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두동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초

외부 자극에 따른 부비동과 포먼트주파수와의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Analysis of Between Paranasal Sinuses and Formant Frequency According to External Stimulation)

  • 김봉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955-1961
    • /
    • 2013
  • 부비동은 얼굴에서 뼈 속에 존재하는 공기로 가득 찬 빈 공간이다. 그러나 부비동에 지속적으로 염증이 생기고 고름이 차면 축농증으로 발병하여 두통과 무기력증을 호소하고 음성의 변화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외부 자극을 통해 부비동의 변화를 음성분석 요소로 측정하여 부비동 관련 질환을 예측하는 연구와 전두동, 사골동, 상악동, 접형동으로 구성된 부비동의 영역별 기능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부비동 영역에 냉찜질 자극을 시행하고 자극 전과 후의 음성에 대한 포먼트주파수를 측정하여 상호간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외부 자극이 부비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두동 골절 양상에 따른 치료 (Treatment of Frontal Sinus Fractures According to Fracture Patterns)

  • 하주호;김용하;남현재;김태곤;이준호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1-96
    • /
    • 2009
  • Purpose: Frontal sinus fractures are relatively less common than other facial bone fractures. They are commonly concomitant with other facial bone fractures. They can cause severe complications but the optimal treatment of frontal sinus fractures remains controversial. Currently, many principles of treatment were introduced variously. The authors present valid and simplified protocols of treatment for frontal sinus fractures based on fracture pattern, nasofrontal duct injury, and complications.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on 36 cases of frontal sinus fractures between January, 2004 and January, 2009.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33.7 years. Fracture patterns were classified by displacement of anterior and posterior wall, comminution, nasofrontal duct injury. These fractures were classified in 4 groups: I. anterior wall linear fractures; II. anterior wall displaced fractures; III. anterior wall displaced and posterior wall linear fractures; IV. anterior wall and posterior wall displaced fractures. Also, assessment of nasofrontal duct injury was conducted with preoperative coronal section computed tomographic scan and intraoperative findings. Patients were treated with various procedures including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bliteration, galeal frontalis flap and cranialization. Results: 12 patients are group I (33.3 percent), 14 patient were group II (38.8 percent), group III, IV were 5 each (13.9 percent). Frontal sinus fractures were commonly associated with zygomatic fractures (21.8 percent). 9 patients had nasofrontal duct injury. The complication rate was 25 percent (9 patients), including hypoesthesia, slight forehead irregularity, transient cerebrospinal fluid leakage. Conclusion: The critical element of successful frontal sinus fracture repair is precise diagnosis of the fracture pattern and nasofrontal duct injury. The main goal of management is the restoration of the sinus function and aesthetic preservation.

전두동의 크기와 하악골 성장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DIBULAR GROWTH PREDICTION AND SIZE OF THE FRONTAL SINUS)

  • 경승현;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73-479
    • /
    • 1997
  • 성장기 환자의 치료 계획 수립시 치아 이동만으로 치료를 할 것인지, 악 정형 치료를 동반할 것인지, 아니면 성장후 수술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악골의 성장을 예측하는 과정을 치료계획 수립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전두동은 조기에 성장이 완료되고 하악골은 20세까지 성장을 지속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상에 나타나는 전두동의 크기와 하악골 크기간에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228명을 골격선 제I급, 제II급, 제III급 부정교합의 3군으로 분류하고 하악골의 장경과 악골의 전후방 관계를 나타내는 3가지 지수(ANB, APDI, Wits)를 측정하여, 서로간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전두동의 크기와 ANB(-0.3633), APDI(0.296), Wits(-0.2380), 하악골 장경(0.2704)은 높은 상관성을 (p<0.001) 보였다. 2.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군에서,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상에 나타나는 전두동의 크기가 골격성 제 I 급 부정교합군이나 II 급 부정교합군보다 크게 나타났다.

  • PDF

소절개 및 Dual-top screw를 이용한 전두동 전벽 단순 함몰골절의 치료 (Small Incision and Dual-Top Screws for Treatment of Simple Depressed Anterior Frontal Sinus Fractures)

  • 문석호;오득영;서병철;이종원;안상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345-348
    • /
    • 2008
  • Purpose: Fracture of the frontal sinus accounts for 5-15% of all facial fractures. Only anterior table fracture occupies one third of the frontal sinus fracture. Conventional coronal approach is the standard treatment, but this method is very aggressive, especially in patient with simple, depressed, anterior frontal sinus wall fracture. We introduce new, simple technique for these patients, using small incision and Dual-top screws. Methods: A 27-year-old male patient was introduced to our department under the impression of fracture of frontal sinus, involving only anterior table. Under general anesthesia, 1.5 cm-sized, small incision was made on the suprabrow area. We reduced fractured fragment with two dual-top screws and 25G wires. Fixation was not necessary Results: The operation took about forty minutes, and the patient discharged 2 days after the operation. Postoperative 2 months follow up CT shows maintenance of reduction site. Gross depression of the forehead and visible scar was not observed. Conclusion: Although the indication of this procedure is limited, less aggressive, simple and very effective to the patient with simple. depressed, anterior frontal sinus fracture.

