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래시장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Functional Transition of Traditional Shop House in Modern age of Korea - Focused on Maehwa Marketplace in Uljin - (전래 시장옥(市場屋)의 기능적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경북 울진군 매화1리 매화장시를 중심으로-)

  • Park, Chung-Shin;Roh, Seon-hwa;Kim, Ta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10 no.4
    • /
    • pp.33-40
    • /
    • 2008
  •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spatial form and functional transition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in Maehwa marketplace, Uljin. The general form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of Maehwa marketplace was the timbered house of the tin roof built in the 1960s. As the scale of a building being comparatively small-scale, building area is $60m^2$ and the yard was mainly made behind the building. When the spatial form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is considered, the composition of 4 by 2 is most. And in the front of a building, the shop is located, and when the back of a building prepares a residence, integration of a sales function and a habitation function is seen. The shop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is converted into living space by change of the function, and the position is the middle of a front of building. This is considered as what inherited the Korean lifestyle. And the last, Although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appearance of the shop house of other areas, since there are few grades of the change in comparison, the extension situation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is recognized as an example important for future research.

  • PDF

Spatial Construc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Market Place in Seomjin River -Focused on Gokseong, Gurye, Soonchang, Okgok Market Place- (섬진강유역 장시의 공간구성과 기능 특성에 관한 연구 -순창·곡성·구례·옥곡장시를 중심으로-)

  • Park, Chung-Shin;Kim, Ta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12 no.1
    • /
    • pp.17-24
    • /
    • 2010
  •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spatial form and functional characteries of traditional market place in Seomjin river.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Gokseong, Gurye, Soonchang, and Okgok market pla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 of the traditional market that it was open focusing on large open space of a village was maintained until now. Second, the spatial form of a market place surrounds market-shop located at the center of a market, and a permanent market-store is located in a line. Spatial element important for constituting a market place is three, market-shop, stall, and the mall of market place, and each spatial element is functioning in linkage. The unit space of market-shop is mainly determined by between pillars, and a store is opened. And the same type of industry adjoins, and market-shop's forms a fixed domain and is distributed. The stall is located with many kinds and forms at street mall, and it is taking charge of the important function of trade.

청주의 제조와 판매현황

  • Baek, Un-Hw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4 no.3
    • /
    • pp.293-300
    • /
    • 1989
  • 오늘날의 청주(淸酒)는 SAKE라는 이름으로 일본(日本)을 대표(代表)하는 술로 여겨지고 있으나 사실 일본식(日本式) 청주(淸酒)의 제법(製法)도 결국(結局)은 우리나라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 오늘날의 청주(淸酒)는 우리의 술 빚는 법이 일본(日本)으로 전래된 후, 일본(日本)에서 잘 다듬어져 다시 우리나라에 상륙(上陸)한 것으로 現在의 청주(淸酒)의 근본도 그 뿌리는 백제를 비롯한 우리나라에 있음은 주지할 만한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 고유의 술빚는 법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못하고 사라져 버린데에는 우리의 전통사상의 일부인 과학, 기술 노동을 천시하는 풍조와 술빚는 일을 특히 여성의 전유물로 여겨 양조법의 정립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도 큰 이유라 하겠다. 자가용(自家用)으로만 사용되던 주조(酒造)에서 탈피하여 공업적(工業的)인 규모의 청주생산은 1883년 1월 후꾸다라는 일본인이 부산에 세운 공장을 시초로, 1917년 현 백화양조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조선주조주식회사 설립으로 본격화되었다. 우리의 전통청주(약주)는 곡류와 누룩을 이용하여 빚는데, 누룩은 밀기울을 잘 다져서 장기간에 걸쳐 제조하며, 누룩에는 당화효소를 분비하는 곰팡이류와 알콜발효를 할 수 있는 효모류가 함께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호화시킨 곡류와 누룩을 함께 넣어서 술을 빚게되면 당화와 발효가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일본식 청주도 Koji라 불리는 국(麴)을 제조하는 것을 달리할 뿐 우리 전통청주와 제법의 맥락은 같다. Koji는 찐쌀에 곰팡이류를 인위적으로 접종하여 배양한 것으로, 결국 당과용 효소를 얻는다는 것은 누룩과 같은 원리이나 곰팡이균을 분리하여 접종하는 것이 다르다. 한국의 청주판매 현황을 보면 80년대 초반 급격한 감소추세를 보였으나, 업계가 적극적인 판촉활동을 벌임과 동시에 새로운 TYPE의 냉청주(冷淸酒)를 개발하여 여름철이 비수기였던 시장 상황을 완전히 깨뜨려 사계절의 주류로 만드므로서 뚜렷한 회복, 증가추세로 바꾸었다. 앞으로 좀더 잘 다듬어지고 현대 이미지에 맞는 청주가 지속적으로 등장하여야 하며, 결국 이러한 민족고유의 맛이 가미된 청주 TYPE의 주류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주로까지 발전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 PDF

