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력 관리 시스템

Search Result 1,23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Harmonia:A framework for System Level Power Management (Harmonia:시스템 차원의 전력관리 프레임워크)

  • Rim, Jong-Ho;Cha, H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814-816
    • /
    • 2005
  • 모바일 기기의 성능 향상 및 서비스의 고품질화에 따라 한정된 전력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임베디드 시스템 전력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전력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부분적인 컴포넌트 전력관리 기법보다 시스템 차원의 전력관리 기법 필요하다. 또한 시스템 차원의 전력관리 기법은 컴포넌트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전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차원의 전력관리 기법에 대한 효율적인 연구수행을 지원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프레임워크는 개별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상황에 맞는 전력관리 정책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수집된 정보는 컴포넌트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자료가 됨을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 PDF

A Prototype of Demand Response System for Reducing Electric Power Load (전력수요관리를 위한 Demand Response시스템 구현)

  • Heo, Byeong-Mun;Ko, Jong-Min;Kim, Young-Il;Song, Jae-Ju;Ryu, Ke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132-137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전력기기의 사용량증가에 따른 전력량 부족으로 전력공급확보에 필요한 인원, 자재, 비용 등의 부족과 발전연료비용의 상승, 전력발전에 따른 $CO_2$배출량증가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력관리시스템(Demand Response System)을 제안한다. 전력관리 시스템은 전력사용자와 전력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전력확보와 수요를 관리하기 위한 전력절감 이벤트, 전력사용량 모니터링, 분석 등의 기능을 통하여 전력수요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더 나아가 전력소비 관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전력생산량 감소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Operation of Voltage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FACTS (FACTS를 고려한 전압관리시스템의 운영)

  • Nam, Su-Chul;Baek, Seung-Mook;Song, Ji-Young;Shin, J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424-425
    • /
    • 2011
  •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에서는 2005년 전력IT 과제인 "전력계통 무효전력 관리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전압관리시스템(VMS, Voltage Management System'을 개발하여 시범사업지역인 제주지역에 설치,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에 참여하여 2013년 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전압관리시스템은 발전기 등의 순동무효전력원을 제어하여 계통 전압을 유지하는 중앙집중형 전압/무효전력 제어기이다. 이와 함께 한국전력공사에서는 제주지역의 전압/무효전력 특성 개선을 위하여 신제주변전소, 한라변전소에 각각 50MVA급 STATCOM을 설치하여 2011년 하반기부터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STATCOM 설비는 국부적인 전압/무효전력 개선을 위한 순동 무효전력원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앙집중형 전압/무효전력제어기인 전압관리시스템과 국부적인 전압/무효전력제어기인 STATCOM과 병렬 운전 에 따른 효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 PDF

Applying Responsive Web Design to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반응형 웹 디자인을 적용한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 Kim, Kyu Ri;Lee, Hyun Ju;Na, Hyung Seon;Jung, Hwa Young;Lee, Yong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421-424
    • /
    • 2013
  •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전력 문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가 건물의 전력 소비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전력 소비량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과거, 현재, 미래의 전력 소비량을 통계 자료로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전력 과부하 발생을 방지하였다. 그렇지만 기존의 시스템에 반응형 웹 디자인을 적용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며 온도 변화에 따른 전력 소비량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부하 예측을 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반응형 웹 디자인을 적용하여 여러 모바일 기기로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건물을 관리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건물에서 유지되어야 할 목표 온도, 건물 전력 소비량에 대한 과거 데이터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통하여 부하 예측을 하고, 다양한 전력 소비량 통계 자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효율적인 건물 에너지 관리를 할 수 있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Operation and Management Supporting System for Power Telecommunication Network Using Knowledge Database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전력통신망 운용 관리 지원시스템 설계 및 구현)

  • Oh, Do-Eun;Park, Myoung-Hye;Sung, Gi-Hyeok;Lee, Jin-Kee;Cho, Sun-K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d
    • /
    • pp.2794-2796
    • /
    • 2002
  • 기업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안정된 망 운영관리 환경 제공은 당면한 중요과제이며 기업 경쟁력의 핵심인 정보기술을 통한 생산성과도 연계성을 갖고 있다. 특히 전력통신망의 경우 전자메일, 회계관리, 전자결재, 도면자료관리 등의 데이터 통신망에서부터 IBM 온라인, 사내 방송망, 전력계통설비 원방 제어용 시스템들 간을 연결하는 EMS, SCADA 등 전력 수급용 전용 통신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통신망이 구축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업환경에 따라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많은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들이 도입되어 운영되었으나 이들 관리 시스템들은 모니터링에 의한 통계값 제공과 같은 단순 평면적인 관리 기능만을 제공한 뿐 네트워크의 특성과 환경에 따른 분석, 진단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네트워크 관리자는 보다 손쉬운 방법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하고자 하며, 보다 지능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한다. 하지만 관리 시스템이 모든 네트워크에 대해 효율적이고 지능적인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는 매우 어려우며 이는 장기간의 관리 네트워크의 특성과 트래픽 형태를 파악한 후에나 가능하다. 결국 지능적이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는 네트워크의 특성과 함께 이전에 관리자에 의해서 내려졌던 관리 행위 및 의견 그리고 조치에 대한 이력정보를 학습하고 있을 때만 가능하다. 본 논문은 전력통신망을 대상으로 전력통신망이 지닌 네트워크 특성을 반영하며 네트워크 운영 과정에서 축적된 관리자의 의견과 이에 대한 조치를 지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지능적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기반 시스템으로써 전력통신망 운용 관리 지원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향후 지식 정보를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논리적인 추론을 통해 관리 네트워크를 지능적이고 자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확대 개발될 것이다.