전두동 골절에서 내시경적 치료의 확대 적용 (Extended Application of Endoscopic Repair for Frontal Sinus Fractures)

  • 정재연;임소영;변재경;방사익;오갑성;문구현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613-618
    • /
    • 2010
  • Purpose: The coronal approach for repair of frontal sinus fractures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adverse sequelae including a long scar, alopecia, paresthesias, and, uncommonly, facial nerve injury. To minimize these complications, an endoscopic approach for repair of frontal sinus fractures was developed. The authors now present the results of an endoscopy-assisted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frontal sinus fractures. Methods: From 2002 to 2009, five patients with frontal sinus fracture underwent endoscopic repair. Two slit incisions were placed in the scalp, and one or two stab incisions directly over the fractures were placed in the forehead. After subperiosteal dissection, fracture segments were reduced under direct vision and fixed with microplates or fibrin glue. Results: All patients had good cosmetic results and remained free of sinus complaints. There were no perioperative complications reported. Conclusion: Endoscopic repair of frontal sinus fractures is an efficacious technique that significantly reduces patient morbidity. A relatively wide range of anterior table fractures can be reduced using an endoscope. In cases of complicated comminuted fractures, fibrin glue helps to achieve satisfactory endoscopic reduction. Endoscopic repair is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various anterior table fractures of the frontal sinus.

개의 진균성 전두동염 (Fungal frontal sinusitis in a dog)

  • 장광호;권영삼;강원모;장환수;송창현;최동학;김대영;이근우;오태호;장인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627-633
    • /
    • 2000
  • 9.3kg의 6년령인 수컷 바셋하운드가 1년 이상 진행된 양측성 전두부위로부터 심한 점액화농성 분비물의 병력을 나타내었다. 내원당시 환축의 신체상태와 식욕은 불량하였다. 전두골위 피부에 형성된 누공으로부터 농성 삼출물이 양측성으로 분비되었다. 삼출물 시료를 배양하여 진균을 분리하였다. 방사선 검사에서는 전두동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두꺼운 점액성막으로 덮여 있었으며 전두동의 혼탁도가 미만성으로 증가되어 있었다. 최종적으로 만성 진균성 전두동염으로 진단하였다. 전두동의 외과적 제거후 국소와 전신성 항진균요법으로 Chlorhexidine과 Ketoconazole을 적용하였다. 환축은 점진적으로 건강과 식욕을 회복하였다.

  • PDF

전두동 점액낭종 (A Case of Mucocele in the Left Frontal Sinus)

  • 박병옥;노영식;소장영;김영길;김선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3.2-13
    • /
    • 1981
  • 저자들은 좌전두동에 발생한 점액낭종의 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보고하고져 한다. 24세의 남자 군인은 두통, 좌측 안구 돌출, 좌시력장애, 간헐적인 좌비출혈을 주소로 1980년 5월 16일 국군수도통합병원 이비인후과에 입원하였다. 진찰소견상 좌비갑개와 비중격의 소견으로 혈성반점이 비후된 중비갑개에 산재되어 있었고 비중격은 우측으로 만곡 상태이며 내안각쪽 안와내에 원형평활한 고무성의 무통성 종장이 감지되었으며 좌안와 내용물은 측방으로 밀려 복시를 동반한 탈출증을 나타내고 있었다. X-선 소견상, Cald-Well과 Water's View 소견은 좌안와와 좌전두동의 내측에 미만성 음영을 나타냈으며, X-선 단층촬영상 소견은 압박마난으로 기인되는 것으로 추측되는, 좌전두동에 비교적 뚜렷한 외측연과 희미하게 증가된 종물음영 그리고 좌측 안와상 내연의 소실이 보였다. 이 환자는 Lynch-frontal approch 수술로 제거되어 치료된바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개와 고양이에서 컴퓨터단층촬영술을 이용한 비강의 염증성 질병 평가 (Evaluation of Inflammatory Disease in the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es using CT in Dogs and Cats)

  • 최호정;이기자;박성준;정성목;송근호;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2-45
    • /
    • 2010
  • 만성의 비강 삼출물 및 비출혈로 내원한 5마리의 개와 2마리의 고양이가 내원하여 일반 방사선 검사 및 컴퓨터단층촬영 (CT), 비강의 세포학적 검사와 미생물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비염으로 진단한 증례를 선정하여 이의 CT 영상의 특징을 비교 평가하였다. 비강의 일반 방사선 검사에서 3 증례에서만 비강의 비정상 소견을 확인하였다. CT 검사 결과, 비강 (7증례) 및 전두동 (3 증례), 비인두 (2증례)에서 공동을 갖는 isodense한 병변을 확인하였으며 비중격의 소실 (4 증례), 비갑개의 파괴 (5 증례), 상악 (3 증례) 또는 경구개 (3 증례)의 골융해 소견이 관찰되었다. 병변의 조영증강효과는 5 증례에서 확인하였다. CT는 비강의 질병을 평가하고 특히 병변의 범위를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서 두부 방사선검사 시 진단참고수준 검사조건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iagnostic Reference Level of Skull Radiography in Digital Radiography)

  • 정연진;주영철;홍동희;김상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897-90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서 두부 방사선검사 시 진단참고수준(DRL)에서 제시하는 검사 조건과 현재 임상에서 적용하고 있는 검사 조건 적용 시 선량과 화질의 차이 비교를 통해, 디지털 방사선환경에 적절한 두부 방사선검사의 조건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두부모형팬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조건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조건(Clinic)과 DRL값(DRL75), DRL 평균값(DRLmean)으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선량은 입사표면선량(ESD)을 측정하였고, 화질은 신호 대 잡음비와 대조도 대 잡음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검사 조건 변화에 따른 skull AP ESD의 평균값은 Clinic 1214.03±4.21 µGy, DRL75 301 7.83±8.14 µGy, DRLmean 2283.50±7.09 µGy이었으며, skull Lat. ESD의 평균값은 Clinic 762.79±3.54 µGy, DRL75 2168.57±10.83 µGy, DRLmean 1654.43±6.48 µGy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안와, 상악동, 전두동, 터키안장에서 측정한 SNR과 CNR의 평균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본 연구 결과 임상에서 사용하는 조건이 DRL에 비해 AP는 약 58%, Lat.은 약 70% 정도의 낮은 선량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화질 측면에서 정성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진단참고수준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른 선량의 저감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