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달단위수

Search Result 280,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Low Complexity Single Image Dehazing via Edge-Preserving Transmission Estimation and Pixel-Based JBDC (에지 보존 전달량 추정 및 픽셀 단위 JBDC를 통한 저 복잡도 단일 영상 안개 제거)

  • Kim, Jong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2
    • /
    • pp.1-7
    • /
    • 2019
  • This paper presents low-complexity single-image dehazing to enhance the visibility of outdoor images that are susceptible to degradation due to weather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applies it to various devices. The conventional methods involve refinement of coarse transmission with high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extensive memory requirements. But the proposed transmission estimation method includes excellent edge-preserving performance from comparison of the pixel-based dark channel and the patch-based dark channel in the vicinity of edges, and transmission can be estimated with low complexity since no refinement is required. Moreover,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estimate transmissions and adaptively remove haz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s via prediction of the atmospheric light for each pixel using joint bright and dark channel (JBDC). Comprehensive experiments on various hazy image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exhibits reduced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excellent dehazing performance,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thus,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including real-time devices.

Effect of Communication in the Online Lecture: Focused on the Answering Way (온라인 강의에서 의사통방식의 효과: 질문에 대한 답변제시 방식을 중심으로)

  • Chae, J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71-172
    • /
    • 2016
  • 본 연구는 온라인 대학 강의에서 수강생들의 강의관련 질문과 답변 내용을 주간 단위로 모아서 수강생들에게 추가로 공지하는 상호작용이 학업성과와 강의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실험법 중 통제집단사후측정 비교설계 방식에 따라 진행하였다. 각 집단은 한 분반이 200명 단위로 분반되는 대형수강과목을 1개 선정하여 600명을 3개 분반에 무선할당 하여 각각 실험집단1, 실험집단2,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1에게는 이메일로 내용을 전달하고, 실험집단2에게는 과목공지게시판을 통해서 내용을 전달하며,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종속변수는 해당 과목에 대한 수강생들의 학업성적과 강의만족도이었다. 그 결과,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에서 학업성적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집단 중에서는 1집단이 2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학업성적은 높았는데, 강의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것은 강의관련 질문에 대해 교수자가 수강생들에게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것이 긍정적인 효과를 낳을 수 있는데, 상호작용의 방식은 과목공지게시판보다는 학생에게 보다 편리한 이메일 전달방식이 더 효과적임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 PDF

A Study on Smart Text Reader for converting Text through TTS (단위 또는 약어의 의미에 맞는 풀 네임(fulI name) 음성 출력 방법에 관한 연구)

  • Park, An na;Son, B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806-808
    • /
    • 2014
  • 현재까지의 음성 출력 시스템은 텍스트를 있는 그대로 읽어 주는 것에 불과했다. 단위, 약어의 경우 알파벳을 그대로 읽어 주게 되어 그 본래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단위나 약어의 본래의 의미를 찾아서 풀어서 음성 변환해 주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에게도 텍스트의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2P-based divisional data transmission system for live media streaming service (라이브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P2P기반 데이터 분할 전송 시스템)

  • Sun Choi;Heasun Byun;Meejeong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348-1351
    • /
    • 2008
  • 최근 인터넷 사용자들의 요구는 멀티미디어로 집중되고 있으며 그중 라이브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라이브 서비스에서는 적절한 시간에 사용자에게 데이터가 도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라이브의 시간적절성을 충족시켜 줄 효율적이고 신속한 데이터 전달구조와 전송기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트리와 메시 구조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빠른 데이터 전송으로 라이브의 시간적절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데이터 분할 전송 방식의 P2P(Peer-to-Peer) 오버레이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ToG(Tree of Groups)는 n개의 피어들이 메시로 그룹을 형성하고, 그렇게 형성된 그룹들이 트리를 이루는 구조이다. ToG에서 그룹 내의 각 피어들은 상위그룹의 피어 한 개와 부모-자식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그룹 사이에 여러 개의 연결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그룹 내에서 어느 한 피어가 그룹을 빠져 나가더라도 상위그룹과의 여러 연결에 의해서 서비스 지속성을 보장 할 수 있다. ToG는 그룹단위로 트리가 형성되기 때문에 피어의 개수가 같을 때 피어단위로 트리를 형성하는 구조보다 트리의 깊이가 줄어든다. 그에 따라 말단에 있는 피어들에게까지 빠른 시간에 데이터가 전달 될 수 있다. ToG의 데이터 전달은 소스로부터 세그먼트가 일정한 값 n으로 나뉘어져 각 피어들에게 전달된다. 세그먼트 조각은 소스로부터 나뉘어져 전송 될 때 책임적으로 전달해야할 피어와 전달 순서가 정해져있고,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을 위한 버퍼 맵 교환은 필요하지 않다.

A Real Time Location Based IoT Messaging System using MQTT (MQTT 활용 실시간 위치 기반 IoT 메시징 시스템)

  • Jung, In-Hwa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8 no.4
    • /
    • pp.27-36
    • /
    • 2018
  •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real time IoT messaging system that can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of moving vehicles and pedestrians in real time using MQTT protocol and provides loca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 in administrative area. We implemented MQTT based IoT device for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and communication and MQTT based smartphone application for pedestrian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oT clients can send messages to the server in administrative units by using the MQTT Topic which is equal to administrative names. The SLIMS (Seoul Location based IoT Messaging System) implemented in this study is able to analyze the real time traffic volume of pedestrians and vehicles by tracking clients. It also can deliver messages to clients based on coordinate range. SLIMS can be used as a real-time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for large-scale IoT devices such as real-time flow population and vehicle traffic analysis and location-based message delivery.

