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력생산

Search Result 1,13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선박에너지 효율향상을 위한 하이브리드 전력시스템

  • Lee, Heon-Seok;Son, Na-Yeong;Gang, Yeong-Min;O, Ji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90-92
    • /
    • 2016
  • 대형 선박은 선박에 안정적은 전력공급을 위해 다수의 발전기를 설치하여 운항한다. 그러나, 선박 운항 특성상 운항조건에 따라 필요 전력량의 차이가 크다. 이에 따라 선박 내 발전기 저부하 운전 및 발전기 운전대수에 따라 발전기 전력생산 효율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내 전력시스템(발전기 기반)에 이차전지를 적용함으로써 선내 전력생산 효율을 높이고자 기존 선박 전력시스템에 이차 전지를 적용한 전력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 Computation of Efficient Generation Voltage for Reactive Power Market (무효전력시장 구축을 위한 효율적인 발전전압 결정에 관한 연구)

  • Jung, Seung-Wan;Song, Sung-Hwan;Yoon, Yong-Tae;Moon, Seun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11b
    • /
    • pp.201-20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먼저 유효전력 시장과 무효전력 시장을 분리하여 운영한다는 가정하에서 발전기의 무효전력 생산을 위한 최적의 전압값을 산정하고자 한다. 유효전력 시장에서 경제 급전(Economic Dispatch)을 통해 발전기의 유효전력 생산 비용을 최소화시키는 최적의 유효전력량 결정원리를 응용하여, 무효전력 시장에서의 발전기의 무효전력 생산 비용을 최소화시키는 최적의 발전기 전압 profile을 결정하는 무효전력시장 구축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 알고리즘에는 기본적으로 주효전력-전압의 조류방정식과 목적함수로서 무효진력 비용의 최소화 문제, 그리고 부하측 전압과 관련된 부등식제약조건의 선형화 문제 등이 포함된다. 이렇게 산출된 발전전압에 의한 무효전력의 가격은 실제 전압제어에 의한 가격산정이라는 측면에서 그 의미를 찾아볼 수가 있다.

  • PDF

해양시설물용 하이브리드 전력생산시스템 기술 개발

  • O, Ji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78-280
    • /
    • 2011
  •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해양시설물이 운용된다. 대부분의 해양시설물은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독립전원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해양시설물 내부에 통신장비와 제어시스템이 늘어나 전력소모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늘어난 수요전력을 충족하기 위하여 태양광 발전과 파력 발전, 풍력 발전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력생산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An Analysis on the Causality between Production Activity and Electricity Consumption in Manufacturing Sector (제조업 생산활동과 전력소비 간의 인과관계 분석)

  • Lim, Jaekyu;Kim, Jong-I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3 no.2
    • /
    • pp.349-364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Granger causality between power consumption and production activity in manufacturing sector, by using error correction model. It found that there exists the connection between power consumption and production activity in manufacturing sector. By reflecting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it found not only the bilateral causality (power consumption ${\leftrightarrow}$ production activity) in power non-intensive industry, high value-added industry and low value-added industry, but also one-way causality (power consumption ${\rightarrow}$ production activity) in power-intensive industry. These results imply that power demand management policy focusing on efficiency improvement is necessary primarily to minimize negative impacts on production activity, and also stable power supply system is required to meet the increase of power demand.

전력산업 전자거래(CALS/EC) 체계

  • 김상진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8.10b
    • /
    • pp.565-575
    • /
    • 1998
  • ㆍ 건설, 발전, 송ㆍ변전 영ㆍ배전 등 전력생산 전과정 ㆍ 전력사업관련 업체ㆍ기관들과 발생하는 모든 업무 ㆍ CALS/EC의 적용 원칙 - 전력생산수급활동의 본원적 기능 수행분야 $\longrightarrow$독립지원분야 $\longrightarrow$기초지원분야 $\longrightarrow$전사관리분야로 적용분야 확대(중략)

  • PDF

전력산업 전자거래(CALS/EC)

  • 김상진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9.07a
    • /
    • pp.313-326
    • /
    • 1999
  • o 건설, 발전, 송ㆍ변전, 영ㆍ배전 등 전력생산 전과정 o 전력사업관련 업체ㆍ기관들과 발생하는 모든 o CALS/EC의 적용 원칙 - 전력생산수급활동의 본원적 기능 수행분야 $\longrightarrow$ 독립지원분야 $\longrightarrow$ 기초지원분야 $\longrightarrow$ 전시관리분야로 적용분야 확대(중략)

