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달특성

검색결과 4,350건 처리시간 0.041초

임피던스 변환회로의 신호 전달특성(S21) 측정 방법 (Measurement method of the signal transfer characteristic(S21) of the impedance transformer)

  • 박웅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282-1289
    • /
    • 2019
  • 임피던스 변환회로의 신호 전달특성(S21)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임피던스 변환회로를 대칭 연결하여야 한다. 하지만 두 개의 임피던스 변환회로를 대칭 연결한 회로의 신호 전달특성은 중간 연결 선로의 길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임피던스 변화회로의 정확한 신호 전달특성을 얻기 위한 중간 연결 선로의 길이를 수식으로 유도하였다. 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4:1(50-Ω:12.5-Ω) 임피던스 변환회로의 정확한 신호 전달특성을 얻기 위한 중간 연결 선로의 전기적 길이는 약 45°이다. 계산된 연결 선로의 길이를 적용하여 1GHz에서 λ/4-마이크로스트립 임피던스 변환회로를 제작하여 신호 전달특성을 측정하였다. 제작된 대칭 연결된 임피던스 변환회로의 신호 반사 특성(S11)은 0.980GHz에서 -40.64dB, 신호 전달 특성(S21)은 -0.154dB였다. 이는 제작 회로에 대해 이론적으로 살펴본 중심 주파수의 987MHz 변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신호 손실 -0.15dB 값과 거의 동일한 값이다.

스피커와 마이크의 전달특성을 고려한 단일 센서 능동소음제어 (A Single Sensor Active Noise Contro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 김현태;박장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1131-1138
    • /
    • 2003
  • 능동소음제어는 원치 않는 소음에 대하여 2차 소음으로 상쇄 간섭을 발생시켜 소음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능동소음제어기의 성능은 2차 소음이 주 소음을 얼마나 잘 추정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2차 소음은 스피커를 통해 발생되며 마이크를 통해 오차 신호를 수음한다. 일반적으로 스피커와 마이크의 전달특성은 이상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신호를 왜곡시켜 능동소음제어기의 성능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스피커와 마이크의 전달특성을 고려한 단일센서 능동소음제어기를 제안한다. 스피커와 마이크의 전달특성에 의한 2차 소음의 왜곡을 줄이기 위하여 적응 역모델링 기법으로 전달 특성을 추정하고 주 소음은 Kalman필터를 이용하여 추정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단일센서 능동소음제어기가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시킴을 보인다.

  • PDF

이완식 제어발파의 진동.음압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Vibration and Sound Pressure Transmission by Controlled Spall Blasting Method)

  • 김식;정영준;김남수;조용소
    • 화약ㆍ발파
    • /
    • 제21권3호
    • /
    • pp.17-22
    • /
    • 2003
  • 발파작업에서 발생하는 공해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나 정신적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현장에서 제어발파를 시행하고 있다. 이완식 제어발파는 발파의 규모가 일반발파와 비교하여 작고, 대상 구조물이 근거리에 위치하므로 그 전달특성이 다를 수 있다. 근거리에서 계측된 발파진동의 특징은 고주파이고 진동의 지속시간이 짧다. 본 연구는 국내의 8개 지역에서 계측한 자료를 분석하여 이완식 제어발파의 진동전달 특성에 관하여 국내의 현장에서 시공 전에 진동을 추정할 수 있는 진동전파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어발파시에 사용하는 폐타이어를 부착한 철재매트에 의한 폭풍압의 저감 효과와 전달특성을 분석하였다.

FPGA를 이용한 저전압 CMOS에서의 데이터 전달특성 연구(반도체 및 통신소자) (A Study on the Data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Low-Voltage CMOS using FPGA)

  • 김석환;정학기;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407-410
    • /
    • 2003
  • 현재 통신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Xilinx FPGA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로직을 구현하고 데이터 전달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신호의 노이즈와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10층의 PCB(Printed Circuit Board)를 만들었다. FPGA에 클럭과 64bit의 데이터를 동기 시켜 전송선로의 길이의 변화와 입력된 클럭의 주파수 변화에 따른 최대 안정된 데이터 전달속도와 전송선로의 길이를 알아보았다. 제작된 PCB보드에서 FPGA의 출력 핀에서 출력포트 사이의 전송선로 길이는 13cm이며 확장된 테스트용 전송선로 보드의 길이는 30cm, 60cm, 120cm이다. 그러므로 전송선로의 길이를 13cm, 43cm, 73cm, 133cm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데이터 전송특성에 대한 클럭 주파수는 10MHz, 50MHz, 100MHz, 125MHz, 150MHz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데이터 전달 특성에서 125Mbps까지는 불가능 하지만 전송선로의 길이가 30cm일 경우 최대 100Mbps까지 안정하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었다.

  • PDF

섬유단면 형상이 직물 감성에 미치는 영향 - 열적특성 및 수분전달 특성- (Effect of Fiber Cross Sectional Shape on the Sensibility of Woven Fabrics -Thermal property, Moisture Transport property-)

  • 심현주;홍경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8-399
    • /
    • 2003
  • 의복 쾌적감은 착용자가 환경변화에 대하여 쾌적한 감정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직물의 쾌적성은 접촉감 뿐만 아니라 공기, 열, 수분을 전달하는 직물의 물리적 특성과 관계가 있는데 특별히 직물의 표면특성과 관련하여 변화하는 쾌적인자는 온냉감과 열, 수분 및 공기전달성이다. 따라서 직물의 표면 형태 및 두께에 따라 열, 수분 및 공기전달 특성은 달라질 뿐만 아니라 인체에 접촉하였을 때 접촉면적이 달라지므로 촉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의복의 쾌적성 향상의 중요한 인자로 대표적인 직물의 역학 특성과 열 및 수분전달특성을 직물 구성사의 단면형상을 달리하였을 때의 그 상관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중략)

