며, 전력사업에서도 에너지 절감이라는 차원뿐만 아니라 경영에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로 전력손실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다. 특히, 전력시장 자유화라는 흐름 속에서 전력손실 문제는 전기요금의 산정에 있어서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관심 사항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배전손실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배전사업자가 배전망을 효과적으로 운용하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전력공급 전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Loss Calculation Algorithm by Equipments in Distribution System (배전계통에 있어서 설비별 배전손실 산정 알고리즘 개발)

  • Kim Mi-Young;Rho Dae-Seok;Hong Seung-M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06a
    • /
    • pp.123-126
    • /
    • 2004
  • 최근 석유공급의 불안정과 에너지 소비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에너지 절약 사업이 주요 시책으로 추진 중에 있으며, 전력사업에서도 에너지 절감이라는 차원뿐만 아니라 경영에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로 전력손실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다. 특히, 전력시장 자유화라는 흐름 속에서 전력손실 문제는 전기요금의 산정에 있어서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관심사항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배전손실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배전사업자가 배전망을 효과적으로 운용하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전력공급 전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 PDF

Lossless snubber for high power density modular power converter (고 전력밀도 모듈형 전력컨버터를 위한 무손실 스너버)

  • Shin, Jung-Min;Kim, Su-San;Park, Chul-Wan;Kweon, Gie-Hyoun;Heo, Tae-Won;Ryu, Dong-Kyun;Choi, Heung-Gyoon;Kim, Hugh;Han, Sang-Ky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271-272
    • /
    • 2015
  • 본 논문은 무손실 스너버 회로를 적용함으로써 스위치의 온/오프 시 발생하는 스위칭 손실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출력 다이오드의 역 회복 특성을 개선하여 보다 향상된 효율을 갖는 강압형 컨버터를 제안한다. 또한 스위칭 손실을 줄여 고 주파수 구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전원회로의 고 전력밀도 구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안된 무손실 스너버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이론적 분석과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 PDF

Efficiency analysis of the power conversion system in a hybrid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DC operating voltage level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에서 직류 전압 수준에 따른 전력변환시스템의 효율 분석)

  • Lee, Jin-Hyeok;Back, Sung-Hoon;Kim,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139-14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73kW IPMSM으로 구동되는 직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구동시스템에서 직류 전압의 운영 수준에 따른 전력변환시스템의 효율을 분석하였다. 여러 직류 전압 수준에 대한 배터리, 커패시터 및 3상 인버터의 손실을 PSIM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여 효율을 알아보았다. 직류 동작 전압을 증가시키면 배터리와 커패시터에서의 손실은 감소하지만, 인버터의 손실은 도통 손실과 스위칭 손실의 변동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분석 결과로 $300V_{dc}$에서 $600V_{dc}$로 직류 전압 운영 수준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전력변환시스템의 효율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AC Loss in the Two-parallel Solenoid Coil using Multi-stacked conductors (적층형 도체를 이용한 2병렬 솔레노이드 코일의 교류손실 연구)

  • Hwang, Young-Jin;Choi, Suk-Jin;Chang, Ki-Sung;Ko, Tae-K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820_821
    • /
    • 2009
  • 전력기기는 일반적으로 상용주파수인 60 Hz의 교류 전원하에서 운용된다. 따라서 고온초전도체를 전력기기에 응용하는데 있어 교류전류나 교류자장에 의한 교류손실 발생 문제는 전력기기의 경제적 운용과 관련하여 중요하게 부각되어 왔다. 또한 고온초전도체에서 발생하는 교류손실은 에너지의 열적 변환으로 인한 냉동부하 문제와도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기기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서도 반드시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다. 특히 변압기와 같이 유도형 권선이 필요한 전력기기의 경우에는 무유도 권선 형태가 적용되는 다른 전력기기에 비해 교류 손실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를 줄이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계전류와 인덕턴스의 크기는 동일하지만 권선 형태를 다르게 할 수 있는 유도형 솔레노이드 코일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제작된 솔레노이드 코일의 병렬연결 구조를 달리하여 각각의 구조에 대한 교류손실의 차이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고온초전도 선재를 이용한 솔레노이드 코일에서 교류손실을 줄이기 위한 구조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of Two Parallel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Configurations (병렬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컨버터의 비교 분석)

  • Lee, Hyunji;Kim, Katherine An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48-49
    • /
    • 2017
  •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현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불균일한 태양빛 조건에서의 전체 시스템 발전량 감소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module-integrated converter (MIC), dc optimizer,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DPP) 등 다양한 컨버터가 연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DPP 컨버터는 낮은 전력변환 손실로 높은 시스템 효율을 얻을 수 있어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보통 그리드 연결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에 적용되는 직렬 DPP의 경우,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병렬 DPP의 경우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front-end 컨버터의 존재 유무에 따른 두 가지 병렬 DPP 컨버터 배열을 비교 분석 하였다. Front-end 컨버터가 적용된 병렬 DPP 컨버터 배열의 경우, dc 전압과 태양전지의 전압 차이를 최소화해 전력 변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front-end 컨버터에서 추가적인 전력 변환 손실이 발생한다. Front-end 컨버터가 없는 경우, dc 전압과 태양전지의 전압차이가 커 DPP 컨버터에서 발생하는 전력 변환 손실이 커진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 아래 효율적인 병렬 DPP 컨버터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consideration on a 10 kW hybrid energy system (10 kW 하이브리드 에너지 시스템 설계 고려사항)

  • Han, Sangtaek;Park, Jungpil;Ishikawa, T.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78-7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및 리튬 이온 배터리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계통 연계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스위치 손실을 그 기준으로 삼았다. 따라서, 두 가지 종류의 회로구성에 대해 손실 예측 비교를 사용하였다. 전력 반도체의 스위칭 손실 및 도통시 전류, 전압 관계를 모델링 하였고 시물레이션을 이용해 손실 예측을 하였다.

  • PDF

Study on the Power Loss of High Frequency Mn-Zn ferrites (고주파 Mn-Zn ferrites 전력손실에 대한 고찰)

  • 서정주
    • Resources Recycling
    • /
    • v.11 no.5
    • /
    • pp.34-38
    • /
    • 2002
  • To minimize the size of transformer volume, the operating frequency of ferrites cores increasing. The power loss of Mn-Zn ferrites comprises hysteresis loss, eddy current loss and residual loss. In the range more then 500 KHz, the total power loss is mainly due to the residual loss. The power loss increase with the frequency 3rd power. To minimize residual loss as well as eddy current loss, the microstructure should have small grain and high density, It should be noted that as the product of resonance frequency and static permeability increase, the power loss decrease at high frequency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