  • PDF

The development of Power Utility Management System by using RFID (전파식별장치를 이용한 전력설비관리 시스템 개발)

  • Lim, Yong-Hun;Hyun, Duck-Wha;Lee, Beom-Seok;Choi, Hyo-Yul;Gwak, Kwi-Y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471-147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RFID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에 EPC 오브젝트 관리 시스템을 소개하였다. 기존의 전력설비 관리방법에 사용되었던 관리대장은 수작업에 의존함에 따라 오류발생으로 관리자나 사용자 모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RFID시스템을 이용한 전력량계 관리시스템을 EPCNetwork 표준 Middleware를 이용함으로써 생산에서부터 가정 설치에 이르기까지 추적 관리가 가능하며 오브젝트 정보를 PC나 PDA를 통하여 확인 할 수 있다. RFID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는 향후 센서기능까지 확대 적용이 된다면 전력산업 유비쿼터스 실현에 중요부분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 PDF

A Multi-Dimensional System Power Management Incorporating DVS and DRS (DVS와 LCD 재생 프레임률 제어에 기반한 시스템 전력 관리)

  • Choi, Jin-Uk;Cha, H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757-759
    • /
    • 2005
  • 배터리의 용량이 제한적인 핸드헬드 시스템에서의 전력소비를 절감시키기 위한 동적전압변경 기법에 관련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프로세서나 LCD 같은 각각의 요소에 기반을 둔 저 전력 정책들은 전력절감에 있어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력관리의 대표적인 기법인 프로세서 DVS와 LCD 재생 프레임 빈도 제어를 통합한 다차원 전력관리를 시스템 전력관리 차원에서 제시한다. 실제 시스템에서의 구현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다차원 동적전압변경 기법이 멀티미디어 응용에 있어서 단일 요소의 전력관리보다 시스템 차원에서의 부가적 전력 절감을 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Real Time Pricing based User Selection Demand Response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실시간 가격 고지 기반의 사용자 선택 수요반응 연동 홈 전력관리 시스템)

  • Kim, Hyo Seong;Hwang, Kwang Il;Choi, Seok Jun;Shim, Byoung Sup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241-24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가정의 전력 사용에 따라 실시간으로 전력요금을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발적인 전력관리를 수행하는 수요반응 연동 홈 전력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시스템은 수요반응 연동을 통한 사용자의 전력소비 패턴을 이용해 자발적인 전력관리를 하여 저 전력으로 유지되며 응답시간을 줄였다. 또한 에너지 소모와 사용자의 전력 관리 요청의 반응 속도에 대한 실험을 통해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A Study on Fault Management For Power Telecommunication Network Using Operation Knowledge Database (네트워크 운영경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전력통신망 장애관리에 관한 연구)

  • 오도은;성기혁;이진기;조선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48-150
    • /
    • 2002
  • 기업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안정된 망 운영관리 환경 제공은 당면한 중요과제이며 기업 경쟁력의 핵심인 정보기술을 통한 생산성과도 연계성을 갖고 있다. 특히 전력통신망의 경우 전자메일, 회계관리, 전자결재, 도면자료관리 등의 데이터 통신망에서부터 IBM 온라인, 사내 방송망, 전력계통설비 원방 제어용 시스템들 간을 연결하는 EMS, SCADA 등 전골 수급용 전용 통신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통신망이 구축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업환경에서 통신망의 장애는 기업의 엄청난 손실을 야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장애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장애관리시스템들은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장애에 따른 결과를 받아서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보고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는 장애가 발생한 사실만을 관리시스템을 통하여 통보 받을 뿐 장애에 대한 해결은 관리시스템과 별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전력통신망을 대상으로 전력통신망이 지닌 네트워크 특성을 반영하며 네트워크 운영 과정에서 축적된 네트워크 운영자의 의견과 이에 대한 조치를 지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지능적인 장애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The CPU power management technique in the Mobile Embedded System (Mobile 임베디드 시스템의 CPU 소모전력 관리 기법)

  • Kim, Wha-Young;Kim, Young-K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1
    • /
    • pp.170-176
    • /
    • 2009
  • The efficiently power management is an important requirement traditionall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ich uses battery as their power source. Especially, it has been emphasized in the most devices, which has to provide high performance and various functions with an extended operating time. In this article, the adaptive power management technique for the core CPU unit in Embedded systems used widely for the mobile system thanks to its advantage on power consumption and physical size, is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