  • PDF

Development of Hydrogen Production Technology from Coal Gasification (석탄가스화 수소생산 기술개발)

  • Kim, Jae-Sung;Lee, Jong-Min;Kim, Dong-W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62-465
    • /
    • 2007
  • 석탄가스화 수소생산 기술 분야는 석탄 등의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고온, 고압하에서 반응가스(산소, 수증기, 수소)와의 화학적 반응을 통해 생산된 연소성 가스 ($H_2$, CO, $CO_2$ 등)를 전환반응(WGS) 및 분리반응을 거쳐 효율적으로 청정하게 수소를 생산해 내는 기술이다. 전력산업에서 석탄가스화 수소생산은 그 사용 방법(연료전지, 수소 터빈, 분산 이용 등)에 따라 발전시스템의 고효율화를 지향하고, zero-emission을 실현하는 첨단 발전 시스템의 종합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더불어, 도래하는 수소 경제로의 전이에 대비에 석탄을 이용한 중앙(Central) 수소생산 시스템을 구현하여 이송 및 전환을 통한 지역적 분산 이용을 가능케 하는 종합적인 인프라를 구축하는 기술이다. 본 기술에는 석탄가스화 기술, 수성가스 전환기술, 수소/$CO_2$ 분리기술, 이송용 연료 전환기술 등이 포함된다. 석탄가스화 수소생산 기술은 급등하는 오일 가격과 이의 수입사용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안보 대책 마련 및 효율 극대화의 필요성과 더불어, 전력산업에서 화력 발전시스템의 궁극적 실현 목표인 고효율, 초청정의 전력생산 시스템의 구현을 가능케 하여, 향후 화석 연료를 이용한 미래 발전 기술을 선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수소 경제로의 전환 시 수소 수요의 급팽창에 대비한 경제적인 대규모 수소생산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에 기술 실현성이 가장 높은 석탄가스화 수소생산 기술의 개발 구현이 요구된다.

  • PDF

최근 전력기술의 진보

  • 대한전기학회편집부
    • 전기의세계
    • /
    • v.13 no.2
    • /
    • pp.66-68
    • /
    • 1964
  • 전력기술은 전력의 생산, 수송, 배급, 이들에 필요한 기구의 성능 또는 설비계통, 즉 전력계통의 계획, 운용기구설비의 설계, 제작의 광범위에 미치나, 여기에서는 특히 전력의 생산과 운송, 즉 발전과 송변전 관계에 대하여 간단히 기술하여 보겠고, 원자력발전에 대하여는 차기회로 미루겠다. 전력기술의 최종목표는 공급점에서의 전력 cost의 저감에 있으나, 전력의 공급은 공익적이며 공공적인 성격이 강한것이므로 그 공급의 확보, 공급조건(전압, 주파수등)의 유지, 공공보안, 타기업과의 합리적 협조등을 유지하면서 cost down이 목표이므로 이를 대분하면 광의의 원가의 저감, 공급의 확보, 보안의 유지 등이라 볼 수 있으며, 전력 cost는 자본비, 연료비, 일반경비로 구분할 수 있다.

  • PDF

Estimating the Environmental Benefit of the Hydropower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조건부가치평가법을 이용한 수력발전의 환경가치 추정 연구)

  • Choi, Hanju;Ryu, Mu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30-130
    • /
    • 2015
  • 전력부문은 전력생산 및 공급과정에서 다양한 환경피해를 유발하는 등 사회적으로 많은 비용을 야기하고 있으나, 생산원가 위주의 현재의 전력가격 책정방식은 환경비용 등의 사회적비용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는 최적의 발전원구성 및 사회적으로 효율적인 전력공급의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주요 발전원에 대한 환경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주요 발전원의 전력생산을 수력발전으로 대체하는 것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추정하였다. 조건부가치평가법을 적용한 결과, 원자력발전, 석탄화력발전, 가스화력발전 대비 수력발전은 상당히 높은 환경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력의 도매거래 시 수력발전의 친환경적 가치를 반영하여 향후 적절한 가격을 보장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