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력설비관리

Search Result 40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development of Power Utility Management System by using RFID (전파식별장치를 이용한 전력설비관리 시스템 개발)

  • Lim, Yong-Hun;Hyun, Duck-Wha;Lee, Beom-Seok;Choi, Hyo-Yul;Gwak, Kwi-Y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471-147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RFID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에 EPC 오브젝트 관리 시스템을 소개하였다. 기존의 전력설비 관리방법에 사용되었던 관리대장은 수작업에 의존함에 따라 오류발생으로 관리자나 사용자 모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RFID시스템을 이용한 전력량계 관리시스템을 EPCNetwork 표준 Middleware를 이용함으로써 생산에서부터 가정 설치에 이르기까지 추적 관리가 가능하며 오브젝트 정보를 PC나 PDA를 통하여 확인 할 수 있다. RFID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는 향후 센서기능까지 확대 적용이 된다면 전력산업 유비쿼터스 실현에 중요부분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 PDF

유지관리 개념과 전력부하의 유지관리

  • 신효섭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00 no.4
    • /
    • pp.36-42
    • /
    • 1999
  • 최근 건축물을 비롯한 여러 시설물에는 쾌적성, 기능성, 편리성, 안정성의 요구에 응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첨단설비가 도입되고 있다. 이들 첨단설비 중 전력부하 설비가 양적으로 가장 많이 설치되는 경향으로 건출물에나 시설물에 설치되는 전력 부하설비가 사람이나 다른 장비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여 이에 대한 유지관리는 더욱더 중요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mplementing a Power Facility Management Services using RFID/USN Technology (RFID/USN 기술을 이용한 전력설비관리 서비스 구현)

  • Kim, Young-Il;Shin, Jin-Ho;Song, Jae-Ju;Yi, Bong-Jae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5D no.2
    • /
    • pp.263-270
    • /
    • 2008
  • Research of ubiquitous computing becomes more popular topic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technologies. Firstly, research and development on RFID focuses on manufacturing and retail sectors, because it can improve supply chain efficiency. But, it changes to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by adding a sensor and wireless network technologies on it. In this research, we design and implement the electric facility management service framework to collect real time information of electric facility using RFID/USN. In electric power industry, it is important the supply of energy must be guaranteed. So many power utilities control and supervise the transmission line to avoid power failures. Utilities install many types of sensor to monitor important facilities by wired network such as optical cable and PLC. In this research, we develop the sensor node which is small, easy to install and using wired network. We design the service framework for electric facility management to collect data using RFID tag, reader and wireless sensor nodes and implement the electric facility management service.

전력수요관리와 수요개발기기 보급지원제도-1

  • 봉수균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189 no.5
    • /
    • pp.52-58
    • /
    • 1998
  • 지금까지 전통적으로 추진되어 온 공급측면 위주의 전력수급 정책은 예측된 전력수요에 효율적인 공급설비를 확충하는 것으로 이루어져왔으나 전력수요관리는 예측된 전력수요를 경감 또는 평준화함으로써 신규공급설비의 투자를 회피 또는 지연시키고 기존설비의 이용효율을 높여 전력공급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하여준다.

  • PDF

전력계통 해석

  • 이강완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19 no.11
    • /
    • pp.28-36
    • /
    • 2000
  • 오늘날 전력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는 가정, 사무실 및 산업체 등 전력수요 전반에 걸쳐 전력품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다양한 전기설비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컴퓨터를 비롯한 정보관리시스템, 산업체 공정제어설비, 에너지관리시스템, 전자현금취급기 및 안전시스템 등은 전력품질 상태에 따라서 데이터 또는 기억내용 상실, 자료 송수신 오류 및 설비 손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 PDF

Study on The WEB GIS System Development of the Distribution Facilities Management (공가설비 관리용 WEB GIS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Dong-Yeop;Kim, Dong-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229-23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배전 공가설비인 통신케이블 및 기타 통신설비의 관리에 있어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Web GIS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통신망은 세계적으로 관련 컨텐츠 사업의 시험무대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광범위하고 빠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빠른 통신망의 확장은 에너지의 근간인 전력망을 활용하고 있기에 가능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바로 기존 전력설비에 수많은 통신 회선이 공가 되어 운영되어 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공익성을 우선시하여 운영되어지고 있는 전력사업과 그동안 정보통신사업 육성이라는 정부시책이 맞물려 통신사업자의 빈번한 공가설비 신설 요청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무엇보다 통신사업자들의 무분별한 경쟁으로 최근 무단 공가설비가 늘어남으로써 전력회사는 통신공가설비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GE에너지사의 SIAS(Samllworld Internet Application)를 이용하여 기존에 한국전력에서 운영하고 있는 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공가 관리 시스템과 상호연동 될 수 있도록 해주는 Web GIS 기반의 배전 공가설비 정보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하여 연구 하게 되었으며 이를 운영함으로써 각 통신 사업자들 간의 정보공유와 무단 통신 공가 설비의 근절 및 보다 효율적인 공가설비 운영이 가능 할 것이다.