  • PDF

유도 결합 플라즈마에서의 안테나 권선 수에 따른 플라즈마 특성 연구

  • 문준현;정진욱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585-585
    • /
    • 2013
  • 유도 결합 플라즈마는 비교적 간단한 방전 구조와 고밀도 플라즈마 생성에 유리하기 때문에 산업 플라즈마 공정 장비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안테나에 의한 전력 전달 특성 및 방전 특성이 공정 결과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유도 결합 플라즈마는 변압기 모델을 통하여 전력 전달 특성을 해석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감은 수가 증가할수록 플라즈마로의 전력 전달 효율 및 플라즈마 밀도 상승이 기대된다. 반면에, 안테나 양단 또는 챔버 벽면과의 원치 않는 용량성 결합에 의하여, 실제로 안테나 감은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플라즈마로의 전력 전달 효율 및 방전 특성이 향상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안테나 감은 수 효과에 의한 전력 전달 효율 및 플라즈마 변수 변화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플라즈마 변수 진단을 통하여 방전 특성을 연구하였다. 용량성결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평형 전력 안테나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평형 전력이 인가되지 않은 안테나 구조에서의 안테나 감은 수에 따른 방전 특성과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역삼투막에서 물질전달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에 대한 고찰

  • 이동진;민병렬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6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44-45
    • /
    • 1996
  • 역삼투막을 통한 물질전달에 대해서는 많은 모델식이 제안되어 왔으며, 이들을 통해 막의 특성을 규정하여 왔다. 역삼투막을 통한 물질전달에는 많은 변수가 있으며, 이들 가운데 일부는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기존의 방법은 이들을 실험을 통해 정해지는 막이나 공정에 의존하는 특성값으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논문은 이와 같은 막특성값으로 간주되어온 분배계수의 고찰을 토대로 막분리 과정에서 일어나는 물질전달현상을 막물질의 특성과 연계하여 설명하고 이로부터 막분리에 유리한 막물질형태의 제안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PDF

직접방식 열교환기와 전달특성 (A Note on Direct Contact Exchangers)

  • 김석현
    • 기계저널
    • /
    • 제35권9호
    • /
    • pp.829-835
    • /
    • 1995
  • 통상의 열교환기에서 전열면이 제거된 형태의 직접열교환을 통하여 제작비나 열전달 특성에 큰 효과를 얻을 수도 있어 에너지이용 합리화에 기여하는 특성과 사례를 언급하였다. 또한 통상의 열교환기 설계와 다른 매질간의 공유계면에서 발생 가능한 전달특성을 위주로 설계상의 일부 유의사항을 기술하였다. 직접열교환의 기술축적은 상변화를 동반하는 열전달(two phase heat transfer) 문제의 기초지식은 물론, 염수플랜트(desalination)의 기본 요소설계, 원자로의 냉각계 통사고(LOCD)대책, 기타 냉각탑, 탱크가열, 증발기(evaporator), 건조장치(drier), 각종 기계, 화공 공정장치 설계 등 매우 광범위한 기술파급 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므로 관련 기술자들의 많은 관심을 기대한다.

  • PDF

화재비상경보음의 건물 내 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Fire Alarm Sound in Buildings)

  • 백은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53-16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건축 실내음향 특성파악에 이용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상경보설비의 음향장치에 공급되는 전압의 변동에 따른 비상경보설비음의 전달특성을 파악하였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상경보설비의 음향장치 음향파워레벨(정격전압 DC 24V)은 경종은 98.6dB, 전자식사이렌 스피커는 95.7dB 그리고 전자식사이렌 폰은 101.8dB로 측정되었다. 또한 경종은 주파수 증가에 따라 음항파워레벨이 증가하고 고주파 대역에서 피크 레벨을 보이는데 반해 전자사이렌의 폰형과 스피커형은 135~200Hz에서 최저음향파워레벨을 보이다가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패턴을 나타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상경보설비와의 이격거리에 따른 전달특성을 살펴보면, 대상건물의 복도에서는 전체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인접해 있는 강의실에서는 벽체 부분을 제외한 우회전달음의 영향으로 비상경보설비 음향장치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전달되는 음압레벨의 차가 크게 발생하였다. 향후 예측수법의 정확도와 타당성 검토을 통한 화재비상경보음의 전달특성을 건축물의 계획 시에 예측 비교한다면 화재 경보의 인지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모바일 서비스 전달 특성에 따른 상호작용성 지각이 고객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bile Service Delivery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Interactivity and Attitude towards Mobile Service)

  • 이윤재;이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402-411
    • /
    • 2013
  • 스마트폰의 확산과 더불어 모바일 콘텐츠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모바일을 통한 온라인 콘텐츠 접속은 기존 PC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접속과 구별되는 서비스 전달 특성으로 언제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접속성과 모바일 사용자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황에 맞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맥락적 제안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모바일 서비스의 새로운 특성과 더불어 기존의 PC 기반 온라인서비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위에 있는 특성인 시스템의 반응 속도와 비언어적 정보 전달성을 포함해 모바일 서비스의 전달 특성이 사용자들의 상호작용성 지각과 서비스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유비쿼터스 접속성과 맥락적 제안성은 모바일 콘텐츠 이용자의 상호작용성 지각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반응속도 역시도 지각된 상호작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비언어적 정보전달성은 그렇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반응속도와 비언어적 정보전달성은 모바일 콘텐츠 개발 시 상충관계에 있는 속성이며, 본 연구는 비언어적 정보전달성 보다는 반응속도를 강화했을 때 모바일 콘텐츠에 대한 상호작용성 인식과 서비스 관련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임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