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달마취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7초

흰쥐에서 Reserpine이 중뇌망상체의 자극으로 유발된 췌장의 외분비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erpine on Pancreatic Exocrine Secretion Induced by Mesencephalic Reticular Stimulation in Rats)

  • 박형진;이윤렬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2권1호
    • /
    • pp.101-109
    • /
    • 1988
  • 최근에 마취한 흰쥐에서 중뇌망상체를 전기적으로 자극하면 췌장의 외분비 기능이 증가하며 이러한 결과는 망상체의 자극으로 인하여 교감신경계의 활성도가 상승하기 때문이라는 보고가 있다. 한편 교감신경계의 활성도가 상승할 경우 교감신경계의 전달 물질인 catecholamine이 교감신경 종말 뿐만 아니라 부신수질에서도 유리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뇌망상체의 자극으로 인하여 췌장의 외분비 기능이 증가함에 있어 교감신경계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지를 확인하고, 이때 부신수질이 관여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취한 흰쥐에게 atropine (1mg/kg) 또는 reserpine (5mg/kg)을 투여하거나 또는 부신을 적출한 다음 중뇌망상체를 전기 자극하면서 췌장액을 채취하였다. 사용한 전기자극의 매개변수는 1.3V, 40Hz, 2msec이었다. atropine과 reserpine을 투여하면 마취한 흰쥐의 자발적 췌장액 분비량과 단백질 분비량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부신을 제거하면 췌장액 분비량에는 이렇다할 변동이 없는 반면에 단백질 분비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중뇌망상체를 전기자극하면 췌장액 분비량과 단백질 분비량 모두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망상체의 자극효과는 atropine 전처치에 의하여 이렇다할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reserpine 전처치에 의하여 소실되었다. 그러나 부신을 적출하면 망상체 자극에 의한 췌장액 분비량의 증가는 유지되는 반면에 단백질 분비량의 증가는 소실되었다. 한편 미주신경을 절단한 흰쥐에서 중뇌망상체를 자극하는 동안에 경동맥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상승하였는데 이러한 망상체의 자극효과도 reserpine의 투여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마취한 흰쥐에서 중뇌망상체의 자극은 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켜 췌장액 분비량과 단백질 분비량에 촉진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때 활성화된 교감신경계는 부분적으로 부신을 경유하게 췌장의 단백질 분비에 촉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중 파절된 주사바늘

  • 장중희;송민석;김현민;김남훈;엄민용;구현모;이준규;양병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4권2호통권441호
    • /
    • pp.139-144
    • /
    • 2006
  • Local anesthesia is routine procedure in dental practices and has several complication. One of them, needle fracture is not uncommon in past, but rare in recent. The number of cases reported in the literature of broken needle in local anesthetic procedure has shown a marked decrease since the use of disposable spiral-constructed dental needle began. This complication results from lack of patient cooperation, inaccurate anesthetic technique, sudden movement of patient, error in the manufacturing procedure, use of short needle, and bending before use. Most common site is pterygomandibular space during inf. alveolar nerve block. In two patients, we removed broken needles under general anesthesia without complication. So we report cases with review of literatures.

  • PDF

Lidocaine 음파영동에 의한 표면마취 및 전달마취 효과 (The Effect of Topical and Conduction Anesthesia by Phonophoresis with Lidocaine)

  • 정대인;윤세원;최석주;이정우;정진규;김태열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3-83
    • /
    • 2006
  • This study conducted the following experiment to examine anesthetic effects of 500 kHz ultrasound with lidocaine. Clinical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local anesthetic effects by ultrasound frequencies and drugs with 40 normal adults and it divided subjects into experimental group (I) applying only ultrasound, ointment group (II) applying only lidocaine, phonophoresis group of 1 MHz (III), phonophoresis group of 500 kHz lidocaine (IV) for pain threshold and nerve conduct experiments. Mechanical threshold was measured with von Frey monofilament, thermal pain threshold with halogen lamp and digital thermometer, action potential in median nerve with diagnostic electromyography before and after treatment, and at 30 min., 60 min., 90 min., and 120 min. after treatment.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opical anesthesia experiment showed that pain threshold of phonophoresis grou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ultrasound frequency and drugs among phonophoresis groups. Conduction anesthesia experiment showed that phonophoresis group of 500 kHz using lidocaine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in threshold and sensory nerve conduction compared to ointment group and ultrasound group, but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from other phonophresis groups and light nerve block effect was found. It was considered that application of 500 kHz ultrasound using lidocaine will be more effective in deep anesthesia or nerve block than 1 MHz ultrasound. However, researches considering various frequencies, intensities and application hours in low frequency areas including kHz ultrasound are needed to increase deep permeation of drugs.