  • PDF

Construction of ERP-based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Power System Components (ERP기반의 전력계통 구성요소 PLM 체제 구축)

  • Yoo, Chol-Hwan;Lee, Jong-Won;Han, Hyun-Gyu;Choi, Yang-Hu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5-16
    • /
    • 2007
  • 장기 송변전설비계획 수립 및 최적 계통운용을 위한 각종 검토업무를 위해서는 현재 운영중인 기설 전력계통 구성요소와 함께 향후 건설예정 설비의 전력계통 구성요소에 관한 제반자료가 필수적으로 소요되며, 이들 자료에 대한 정합성 및 통일성 유지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에서는 이러한 자료가 활용목적 등의 차이로 인해 부서별로 관리대상이 다르며, 자료의 수집 및 관리업무가 전통적인 수작업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업무 능률성, 자료갱신 적시성, 자료의 정확성 측면에서 개선해야할 과제로 여겨왔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한전의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 구축과정에서 송변전설비 전력계통 구성요소 관리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 단편적인 자료 관리기능이 아니라, 설비의 계획으로부터 건설, 운영,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해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수명주기관리)기법을 적용하여 해당분야에 획기적인 개선을 이룩한 사례를 기술하였다.

  • PDF

Research On Improving Renewable Power Trading Method (신재생에너지 전력 거래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Park, Jae-Gyun;Yi, So-M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14-1315
    • /
    • 2011
  • 태양광 발전설비 등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원을 활용한 발전설비는 설치면적이 넓은 편이어서 도심 거주지역에는 대용량을 설치 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원거리의 도서지역 등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발전설비를 보유한 사용자들의 실질적인 혜택을 위하여 발전설비를 통해 생산한 전력과 거주지 등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실시간 요금제 및 전력의 양방향화를 통해 사용자들이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사용자별 전력생산과 전력소비의 시간대별 관리를 수행하고, 효율적인 전력사용이 이뤄지도록 하여 신재생에너지원에서 발전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전력수요관리를 위한 원격부하제어시스템 개발

  • 윤갑구;문홍석
    • 전기의세계
    • /
    • v.44 no.6
    • /
    • pp.27-36
    • /
    • 1995
  • 인구증가와 경제성장 및 문화발전에 수반하여 전력수요는 증가되고 사용시간과 장소가 집중되는 경향이다. 따라서 계절별, 일형별, 시간별, 지역별로 부하차이가 심해지고 부하율이 저하한다. 종래와 같이 예측되는 전력수요 곡선을 왜곡(distortion)시키지 않고 그대로 충족시킬 수 있는 설비를 계획하고 건설하여 운용하는 공급관리(SSM:Supply Side Management)에 의존할 때는 설비증설과 투자비가 증가하고 설비이용율이 저하하며 운전유지비가 증가하여 전력단가가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지구환경을 해롭게 하는 CO$_{2}$ 배출량이 증가한다. 이러한 실저에서 설비투자비와 운전유지비를 절감하고 환경보전을 하기 위하여 수요곡선의 모양을 개선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최근 세계적 추세는 부하관리와 효율향상 등으로 수요곡선 모양을 개선하는 수요관리(DSM:Demand-Side Management)에 치중하고 있다. 여기서는 전력수요고나리의 효과적 방법으로서 이른바 원격부하제어(RLC: Remote Load Control), 일명 직접부하제어(Direct Load Control)시스템으 개발기술을 검토한다. 개발코자 하는 RLC시스템은 일시정지시켜도 지장이 적은 수용가의 부하를 주기적으로 공급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가변부하조성(Flexible Load Shape)을 하는 것이다. 가변부하조성은 필요시 운전예비율을 공급자와 수요자가 분담함으로서 전력수급의 안정을 도모하고 사회적 공급 지장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Telecommunications Management Network for Power Utility (전력통신망 통합 관리방안 연구)

  • Park, Myung-Hye;Yoon, Jun-Cheol;Hyun, Duck-Hwa;Kim, Won-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d
    • /
    • pp.2571-2573
    • /
    • 2004
  • 기존 망관리구조와 달리 차세대 망관리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개념으로는 QoS관리, 망관리 분산화가 고려된다. 이에 핵심적 차세대 망관리구조의 핵심요소는 SLM(Service Level Management),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이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TMN 관리표준 업무처리 절차를 수립하여 이를 시스템화하여 솔루션으로 공급하고 있으나, 국내실정에 적합하지 않으며, 특히 전력분야에 적합한 전력통신망 통합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표준 업무처리전차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전력 산업분야의 전력통신망 통합관리를 위한 표준절차의 부재로 기존 투자된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함에 있어 어려움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향후에 확장 도입되는 Management 솔루션에 있어서 불필요한 중복투자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으므로 체계적이며 표준화돤 관리체계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통신 설비별로 운용중인 다수의 NMS 통합 및 유지관리용 전산설비와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한 최적의 전력통신 망 종합관리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전력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연구과제와 관련하여 차세대 전력통신망 관리방안에 대해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