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 영동

Search Result 1,44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The Enhanced Electrophoresis Method in Leachate System for Repairing of Leaks in Waste Landfill Geomembrane Liner (폐기물 매립지 차수층 누출시 전기영동 복원을 위한 침출수에서의 향상기법)

  • Kim, Jong-Yun;Han, Sang-Jae;Kim, Soo-Sam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1C
    • /
    • pp.7-15
    • /
    • 2010
  • In case that the seepage of contaminants into the subsurface has been generated from the waste impoundment by demage of geomembrane liner, it is necessary to repair the leaks of geomembrane liner for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contamination by electrophoresis method. However, when electrophoresis method is applied to leachate electrolyte system, the phenomenon of clay particles flocculation would be accelera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clay particles and specific chemicals in leachate. In addition, the gravitational settling behaviour would be induced superior to the electrophoretic migration behaviour. Eventually, the limitations of field applicability for using the electrophoresis method are appeared. Therefore, 1-D enhanced electrophoresis method is conducted to prevent the clay flocculation and accelerate the migration of clay particles separately. After the 1-D enhanced electrophoresis experiment, we can get the results that the deflocculation effect of clay particles is increased by electrical repulsion of polymer, which adsorbed in clay particle edge, in case of using PAA dispersing agent.

Superconducting Thick Film by Lateral Field Assisted EPD (측면보조전계 인가 형 전기영동전착 초전도후막)

  • 소대화;박성범;전용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05a
    • /
    • pp.378-381
    • /
    • 2003
  • 제작 장치와 공정이 간단하고, 두께제어 및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후막제작이 가능하며, 경제적 효율성과 기술적 장점을 가지고 있는 전기영동전착방식으로 산화물계 고온 초전도 후막을 제작하였다. 전착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측면보조전계 인가 방식을 설계, 적용하였다. 측면보조전계 인가 방식의 전기영동전착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단독 전착전계 인가방식에 비하여 전기영동전착 후막의 표면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음으로 임계전류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므로 측면보조전계 인가방식은 전기전자, 의료, 기계 분야의 핵심 산업 및 첨단 소재의 응용분야에 이르기까지 매우 폭넓은 범위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후막제작이 어려운 세라믹계열에의 적용이 가능하며, CRT 튜브의 전자총 히터코일과 같은 특수 제작조건을 비롯하여 균일하고 치밀한 막의 제작이 요구되는 기술공정상의 목적이 유사한 경우의 여러 가지의 응용 대상에도 적용함으로써, 그 특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operties of Superconductor Thick Films by Applying Methods of Electric Fields (전계인가 방식에 따른 초전도 후막의 전기적 특성)

  • 소대화;조용준;전용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4.05b
    • /
    • pp.691-694
    • /
    • 2004
  • 물리적 힘에 의한 초전도 분말의 균일한 표면 확보 및 고밀도화 가 필요하다. 그러나 전기영동전착법의 특성상 물리적 힘에 의한 고밀도화에 어려움이 따르고 전착후막의 기공과 크랙현상을 발생시키는 단점으로 인하여 전기영동전착법에 의한 입자의 고밀도화를 위해서는 전착과정에서 현탁분말입자의 치밀성 및 일정한 방향성을 위한 공정기술이 요구된다. 전기영동법에 의한 초전도 후막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DC전계인가 와 AC보조전계 인가방식에 공정이 있으며 이들 두 공정에 의해 제작된 후막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두 공정기술에 따른 최적화 방안을 연구 하였다. YBCO 초전도 후막의 균일한 표면과 초전도특성 향상을 위한 공정개선방법으로는 수직방향 교류전계 인가 방식을 적용한 공정기술을 전기영동전착 공정에 적용하였다.

  • PDF

Electrophoretic Characteristics of the Clay Particles Affected by Chemical Species of Leachate (매립지 침출수 화학종에 따른 점토입자의 전기영동 특성)

  • Kim, Jong-Yun;Han, Sang-Jae;Kim, Soo-Sam;Park, Jea-M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5C
    • /
    • pp.217-228
    • /
    • 2009
  • In case of application of electrophoresis method for leakage restoration of waste impoundment, main points of consideration were to evaluate the mobility of clay particles by electrophoretic force and capacity of leakage repair in leachate electrolyte system contained with various chemical species. However, the flocculation phenomena of clay particles induced by electrochemical interaction between various chemical species and clay particles would cause the big problems in electrophoresis method. Therefore, a series of laboratory tests such as one-dimensional electrophoresis and gravitation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identify the specific chemical species affected flocculation of clay particles and the range of chemical concentration in leachat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clay particle behavior with chemical species and concentration range in leachate were analized using the concept of the settling velocity, zeta potential, and electrophoretic velocity.

