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략적 의도

검색결과 950건 처리시간 0.026초

자동차시장의 위기 유형과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소비자 태도와 부정적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Influences of Crisis Types and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on Consumers' Attitudes and Negative Behavioral Intentions in the Auto Market: in the Cas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 육하늘;최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94-307
    • /
    • 2020
  • 세계 자동차산업은 제품 결함, 비윤리적 기업경영과 같은 다양한 위기를 겪어왔다. 본 연구는 세계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동차기업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위기책임성, 위기유형과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기업태도, 부정적 커뮤니케이션 의도, 불매운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중국인 학생 1,600명을 대상으로 2(위기책임성: 고·저) × 2(위기유형: 기업 능력/사회적 책임감) × 2(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 수용/방어) 설계 실험을 실시하였다. 높은 위기책임성과 사회적 책임감 위기유형은 비호의적 기업태도, 높은 부정적 커뮤니케이션 의도와 불매운동 참여의도로 연결되었다. 위기책임성과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은 유의한 상호작용을 보였다. 위기책임성이 높을 경우에는 수용 전략이 방어 전략보다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나 위기책임성이 낮은 경우에는 전략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감 위기 경우에는 위기책임성에 상관없이 전략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기업 능력 위기경우에는 위기책임성이 높을 때 수용 전략의 효과가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앱 사용 및 추천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Utilitarian vs. Hedonic 유형간 차이비교 (Exploring Determinants Affecting Mobile Application Use and Recommendation)

  • 이희서;곽나연;이중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81-494
    • /
    • 2015
  • 모바일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다양한 앱의 등장은 기존 스마트폰 사업자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간의 경쟁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다양한 스마트폰 앱의 유형별 사용 및 추천의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해진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UTAUT 모형에 성과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화와 신뢰성을,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플로우를 추가하여 스마트폰 앱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앱의 유형을 실용적인 성격의 앱과 엔터테인먼트적인 성격의 앱의 두 가지 대비되는 유형으로 나누어 스마트폰 앱 수용에 관해 각각의 앱 특징에 따라 영향의 차이를 검정하여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신뢰, 개인화가 성과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성과기대, 노력기대가 스마트폰 앱의 사용의도와 사용행동 및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용앱과 엔터테인먼트 앱의 유형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의 사용목적과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가 스마트폰 앱 개발자, 이동통신사, 기업 등의 앱 제작과 서비스제공, 마케팅 등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기업역량(CA)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품태도의 매개효과와 기업명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SR and Corporate Ability on Purchase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roduct attitud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rporate reputation -)

  • 양승광;송유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2호
    • /
    • pp.1-21
    • /
    • 2018
  • 전경련의 '윤리경영현황 및 CSR 추진 실태 조사결과'에 의하면 국내 기업의 약 95%가 윤리 강령을 제정하고 있는 반면 CSR 추진과정에서 이해 관계자와의 소통 및 대화를 위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기업은 64%에 불과하여 윤리경영 도입 현황과 대비해 볼 때 국내 기업의 전략적 CSR은 아직까지 완전히 정착되지 않은 것으로 보여 진다. 비록 기업체에서 CSR을 전략적으로 수행한다고 해도 해당 기업의 CSR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수준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그것은 CSR이 소비자의 인식에 미치는 심리적 매카니즘이 너무 복잡하고 세밀하여 연구자의 조사 방법에 따라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기도 하지만 부정적인 결과가 나오기도 하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까지 CSR이 기업 평가나 구매 의도, 기업 이미지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수많은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CSR과 CA가 제품 태도를 매개로 하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기업이 가지고 있는 기업역량(CA)이 각각 소비자가 인식하는 제품 태도를 매개로 하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아울러 제품 태도와 구매의도 간에 기업 명성의 조절 효과를 실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 기업중 과거 10년간 CSR을 수행해 온 삼성 등 4개 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고, 이 기업들이 수행하는 CSR과 CA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CSR과 CA는 제품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제품 태도는 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CSR과 CA가 소비자의 제품 태도를 매개로 구매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제품 태도와 구매 의도 간의 관계에서 기업의 명성이 조절 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소비자들이 기업이나 그 기업의 제품을 대하는 태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CSR을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할 필요성과 동시에 기업의 역량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시켜 주고 있으며 이론적 시사점으로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는 차별적으로 소비자의 제품 태도의 매개 효과와 기업 명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CSR과 CA가 소비자의 제품 태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했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포털사이트에서 이메일 서비스의 전환의도에 영향를 미치는 직접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rect and Contingency Factors Affecting Customer Switching Intension of E-mail Services in Portal Sites)

  • 김기문;이정우;남상민;이호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115-136
    • /
    • 2005
  • 최근에 인터넷 포털 기업들은 기존 고객을 유지하고 신규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이메일 용량 증대를 앞다투어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이 사이트 이동에 따른 고객 전환비용의 발생 때문에 성공적일지는 확실치 않다. 따라서 그들의 전략이 실효성이 있을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는 용량 증대로 인한 이메일 서비스의 고객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 요인들과 상황적 요인들을 검토한다. 연구 결과는 대안의 매력, 전환비용, 고객 만족 모두가 이메일 서비스의 고객 전환의도에 상당한 직접적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안의 매력은 고객 전환의도에 대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환비용은 어떠한 조절 효과도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인터넷 포탈 기업들의 공격적인 용량 증대 전략은 고객 베이스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