  • PDF

생분해성 마이크로 유체 약물전달장치의 Bupivacaine HCl 전달특성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영향 (Effect of Surfactants on the Controlled Release of Bupivacaine HCl from Biodegradable Microfluidic Devices)

  • 양승연;이강주;류원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5호
    • /
    • pp.545-551
    • /
    • 2012
  • 마이크로 유체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약물전달장치는 마이크로 유체 채널형상의 간단한 변형만으로 약물분출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 제작에 사용된 생분해성 고분자 85/15poly(lactic-co-glycolic acid) (85/15PLGA)의 소수성 기질 때문에 약물전달 장치내부로의 release medium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 결과, 디바이스의 임플랜트 후 초기의 약물 분출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surfactant인 polyethylene-glycol600 (PEG600)과 Tween80을 이용하여 micro-channel의 표면처리를 한 디바이스와 surfactant를 사용하지 않은 디바이스를 각각 제작하여 약물 전달 실험을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마이크로 유체 채널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른 국소 마취제의 일종인 bupivacaine HCl(BHCl)의 분출속도제어를 입증하였다.

하악공 전달마취후 복시 -증례보고- (Diplopia after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A Case Report-)

  • 최은혜;서지영;정복영;김성태;김기덕;박원서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1-134
    • /
    • 2007
  •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is one of the most common procedures in dental clinic. Although it is well known as safe procedure, complications always can be occurred. Ocular complications such as diplopia, loss of vision, opthalmoplegia are very rare, but once it happens, dentist and patient can be embarrassed and rapport will be decreased between them. We experienced one diplopia case after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and treated without any further complication. We report this case and describe the cause, diagnosis, and treatment objectives of diplopia caused by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 PDF

국부 마취제로 이용되는 Lidocaine 화합물들이 공기/물 계면에 형성된 지질 단분자 막의 팽창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docaine Compounds on the Expansion of Lipid Monolayer at the Air/Water Interface)

  • 최숙영;오성근;이주성
    • 공업화학
    • /
    • 제9권7호
    • /
    • pp.1090-1097
    • /
    • 1998
  • 국부 마취제로 이용되는 lidocaine 화합물들이 마취 효과를 나타내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벽을 구성하는 지질 이중막의 모사 시스템으로 공기/물 계면에 형성된 지질 단분자 막을 이용하여 lidocaine 화합물들이 지질 단분자 막의 팽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Lidocaine이 신경 세포와 접하게 되면 세포벽을 구성하는 지질 이중막을 팽창시켜 이중막에 함침된 단백질을 압축하여 이를 통한 이온 통과가 차단되어 신경 전달이 마비된다는 가설과, 단백질 이온 통로에 존재하는 lidocaine receptor에 직접 흡착되어 이온 통로를 막는다는 가설이 구체적 실험 없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설 타당성을 증명하고자 리피드 단분자 막팽창에 lidocaine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유용성인 lidocaine은 phosphatidyl choline, sphingomyelin, DS-PL95E, lipoid의 단분자 막을 수축시켰으며 phosphatidyl ethanolamine은 특정 조성 범위에서만 단분자 막을 팽창시켰다. 반면 수용성인 lidocaine-HCl 염은 실험에 사용된 모든 지질의 단분자 막을 팽창시켰다.

  • PDF

설신경과 장협신경 전달마취 시행 후 발생된 설부와 협선반부의 장기간 이상감각증 관리 -증례보고- (The Persistent Paresthesia Care on Left Lingual & Buccal Shelf Regions after the Lingual & Long Buccal Nerve Block Anesthesia -A Case Report-)

  • 김하랑;유재하;최병호;모동엽;이천의;김종배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8-115
    • /
    • 2009
  • Trauma to any nerve may lead to persistent paresthesia. Trauma to the nerve sheath can be produced by the needle. The patient frequently reports the sensation of an electric shock throughout the distribution of the nerve involved. It is difficult for the type of needle used in dental practice to actually sever a nerve trunk or even its fibers. Trauma to the nerve produced by contact with the needle is all that is needed to produce paresthesia. Hemorrhage into or around the neural sheath is another cause. Bleeding increases pressure on the nerve, leading to paresthesia. Injection of local anesthetic solutions contaminated by alcohol or sterilizing solution near a nerve produces irritation; the resulting edema increases pressure in the region of the nerve, leading to paresthesia. Persistent paresthesia can lead to injury to adjacent tissues. Biting or thermal or chemical insult can occur without a patient's awareness, until the process has progressed to a serious degree. Most paresthesias resolve in approximately 8 weeks without treatment. In most situations paresthesia is only minimal, with the patient retaining most sensory function to the affected area. In these cases there is only a very slight possibility of self injury. But, the patient complaints the discomfort symptoms of paresthesia, such as causalgia, neuralgiaform pain and anesthesia dolorosa. Most paresthesias involve the lingual nerve, with the inferior alveolar nerve a close second. This is the report of a case, that had the persistent paresthesia care on left lingual & buccal shelf regions after the lingual and long buccal nerve block anesthesia.