Microfabricated Disposable Microchip with a Capillary Electrophoresis and Integrated Amperometric Detection (모세관 전기영동 및 전기화학적 검출 시스템을 위한 일회용 마이크로칩)

  • Kim, Ju-Ho;Kang, C.J.;Kim, Yong-S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c
    • /
    • pp.2131-2133
    • /
    • 2004
  • 모세관 전기영동 및 전기화학적 검출 시스템을 마이크로 시스템에 적용하여 ITO 유리기판과 polydimethylsiloxane (PDMS)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모세관 전기영동 및 전기화학적 검출 시스템은 일회용으로 사용가능하며 전기화학적 검출에 아주 적합한 특성을 보인다. 모세관 전기영동 및 전기화학적 검출 시스템은 주입과 분리 채널 (80 ${\mu}m$${\sim}$ 40 ${\mu}m$ 깊이)을 가진 PDMS 층과 유리기판 위에 검출 전극으로 사용되는 ITO가 형성된 층으로 구성된다. PDMS 층과 ITO 유리 기판은 UV-$O_3$ cleaner를 사용하여 접합하였다. 완충용액은 10 mM 2-(N-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MES)를 사용하였고 분석물질은 1 mM 농도의 dopamine과 1 mM 농도의 catechol을 사용하였다. 60 V/cm 전계로 주입 및 분리를 하였으며 작업전극과 기준전극 간의 전위는 +600 mV로 유지하며 분석물질의 농도에 비례하는 전류량법으로 측정하였다. 전기화학적 검출 회로는 천기영동 전계의 간섭으로부터 분리하였다. 10 mM MES 완충용액에서 바탕 전류의 크기가 ${\sim}$10 pA 일 때 측정전류 값은 10 nA이다. 측정된 피크 값은 기존의 Au 전극과 비교하여 선택성, 감도, 분해능이 유사한 특성을 보여준다.

  • PDF

Identification of Rhizobium fredii and Bradyrhizobium japonicum b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에 의(依)한 대두(大豆) 근류균(根瘤菌) Rhizobium fredii와 Bradyrhizobium japonicum의 분류(分類) 및 동정(同定))

  • Yun, Han-Dae;Cho, Moo-Je;Lee, Ke-Ho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0 no.2
    • /
    • pp.163-168
    • /
    • 1987
  • A method, based upon the separation of cellular proteins by one-and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was used for distinguishing butween Bradyrhizobium japonicum strains and Rhizobium fredii strain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tein pattern of one-dimensional SDS-PAGE vs-ere observed between Rhizobium fredii strains and Bradyrhizobium japonicum strains. The differences in six distinct main lands were observed among total 52 kinds of protein bands. Furthermore, the distribution of proteins in two groups by two-dimensional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as very different. The majority of visible proteins of Rhizobium fredii were acidic, whereas those of Bradyrhizobium japonicum were basic. In addition, amino acid composition was analyzed to detect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mino acid composition were observed between Bradyrhizobium japonicum strains and Rhizobium fredii strains. The results indicate that one-and two-dimensional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ere useful for identifying rhizobia isolates. One-dimensional SDS-PAGE of rhizobia proteins provided a rapid method for screening a large number of isolates, whereas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was more of resolution and easiness for analyzing protein spots.

  • PDF

Soluble Proteins Analysis of Class Cephalopoda in the Yellow Sea(I) (황해산 두족류의 가용성 단백질에 대한 연구 (I))

  • 허회권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0 no.3
    • /
    • pp.301-310
    • /
    • 1997
  • To investigate a possibility of the species genetic relationship for the soluble proteins analysis on the class Cephalopoda in the Yellow Sea, the isolate eye, muscle and liver proteins from five species (Sepia esculenta, Sepiella japonica, Loligo chinensis, Loligo beka and Octopus minor) were analysed using different electrophoretic techniques (Davi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exponential gradient SDS-PAGE, thin-layer isoelectro-focusing and two-dimensional PAGE).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oluble eye and muscle proteins was estimated at 35-50 KDa, separated b the exponential gradient SDS-PAGE. It was corresponds to that of electrophoretic patterns by t재 dimensional PAGE. By which the thin layer IEF, the target proteins showed a reasonable specificity based on their isoelectric points (pI) 7.5-8.5.

  • PDF

Application of Particle Charging to Enhance Deposition of Flame-Synthesized Ceramic Materials (입자대전원리의 세라믹 분말입자 부착률 증가에의 응용)

  • 황정호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4
    • /
    • pp.239-252
    • /
    • 1994
  • 광섬유 모재제조공정인 OVD와 VAD방식에서의 입자부착 증진을 위해서 외부에서 전기장을 가 해서 실리카입자를 대전시킨 뒤에 타겟으로 부착을 시키는 전기영동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을 소 개하였다. 실험에서는 디스크형 타겟을 사용하여 타겟 근방에서의 온도, 전기장분포를 측정하였고 입자부착실험을 수행했다. 그 결과 9cm 타겟에 -1.6kv가 가해\ulcorner을 때 전기영동으로 인한 부착률 증가는 열영동으로 인한 효과의 약 35%가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