융복합 관점에서 임상간호사들의 감정노동, 직무소진, 사회적 지지, 이직의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Burnout,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 Practitioners in terms of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 김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331-342
    • /
    • 2016
  • 의료기관에서의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은 많은 관심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 전략들은 의료기관을 포함한 조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간호사를 중심으로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감정노동, 직무소진, 그리고 이직의도의 영향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소자승법에 의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병원경영전략을 제시하면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인적자원관리 분야의 전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간호사들이 느끼는 사회적 지지는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영향관계에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임상간호사들이 느끼는 사회적 지지는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의 영향관계에서도 또한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조직의 인사관리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소진과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등의 심리적 요인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병원조직 운영에 경영학과 심리학의 융복학적 인사관리를 통해 효율적인 병원조직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창업기업의 전략적 제휴와 성과간의 관계에 미치는 혁신 역량강화 투자활동의 영향

  • 한상연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9-183
    • /
    • 2021
  • 창업기업의 성과는 창업가 개인의 역량 뿐 만 아니라 네트워크 등 기업가 정신이 발현되는 모든 영역의 요소들이 작용한다. 재무적 자원에서부터 기업의 기능별 역량과 자원에 이르기까지 충분하지 않은 창업기업들은 전략적으로 기업이나 대학과 같은 외부 주체들과의 제휴를 추진하여 성과향상을 의도할 수 있다. 전략적 제휴와 기업 성과 간의 관계는 전략경영분야에서 오랫동안 다루어져 온 연구 주제였다. 다만, 창업기업이라는 한정된 역량과 자원 상황에서 창업 기업이 실제로 이러한 전략적 제휴를 통해 재무성과를 향상시키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기업의 전략적 제휴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그러한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혁신역량 강화활동으로서 R&D투자와 교육훈련 투자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창업기업이 보유한 인적 여유자원(slack resource)의 역할도 함께 규명하여 창업기업의 전략적 제휴와 관련한 행동적 특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기업이 전략적 제휴를 통해 보다 나은 성과향상을 위한 투자로서 다양한 혁신역량 강화활동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유통업체 브랜드(PB)의 성공전략

  • 서용구;우경아
    • 유통비즈니스리뷰
    • /
    • 3호
    • /
    • pp.55-6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할인점 자체 브랜드(PB)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관련 요인에 관한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테스트해보았다. 그 결과 식품과 가전 모두 PB에 대한선호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구매의도의 경우 식품과 비식품이 다른 경로를 보이고 있었다. 식품 PB의 경우 소비자의"가격의식"과"혁신성"이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가전 PB의 경우"가치의식"과"품질격차"가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식품과 비식품의 유통업체 PB 마케팅이 각각 차별화 되어 접근되어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말해준다.

  • PDF

서비스 유형의 조절 효과에 따른 기업의 고객감동과 행동 의도의 관계 (The Moderating Effect of Service Type on the Customer Delight-Behavioral Intention Relationships)

  • 김미정;윤주옥
    • 서비스연구
    • /
    • 제9권4호
    • /
    • pp.81-95
    • /
    • 2019
  • 고객만족은 모든 서비스 기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주제 중 하나이다. 모든 서비스 기업은 고객을 감동시켜야 하는가? 어떤 서비스 환경에서 고객감동을 창출하는 것이 보다 나은 결과를 이끌어내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감동과 충성도의 관계에서 서비스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자료의 수집은 두 상이한 서비스 환경(소매 은행과 고급 레스토랑)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설 검정을 위해 다중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객감동은 실용적 서비스보다 쾌락적 서비스에서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 모두에 더 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객감동 전략이 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고객감동 전략은 쾌락 및 실용적 서비스 모두에서 적용될 수 있지만, 쾌락적 서비스에서 충성적인 고객행동을 이끌어내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서비스기업은 고객감동전략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비스기업이 효율적으로 자원을 관리하고 배분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감동 전략의 수립과 실행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고객의 충성도를 행동과 태도의 두 가지 차원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행동적 충성도는 실제 구매 비율이나 방문 빈도 등의 자료를 토대로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연구에서는 고객감동이 고객충성도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변화하는지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공유가치창출(Creating Shared Value)에 대한 소비자인식 및 수용과정에 따른 소비자혜택과 참여의도에 관한 연구 (Consumer Benefit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reating Shared Value(CSV) Based on Consumer Perception)

  • 황혜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13
    • /
    • 2018
  • 공유가치창출은 기업의 수익과 경쟁중심적 전략에서 벗어나 기업의 활동이 사회적 가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하는 경영전략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업의 공유가치창출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어떠하며 이러한 기업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도는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가치창출전략의 실천가능성에 대해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실천가능성인식, 혜택인지가 소비자의 공유가치창출활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공유가치창출활동의 실천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기업혜택인지의 수준을 높이고 이것이 다시 소비자혜택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가 직접효과에 비해 더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혜택과 소비자혜택에 대한 인지수준이 소비자의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기업측면에서의 실용적인 성과를 높게 인지할 때, 그리고 이러한 기업혜택이 소비자혜택으로 연결된다고 여겨질 때 참여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캐주얼의류 구매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의도에 관한 연구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Purchasing Imported Casual Clothing)

  • Park, Hye-Jung;Kitty G. Dickerso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791-1803
    • /
    • 2002
  • 국내 수입 캐주얼의류시장은 계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행동을 예측하는데 그들의 태도(Attitude)와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을 고려하는 theory of reasoned action (Ajzen & Fishbein & Ajzen, 1975)에 의거하여 구매의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위하여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총 89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평균, 표준편차,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는 수입 캐주얼의류에 대한 구매 의도가 낮았으며, 이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유의적인 결정 변수였다. 또한 주관적 규범이 태도보다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더 중요한 결정 변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류에 대한 소비자 행동의 문헌에 기여함과 동시에 국내 마케터(local marketer)와 국제 마케터(international marketer)의 마케팅전략 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시하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