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력 계통

Search Result 3,912,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산업공장의 전력계통분석

  • 홍순경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10 s.202
    • /
    • pp.27-36
    • /
    • 1993
  • 전력계통의 분석은 첫 번째로 특수조건하에서 기존 또는 계획된 전력계통의 성능을 예측 하거나 개선하는데 사용되는 기술로서, 이 기술을 산업체의 전력계통에 적용할 때 안정성, 신뢰성, 고품질의 전력 그리고 초기투자와 운전비의 절감과 같은 전력계통 설계의 목적을 달성 하는데 크게 공헌하게 된다. 산업체의 전력계통 분석은 주로 단락사고, 보호설비의 협조, 전력조류, 전동기의 기동, 접지, 과도적 과전압, 역률개선, 기타의 설계 등을 위한 계산이 포함된다. 전력계통 분석은 전력계통을 신설 또는 개조할 때는 물론이고 기존시설의 부하나 용량이 현저하게 변경되었을 때 또는 기존시설의 고장을 진단할 때에 반드시 실행되어야한다.

  • PDF

전력계통에 있어서의 계층제어시스템

  • 송길영
    • 전기의세계
    • /
    • v.25 no.1
    • /
    • pp.39-44
    • /
    • 1976
  • 전력계통은 근년에 와서 한층 더 대규모 복잡화되고 전기의 질적향상에 대한 사회적 요청도 날이 갈수록 더욱 더 높아져 가고 있다. 이와같은 정세하에서 전력계통을 원활하게 효율적으로 운용해 나기기 위하여서는 보다 고도한 계통운용기술이 필요하게 되어 이미 실시하고 있는 주파수-유효전력제어, 전압-무효전력제어를 주체로 한 자동급전의 영역을 더 넓혀서 여기에 전력계통의 신뢰도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신뢰도제어까지 포함시켜 나갈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한편에서는 생력화를 주목적으로 하여 개별적인 제어의 자동화 및 집중제어가 촉진되어 제어용전자계산기의 도입과 더불어 제어소의 규모도 확대화될려고 하고 있다. 이와같은 배경에서 중앙급전지령소의 운용으로부터 말단의 발변전소의 조작에 이르기까지의 일괄된 전력계통운용을 펴나가기 위한 전력계통종합자동화가 추진되고 있으나 이들의 제어시스템의 대세로서는 점력계통이 가지는 계층제어시스템의 적용을 지향하고 있다. 본보고에서는 그동안 수년간에 걸쳐 일본 전기학회 급전상치산문위원회가 금후의 전력계통종합자동화의 지표와 그 실현을 위한 기술적 기초의 확립을 목적으로 하여 전력계통에 있어서의 계층제어시스템에 관하여 조사연구한 내용을 집약, 정리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heory and Application of SVC (Thyristor제어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기(SVC)의 원리 및 응용)

  • 윤성병
    •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 /
    • v.22 no.3
    • /
    • pp.14-20
    • /
    • 1989
  •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단위기의 용량 및 전력계통의 규모가 대형화되어 지속적인 안전운전이 계통운용의 최우선 과제가 되였으며, 신뢰도향상 및 계통간전력수급의 원활한 융통을 위하석 계통간의 연계는 물론 다계통간의 다중연계에 이어 국가간의 연계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전력계통의 대형화 및 연계화 추세에 따라 계통 무효전력 조류의 신속한 조절과 속응전압조정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그 응용이 확산되고 있는 Thyristor제어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기(이하 SVC라 칭함)의 원리, 특성, 응용 및 계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ower System Stabilizing Scheme (전력계통 안정화 방안 연구)