  • PDF

혈중 목표 농도 자동 조절기(TCI) 개발 PART1 : 약동학적 모델의 수립과 검증 (Development of Target-Controlled Infusion System in Plasma Concentration. PART1 : Establishment of Pharmacokinetic Model and Verification)

  • 안재목;길호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41-34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혈중 목표 농도 자동 조절기(Target-controlled infusion system. TCI)를 개발하는 것으로써, 마취의가 혈중 목표 농도를 설정하면 사용약제의 약동학적 모델링에 의해서 주입속도를 자동적으로 계산하여 마취의 깊이를 예측하는 약동학적 모델의 수립과 검증 방법을 설명한다. 정확한 약동학적 모델의 구축은 시스템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먼저 PART 1에서는 약동학적 모델을 구축하되 3-콤파트먼트 모델과 4-콤파트먼트 모델로 해석하였다. 기존의 TCI에서 사용하고 있는 3-콤파트먼트 모델에 가상의 효과처 구획(Effect Site Compartment)을 만들고 이를 네 버내 구획으로 가정한 4-콤파트먼트 모델(Four-Compartment Model)을 수립하였고, matlab 5.0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모델은 혈중 목표 농도 주입(Plasma Targeting)과 효과처 목표 농도 주입(Effect Site Targeting), 혈중 농도 유지를 위한 주입율 계산과 기타 마취 상태를 추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바탕으로 4-콤파트먼트 모델을 디지털 z-변환을 거쳐 디지털시그널프로세서에 프로그램하고 TCI시스템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정맥 마취용 TCI는 오동작에 대한 검증이 반드시 요구되므로 구축한 모델링에 대한 시뮬레이션의 평가 방법을 설정하였다. 기존의 TCI시스템과는 달리 약동학적 약물 전달 속도 상수(k-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 다양한 약제의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약동학적 모델의 개발과 평가에 기여하게 되고, 환자의 체형과 병명에 따른 약동학적 모델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하였다.

동물약품의 사용실태 및 오$\cdot$남용 사례

  • 김두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8권4호
    • /
    • pp.305-316
    • /
    • 2002
  • 동물용의약품은 가축질병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이용되어 그동안 우리나라 가축의 질병방제와 사료효율의 증진으로 양축농가의 소득증대와 아울러 축산이 대규모로 발전할 수 있게 하는데 기여한 바가 크다. 그러나 특히 항생제나 합성 항균제의 오남용에 따른 가축의 장내 세균과 병원성 세균의 항생항균제에 대한 내성획득으로 질병치료 효과의 저하, 축산식품을 통하여 이들 제제의 잔류물질이 인체내로 들어가 부작용을 일으키거나 세균의 내성인자가 사람 병원체에 전달되어 사람의 질병치료에 장애요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공중위생전인 측면에서 항생항균제, 호르몬제, 생물학적제제(백신 등), 마취제, 마약류, 등의 요주의동물용의약품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주제에서는 동물용의약품 중 현재 가장 많은 량이 이용되고 있는 항생제를 중심으로 사용실태와 오남용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수술 후 발생한 중추성 항콜린성 증후군 1례보고 (Postcardiotomy Central Anticholinergic Syndrome; Report of A Case)

  • 이재원;김정원;박승일;송명근;최인철;심지연;권순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634-639
    • /
    • 2001
  • 중추성 항콜린성 증후군(Central Anticholinergic Syndrome)은 중추신경계에서 콜린성 신경전달 활성도의 감소로 인하여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이 증후군은 주로 마취시에 사용되는 약제와 연관되며 Physostigmine의 투여 후 증상이 반전되는 것으로 확진된다. 저자들은 뇌혈관 질환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난원공 개존증에 대해 개심술을 시행한 후 발생한 중추성 항콜린성 증후군을 Physostigmine의 투여로 확진한 1례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