예천군지역의 역사적 변천과정 -고지도와 지리지의 비교분석

  • 이한방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99-105
    • /
    • 2002
  • 변화의 속도가 느려서 장기지속적인 전체사의 바탕을 형성하고 있는 지리적 환경에 대한 적응결과로서의 지표경관을 도면상에 표현한 고지는 당시대인들의 세계관과 공간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인간을 둘러싼 지리적 환경은 장기적으로 벼하는 구조이다. 장기지속의 구조사는 지리지와 고지도에 잘 표현되어 있다. 지리지와 고지도에 대한 문헌조사와 현지야외답사를 통하여 경관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지역성과 한국전통지역사회의 원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자들에 의하여 정상기의 동국지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북방영토인식, 군현지도, 시대상의 복원과 지리환경 인식, 회화의 측면에서 본 고지도, 지명과 영토문제, 서양식 세계지도의 전래과정등의 연구주제들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왕의 연구는 고지도에 대한 전체적인 현황 파악과 해제, 전체적인 유형 분류, 특정주제에 대한 고지도 이용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구체적인 지역사회에 대하여 고지도를 통시대적으로 비교 분석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사라져가고 있는 전통경관과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은 촌락경관이 남아 있는 지역사회경관에 대한 고지도와 지리지를 활용한 연구가 시급하다. 고지도는 옛 지명, 산천, 도로, 역원, 행정구역, 역사적 위치의 파악과 문화경과 복원의 기초자료로서의 의미가 크므로 지역사회 단위의 연구가 필요하다. 19세기 말엽에 편찬된 읍지와 지도는 서양과 일본의 침략으로 변모되기 이전의 한국 각 지역의 모습을 추적하고 복원하는데 긴요한 역사적 자료이다. 현대 한국지역사회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지난 400년간의 지역변화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

  • PDF

A Local Governments' Preferences in Selecting Modern Eight Scenic Landscapes (지자체가 선정한 현대팔경에 나타난 경관 선호 양상)

  • So, Hyun-S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1
    • /
    • pp.92-102
    • /
    • 2020
  • The followings are the landscape preference aspects from the 816 landscapes(景, Kyung), which comprise the 78 modern Palkyungs, presented by the 78 local governments in Korea. First, the natural environment elements selected as Kyung(景), which are topographical landscapes, mostly consist of mountain elements such as mountains, terrace(臺), rocks and stones and water elements classified as rivers, oceans, and lakes. Natural elements also include old-growth and giant trees such as pines, ginkgos, Japanese cornels and fringe trees, tree-lined streets and forests, and plant elements such as azaleas, rhododendrons, lotuses, reeds, and silver grasses which provide seasonal landscapes. Second, more than half of Kyung, selected as human environment elements, ar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such as graveyards, mountain fortresses, town fortresses, traditional villages, pavilion in villas, and temples. And it is followed by leisure tourism facilities such as traditional markets, exhibition halls, theme parks, beaches, and food streets, green-based structures such as trails, plazas, parks, and botanical gardens, and industrial heritages such as ranches, abandoned coal mines, stations, ports and bridges. Third, modern Palkyungs include objects not related to the views such as local representative facilities, regional products, and festivals. Fourth, although most of the modern Palkyungs consist of eight, some include 20, 38, or 100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objects of public relations. Fifth, a certain local government makes two modern Palkyungs with different subjects by introducing traditional Palkyung and modern Palkyung altogether. In this case, it presents several modern Palkyungs like by selecting Palkyungs in a limited area. Furthermore, one Palkyung includes numerous place names at a time in some cases. Sixth, Sosangjeonhyeong(瀟湘典型)-style modern Palkyung uses 'NakAn(落雁)' as the name of Kyung. Sosangyusahyeong(瀟湘類似型)-style modern Palkyung expresses 'Hyojong(曉鐘)' and landscape of glow of the setting sun, sunset, night view, dawn, sunrise and depicts cloud, sunset, moon, and snow. There are many Myeongsocheheomhyeong(名所體驗型)-style Palkyungs exhibiting the behavior of tourism and Myeongseunghyeong(名勝型)-style Palkyungs raising the awareness only by the names of the places. Seventh, modern Palkyung's naming styles are diverse, such as using only four letters instead of specifying Kyungmul(景物) or Kyungsaek(景色) in combination with Chinese characters or adding modifiers specializing in pl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