  • Kim, Yong-Jin;Lee, Kang-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1a
    • /
    • pp.390-392
    • /
    • 2006
  • 대규모 전력계통인 한국전력과 154kV 송전선로로 연계되는 석유화학공장 전력계통에 작은 용량의 자가발전기가 병렬운전 되는 경우이다. 전기사고로 한국 전력과의 연계 송전선로가 개방되어 석유화학공장 전력계통이 단독으로 분리되면 발전이 수요에 크게 못 미치게 되어 급격한 주파수 저하 및 과도한 전압강하가 나타나고 이로 인하여 발전기가 정지되어 공장 전체가 정전에 이르게 되는 사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대규모 전력계통과의 연계선로 개방으로 나타나는 과부하 상태에서 주파수 안정화 및 전압강하에 대처할 수 있는 부하차단 또는 계통 분리로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고, 단시간 전압강하 상태에서도 효과적으로 전력계통 안정화가 지속될 수 있는 방안 등을 전력계통 동특성 해석도구를 이용하여 모의하고 이를 실제 전력계통에 적용코자하는 사례 연구이다.

  • PDF

Comparison of Voltage Regul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Reactive Power Control Strategies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Systems in Transmission Grid (재생 발전원의 무효전력제어 전략에 따른 송전망 전압상승 완화 효과 비교)

  • Kim, Soo-Bin;Song,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41-43
    • /
    • 2019
  • 송전망에 장거리 지중선로로 재생 발전원이 연계되는 경우, 지중선로의 커패시턴스 성분으로 인한 계통으로 무효전력 주입이 발생하여 전압상승을 야기시킬 수 있다. 또한 재생 발전원의 발전량 조절의 어려움은 경부하시 전력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계통의 전압상승을 심화시킬 수 있다. 계통의 전압상승은 계통의 신뢰도를 저하시키고 계통운영에 어려움을 수반한다. 이러한 전압상승은 무효전력보상을 통해 완화가 가능하다. 인버터 기반의 재생 발전원은 무효전력제어 제어 정밀도가 높고 빠르게 제어가 가능하여 계통의 전압상승 완화에 좋은 솔루션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송전망 계통에서의 전압상승 완화를 위한 재생 발전원의 무효전력제어기술을 설명한다. 재생 발전원의 무효전력지원에 따른 전압상승 완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atlab을 활용하여 송전망 전압상승 및 재생 발전원의 무효전력지원을 모의하였다. 계통 모델에는 영광의 태양광 및 풍력 발전소와 주변 계통의 파라메터를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Analysis of EMS NETWORK Topology Algorithm (EMS NETWORK Topology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 Yu, Hyun-Jung;Choi, Young-Min;Kim, Min-Bae;Kim, Kwang-Ho;Park, Yong-Jo;Kim, Sung-Ha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1b
    • /
    • pp.69-71
    • /
    • 2007
  • 최근 들어 전력 계통은 점차 복잡해지고 계통의 규모 역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한국전력거래소는 전력계통의 안정적, 경제적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으로 '01년 현재의 에너지관리시스템(EMS)를 도입하여 실시간 전력계통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기반으로 전력계통의 안정성과 경제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EMS의 대표적인 기능은 계통데이터의 수집(SCADA), 자동발전제어(AGC), 계통해석(NA) 등으로 대별되며, 이중 계통해석 기능은 프로그램 규모면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계통해석 기능은 또다시 상태추정(SE), 상정사고분석(CA), 안전도해석(SENH), 고장해석(SCT)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실시간 계통해석을 수행하게 된다. 전력계통 해석은 먼저 대상계통을 수학적 모델로 정식화하기 전에 계통망의 기하학적 구조를 기술하는 단계가 필요한데 이를 토폴로지 처리라고 하며, 보통 그래프이론인 노트(Node)와 마디(Branch)를 사용하여 전력계통망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연결관계를 정의하게 된다. 본고는 이론적 수준을 넘어 EMS의 계통해석 기능에서 실계통을 해석하기 위해 쓰이고 있는 토폴로지 처리의 기본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국내 전력산업 기술 선진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Operating System Design of Superconducting Power Equipment for compatibility with SCADA (이천 초전도시범사업관련 SCADA연계를 통한 초전도 전력기기 운영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 Cho, Heung-Sang;Yang, Byeong-Mo;Park, Jin-Woo;Mun, Bong-Soo;Lee, Sung-Woo;Hong, Jeong-W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782-783
    • /
    • 2011
  • 국내의 전력수요는 지속적으로 성장 하고 있으며, 더불어 전력산업도 대용량화, 고밀도화하고 있고 전력계통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고장전류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파급도 점차 증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친환경 및 고신뢰도의 전력계통을 갖추도록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와 한국전력공사는 친환경적인 초전도 케이블과 초전도 한류기라는 신기술을 전력계통에 적용하여 운전함으로써 녹색기술의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미래 전력산업을 선도하고자, 국내최초로 초전도 전력기기 실계통 적용을 위하여 이천 변전소 초전도 시범사업을 정부지원으로 한국전력이 주관하고 제작업체가 참여하는 방법으로 추진하고 있다. 성공적인 초전도 전력기기의 실계통 적용을 위해서는 초전도 전력기기에 대한 실계통 운영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한데, 본 논문에서는 이천변전소에서 설치 운영될 22.9kV 초전도케이블과 22.9kV 초전도한류기의 실계통 병입과 관련하여 국내전력계통에서 운영하고 있는 SCADA 시스템과 호환할 수 있도록 계통운영자 관점에서 설계한 국내최초 초전도기기 실계통 운영모니터링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he Study on The Data Reliability for Korean Power System (우리나라 전력계통 데이터의 신뢰도에 관한 고찰)

