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략산업

Search Result 5,81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design management of the design industry and 10 strategic industr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부산광역시 10대전략산업과 디자인산업의 디자인경영에 관한 연구)

  • Park, Kwang-Cheol;Cho, Kyoung-Seop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0 no.4
    • /
    • pp.293-314
    • /
    • 2011
  •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position of future strategy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management in relation to 10 strategic industries implemented through 3 steps based on promising growth and advancement of Busan industries and evidence provided from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gram of design industry in Busan. It elucidated the role of design industry as a key role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management in an age of creative revolution of futures values. It analyzed the associations between composition of future strategy and design industry in 10 strategic industries of Busan, and explained the relationships with the strategic industries. The perspective of design management involves that design as a ground of values is an industry of the future values, which performs a key strategic function and role, and a theoretical investigation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in functions of design management and business management. Chapter 3 organized items proposed in the design development program in Busan and examined goals and systems which become basic formation of establishment of design strategy in Busan and conditions for design industry in the associations with strategic industry. Chapter 4 described priorities of practicability by step through analyzing and grouping top 30 projects in Busan industry including meanings as key strategy, position relations, and policy priorities by analyzing elements of design management of strategic industry and describing and analyzing the concept of promoting Busan design. The them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hange perception of design management as a key value and a condition to decide creativity industry into future industry and to evaluate vision of Busan design industry and meanings proposed as proceeding strategy. The early 21st century is an age when agrarian society has changed into industrial society is dominated by knowledge economy of the information revolution and one should prepare for the growth phase of creative innovation based on creative revolution of the 4th wave of creative society by design management which has become a center in 2000s on the whole. With the advent of creative paradigm and based on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current creative economy age new innovation DNA of design management will be created. Design process has changed through information and knowledge-oriented trends of digital through convergence between industries from industrial design to convergence of industries, and it is expected that integrated design of value creation using information and technology will play a key role in Busan design industry development and top 10 strategic industries.

  • PDF

정책자금정보: 2011년도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 안내 -올해 정책자금 규모 3조2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2.3% 증가

  • 한국광학기기협회
    • The Optical Journal
    • /
    • s.131
    • /
    • pp.68-74
    • /
    • 2011
  • 올해 정책자금 운영규모는 3조2075억원으로 지난해보다 2.3% 증가했다. 특히 기술혁신형 창업 및 성장초기 기업육성을 위해 '창업 및 개발기술사업화자금(1조4000억원)'을 지난해보다 2200억원 늘렸고, 개발기술사업화자금(2580억원)도 1000억원 늘렸다. 올해부터 정책자금의 배분전략이 그간의 "Negative시스템(특정산업을 제외한 모든산업지원방식)"에서 '전략산업'을 종점 지원하는 방식인 "Positive시스템"으로 전환된다. 중기청은 특히, 녹색 신성장동력 산업 등 성장 가능성이 큰 7대 전략산업에 정책자금의 70%인 2조2천억원을 집중 투입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 LED응용 IT융합 고부가식품산업(녹색 신성장동력산업), 금형 등에 정책자금이 집중 지원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우량기업 및 한계기업을 지원대상에서 제외하고 동일기업에 대한 편중지원을 제한하는 등 정책목적성을 대폭 강화할 예정이다. 자체 신용으로 민간금융 이용이 가능하나 저금리 혜택을 위해 정책자금을 이용하는 우량기업 및 생명연장식 한계기업 등에 대한 지원을 배제하고, 절감된 재원(약 3,000억원)은 전략산업의 창업초기기업에 종점 지원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 및 정책자금 신청 희망기업은 중소기업진흥공단 홈페이지(www.sbc.or.kr) '정책자금 융자도우미'를 통해 신청요건 및 추천자금 등을 자가진단 후 신청하면 된다.

  • PDF

소형 산업클러스터 연계 융합전공

  • Lee, Hang-Su
    • Journal of the KSME
    • /
    • v.55 no.1
    • /
    • pp.36-40
    • /
    • 2015
  • 소형 산업클러스터 연계 융합전공은 대형 산업체가 아닌 중소형 산업체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소규모 산업클러스터에 적합한 융합형 프로그램이다. 이 예로 강원도 원주시에 소재한 한라대학교의 융합형 전공모델을 소개한다. 한라대학교는 강원도 전략산업인 의료기기산업 육성을 위하여 원주시 소재 100개 내외의 소규모 업체들을 위한 의료기기융합 전공을 설치하였으며, 전략산업 분야의 창직 문화를 확산하기 위하여 벤처창업학전공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 PDF

물산업, 미래 전략산업으로 중점 육성된다

  •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8 s.362
    • /
    • pp.28-32
    • /
    • 2006
  • 앞으로 상수도, 하 · 폐수 처리, 해수담수화 등 물 관련 산업이 범정부적 지원을 통해 미래 전략산업으로 집중 육성된다. 물산업은 세계적으로 830조원 규모('03년 기준)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고, 특히 중국 등 개도국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가 지난 달 확정한 「물산업 육성방안」에 따르면 2015년까지 국내 물산업 규모를 20조원 이상으로 확대시키고, "상하수도 서비스업 구조개편 추진", "상하수도 인프라 투자 확대", "먹는샘물을 세계적 브랜드육성" 등 5개 과제를 추진하게 된다. 환경부는 국내 상하수도 인프라 투자가 어느 정도 완비되어 감에 따라 조만간 국내 시장이 포화 · 감소단계에 접어들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지속적인 성장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주변 개도국을 기점으로 세계 물시장에 적극 진출하는 것만이 필수적인 만큼 이번 육성방안이 국내 물산업을 수출전략 산업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그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산업경기순환 하에서 투자행동 비동기화의 효과