A standardization technology of local disaster information distribution (국지적 재난정보전달을 위한 긴급재난문자 표준 기술 연구)

  • Jeong, Sanggu;Lee, Hyun-Woo;Lee, Yong-Tae;Pyo,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197-198
    • /
    • 2019
  • 최근 국내 재난유형별 사회재난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다중밀집시설에 대한 대형화재의 발생 비율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이는 대규모 재난 발생에 대한 광범위한 재난정보 전달뿐만 아니라 한정된 지역에 재난정보를 전달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현재 지역적 재난정보전달이 가능한 방안으로는 긴급재난문자(CBS) 방식이 있으나, 기술적 한계로 기지국 간의 셀을 그룹화하는 클러스터링 방식으로 전달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최소 발령 범위는 시 군 구 단위로 한정할 수밖에 없으며, 재난 발생 지역에서 벗어난 영향이 적은 지역까지 발령하는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물, 구역 등 한정된 지역에 정보전달을 위한 긴급재난문자 표준 기술에 대해 조사하고 적합한 기술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식물생산과 관련한 광의 물리학적 용어 및 개념

  • 김용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2 no.4
    • /
    • pp.503-512
    • /
    • 1997
  • 최근들어 원예학, 농학, 식물학 등의 분야에서 각종 환경요인에 대한 식물의 생장반응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 실험의 상당 부분이 인공광원을 사용한 가운데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상기의 기초연구 이외에 식물공장에서와 같이 인공광과 태양광의 병용 또는 인공광만을 사용한 식물생산의 상업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조직 배양묘, 접목묘, 실생묘 등을 인공광하에서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식물묘 생산의 실용화 연구도 수행되고 있다. 그런데 식물생산과 밀접하게 관련된 광(또는 복사)에 관련된 용어의 정의 또는 단위가 물리학, 조명 공학, 생물학 등의 전문 분야에 따라 서로 다른 경우가 있으며, 식물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 분야에서도 관련 용어와 단위가 뒤섞여 사용되기도 한다. 즉 하나의 용어가 복수의 의미로 사용되거나, 반대로 하나의 정의에 대해서 다수의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단위가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으면 사용된 용어의 의미가 애매하게 전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식물생산과 관련된 용어 또는 단위의 사용에 혼란이 초래되지 않도록 용어와 단위를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중략)

  • PDF

A Specification Language for Fault-Tolerance Real-time Software Design (결함허용 실시간 소프트웨어 설계를 위한 명세언어)

  • 김정술;강병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7.11a
    • /
    • pp.383-394
    • /
    • 1997
  • 이 논문에서 우리는 결함허용 실시간 소프트웨어 설계를 위한 명세언어를 제안한다. 특히, 현재 가장 인기있는 소프트웨어 기법인 후향 오류 복구를 위한 명세언어로 N-modular redunduncy나 voted-process pairs등에도 사용 가능하다. 지금까지의 명세 언어로서는 시스템의 정상 개발 차원에서의 명세만 가능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오류시에도 복구 가능한 논리 전달을 위한 명세를 제공한다.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 객체단위로 시스템을 이끌며, 명세서 작성시 주요한 부시스템 단위로 이 방법을 적용하면 명세 기술에 따른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Modeling of Parallel Flow Type Condenser for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자동차 공조시스템용 평행류형 응축기의 모델링)

  • Kim, Il-Gyoum;Park, Woo-Cheul;Lee, Chae-Moon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4 no.1
    • /
    • pp.29-38
    • /
    • 2004
  • 자동자 공조용 시스템에 사용되는 평행류형 응축기에 대하여 실제 운전조건에서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링을 개발하였다. 모델링에 사용된 방법은 유효도-전달단위수법이고, 국소구간을 나누어 해석하는 국소구간법을 사용하였다. 모델링에 사용된 작동유체는 HFC134a이며, 응축기를 흐르면서 방생하는 냉매의 압력손실에 대한 물성변화를 포함시켜 보다 실제에 가깝게 해석하였다. 모델링에는 공기측과 냉매측의 열전달계수와 압력손실계수에 관한 상관식들을 포함하고 있다. 모델링의 결과는 실험값과 비교하여 비교적 잘 일치한다.

Efficient Single Image Dehazing by Pixel-based JBDCP and Low Complexity Transmission Estimation (저 복잡도 전달량 추정 및 픽셀 기반 JBDCP에 의한 효율적인 단일 영상 안개 제거 방법)

  • Kim, Jo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5
    • /
    • pp.977-984
    • /
    • 2019
  • This paper proposes a single image dehazing that utilizes the transmission estimation with low complexity and the pixel-based JBDCP (Joint Bright and Dark Channel Prior)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hazy outdoor images. The conventional transmission estimation includes the refinement process with high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memory requirements. We propose the transmission estimation using combination of pixel- and block-based dark channel information and it significantly reduces the complexity while preserving the edge information accurately. Moreover,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transmission reflecting the image characteristics, by obtaining a different air-light for each pixel position of the image using the pixel-based JBDCP. Experimental results on various hazy images illu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exhibits excellent dehazing performance with low complex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s; thus,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real-time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