  • Ahn, Jae-Seung;Son, Yun-Tae;Lee, Chang-Gy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1b
    • /
    • pp.3-5
    • /
    • 2007
  • 전력계통의 특징은 살아있는 생명체간이 유기성을 가지고 있고 전력의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경인지역에 전력수요가 집중되어 있고 타 전력계통과 연계가 어려워 독립된 계통으로 운영되고 있다. 2001년 이후 전력시장이 전력계통과 동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데이터의 신뢰도는 더욱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전력계통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친 있으나 전력계통 데이터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계통에서 데이터의 신뢰도와 그 중요성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전력계통 데이터의 부정확으로 인한 데이터의 신뢰도 저하시 전력계통에 미치는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고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 PDF

전력계통 시뮬레이터와 전력기술

  • 권태원;윤용범
    • 전기의세계
    • /
    • v.42 no.8
    • /
    • pp.12-17
    • /
    • 1993
  • 전력계통은 전력회사만이 갖고 있는 특유한 시스템으로써 우수한 계통해석 기술자를 양성하려면 그분야에 폭넓은 지식과 경험을 쌓아가는 것이 중요하며 이들에 대한 기술력의 향상은 전력회사 자신의 책임으로서 이를 위하여는 전력계통 시뮬레이터가 필수적인 수단이라 하겠다. 본 설비는 워낙 가격이 고가이고 전력계통 전분야에 활용이 기대되는 장비라는 점을 고려하여 설계단계에서 면밀한 검토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위해서는 설비의 규모라든가 기본기능 설정에 있어서 국내의 학계, 산업체, 연구소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의기구를 만들어 활용하는 방안이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또한 본 설비의 효과적 활용 및 운전을 위하여 [계통해석 그룹]과 같은 조직을 발족시켜 건설단계 부터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건설후에는 그 조직을 [해석센터]로서 체제를 강화해나가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전력계통 안정도 해석을 위한 부하모델링의 연구동향

  • 이종범
    • 전기의세계
    • /
    • v.37 no.5
    • /
    • pp.43-51
    • /
    • 1988
  • 산업의 급속한 발달에 따른 전력수요의 증가로 말미암아 전력계통은 점점 대형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전력계통은 해석, 계획 및 운용면에서 더욱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부하와 전원중심지가 서로 원격거리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서는 이러한 공급신뢰도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계통 안정도에 대한 연구가 면밀히 수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서는 계통의 동특성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계통에 유입되는 어떤 외란에 대한 해석적인 연구결과가 실계통의 응답과 일치하도록 하는 계통의 모델링 및 해석기법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