  • Kim, Cha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8.05a
    • /
    • pp.25-56
    • /
    • 2008
  • 본 연구는 경기순환이 심한 대규모 장치산업에서 투자행동을 어떻게 하는 것이 경기순환의 악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수익성을 극대화시키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규모 장치산업에서는 호황기에 투자가 집중되는데, 완공까지 걸리는 시간 때문에 적정 수준을 넘어 투자가 이루어지고 이것이 다시 불황기를 불러옴으로써 경기순환이 반복된다. 위와 같은 장치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산업 동태모형을 구성하고 다양한 전략들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투자행동 방식인 시황순응 투자는 경기순환에 따른 수익의 부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지속시킨다. 둘째, 가동률의 신축적 조절이나 설비구축기간의 단축과 같은 유연화 전략은 수익성의 제고와 수익 안정화에 크게 기여한다. 셋째, 수요가 정체된 시장에서는 일정한 투자가 바람직하고, 수요가 성장하는 시장에서는 시황에 역행하는 투자가 바람직하다. 결국 경기순환이 존재하는 산업에서는 유연화 전략 및 변형투자 전략을 통해서 투자행동을 경쟁업체들과 비동기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1) 신정부의 광학산업 육성정책과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방안-신정부 산업경쟁력 강화 정책의 배경과 기본 방향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no.5 s.115
    • /
    • pp.28-30
    • /
    • 2008
  • 신정부 산업경쟁력 강화 정책의 기본 방향은 크게 보아 성장잠재력 확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의 전략으로 구별 가능하다. 즉, 총요소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성장동력 확충 전략, 투자의 활성화를 통한 자본축적에 기여하는 친기업환경 조성 전략, 그리고 일자리 창출을 직접적으로 촉진하는 적극적 노동시장 전략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신정부 산업경쟁력 강화 정책의 3대 중간 목표는 지식경제화, 설비투자 활성화, 고용창출이라 할 수 있다.

  • PDF

Water Industry Innovation for Climate Response (기후 대응 물 산업 혁신)

  • Lee, HwaRyeong;Kim, Sha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17-517
    • /
    • 2022
  • 세계는 기후 위기, Covid-19에 직면함에 따라 물 산업 분야 탄소감축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GWI(Global Water Intelligence)에서는 2030 물 분야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17억 8,500만 달러, 노후자산 교체를 위한 신규 인프라 건설에 40억5600만 달러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물산업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물 기업 혁신 전략 마련에 앞서 '영국 물 산업 2050 혁신 전략' 사례를 고찰하였다. '영국 물 산업 2050 혁신 전략'은 물 산업의 변화를 자극하고 장기적으로 고객과 환경, 그리고 국제사회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본 전략은 현재와 미래에 제공할 물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과 이해관계자의 요구(Needs)에 집중한다는 특징이 있다. 문제점에 대한 시스템적 관점을 취하면서, 물 부문이 더 넓은 사회적 요인(물, 식량, 에너지 등)에 대해 대응할 수 있는 역할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산업 인프라 및 환경 관련 다양한 부문 간 협력에 의한 시너지 창출은 온실가스 배출 'Zero'(2050년) 목표 달성에 한발 다가설 것으로 기대되며, 에너지, 제조, 데이터 과학, 식량 안보, 생태 복원 등의 분야는 물 산업 간 연계성이 높아 물 분야 혁신의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물 산업 혁신 전략으로 첫째, 중장기적인 혁신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 혁신 센터를 설치하여 인적·물적 자원을 네트워크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물 분야 데이터 개방을 통하여 일반, 학계, 중소기업, 스타트업 등과 공동성장 지원을 제시하였다. 셋째, 다양한 물 문제와 경영 의사결정에 환경성을 고려할 것을 제시하였다.

  • PDF

Innovation Strategy for the Korean Shipbuilding Industry Based on Analysis of the Shift in Industrial Leadership (산업주도권 변천과정 분석을 통한 산업주도기업의 혁신전략 도출: 한국 조선산업의 사례)

  • Kim, Byeong-Soo;Cho, Keuntae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6 no.4
    • /
    • pp.1134-116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innovation strategy for a leading industrial company. We analyze the process of a shift in industrial leadership using the shipbuilding industry as a case study. This paper explains that the three core factors of decline are immobilization, lack of innovation for major products, and organizational inertia. This study presents that the leader of a market is not decided by strong competitiveness, but by quick reaction to major customers' needs, and that out-of-date strategies do not contribute to maintaining leadership.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shows that the leading Korean industrial companies shall establish a new innovation-oriented and customer-oriented management system that is flexible enough to anticipate and respond to the changes in new competitive environment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formulation of new strategies for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