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 선박

Search Result 39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직접식 전기분해장치를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Ok-Yeol;Gong, Gil-Yeong;Mun,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90-92
    • /
    • 2015
  • 국제해사기구는 선박평형수를 통한 수중생물의 이동을 막기 위해, 2004년 선박평형수와 침전물 통제 및 관리를 위한 국제협약을 채택하였으며 2015년 5월12일 현재 73개의 처리장치가 최종승인을 받았거나 진행중이다. 선박평형수 처리기술은 전기분해, 오존식, 자외선식 등 여러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비용 및 효율면에서 전기분해방식이 타 방식에 비하여 좋고 간접식과 직접식으로 나누어지며 직접식이 간접식에 비해 우수하다. 본 논문에서는 직접식 전기분해 장치를 이용한 선박평형수 처리시스템 개발에 관해 연구하였다.

  • PDF

대형선박에서의 계산기 응용

  • 김방광
    • 전기의세계
    • /
    • v.24 no.5
    • /
    • pp.53-56
    • /
    • 1975
  • 선박에 본격적으로 자동화시스템이 채용되게 된 것은 1960년대의 일로서 주기관을 Bridge에서 직접 제어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기관실에도 Control Room을 만들어 주기 및 보기등의 원격제어와 집중감시를 Control Console에서 가능하도록 하게 함으로써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세계무역량의 증가로 인한 선복량의 증가와 선원의 부족현상은 선박에도 고도의 자동화를 요구하게 되었고 선진조선국들은 선박자동화의 기술개발에 힘써 현재에는 각국의 선급협회들도 모두 기관실무인화에 관한 규격을 제정하여 이에 합격한 선박에 대해서는 부호들을 붙여주고 있다. 이와같이 기관실무인화는 자동화기술을 집대성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최근에는 기술적으로 더욱 1보 전진하여 선박에 Computer를 탑재하고 기관의 자동화뿐만 아니라 항법과 선체 및 의장계통에까지 광범위하게 응용하기에 이르렀으며 실험단계를 거쳐 세계각국에서 실적선들이 출현하게 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Electrolysis Power for the Laboratory Test of BWTS (선박평형수 처리시스템의 랩테스트를 위한 전기분해전원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Tae-O;Lee, Sun-Kwon;Joo, Hui-Dong;Kang, Gyu-H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181-1182
    • /
    • 2011
  • 본 논문은 선박에서 발생하는 여러 해양오염원 중에서 선박평형수에서 야기되는 해양생태계의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식인 전기분해 방식에 대한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로서, IMO의 밸러스트수 관리시스템 승인을 받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인 Basic Approval(랩테스트)을 받기 위한 전기분해 전원장치를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하였다.

  • PDF

AIS 데이터 기반 울산항 상선 항로분석

  • 임재홍;이우성;이길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48-50
    • /
    • 2023
  • 울산항 해상교통관제센터(VTS)에서 수신한 AIS 데이터를 이용하여 울산항 출입하는 선박의 MMSI 정보를 분류하였다. 분류된 MMSI 정보는 웹 크롤링을 통하여 선박의 종류, 국적, 총톤수, 길이, 폭 등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AIS 데이터와 MMSI의 선박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선박의 선종별 운항 경로 궤적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데이터는 선박 도선 및 항내 안전항로 유도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The power buffer module of electric propulsion ship with super capacitor (슈퍼커패시터를 이용한 전기추진선박의 전력버퍼모듈)

  • Park, Jewo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43-144
    • /
    • 2015
  • 전기추진선박은 디젤엔진과 프로펠러의 회전축이 기계적으로 연결된 기존의 선박과 달리 엔진의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동기 회전을 통해 추진력을 얻는 선박으로서 시추선, 군함, OSV(Offshore Support Vessel)등 높은 조종성능이 요구되는 선종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선종은 추진력을 얻는데 가장 큰 전력을 사용하므로 날씨에 따른 전력부하량의 변동이 크다. 본 논문에서는 슈퍼커패시터로 구성된 전력버퍼모듈을 이용하여 전기추진선박의 효율적인 전력 운용 전략을 제안한다. 추진전동기의 VFD(Variable Frequency Drive)의 직류단을 전력버퍼모듈로 통합하여 각 전동기의 보조전력으로 활용함으로써 부하변동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으며, 주 전원의 느린 응답성을 보상하여 조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안된 전력버퍼모듈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Introduction of System Integration Technologies about Electric Propulsion ship (전기 추진선 체계통합기술 소개)

  • Kang, Ho-Keun;Kang, Jae-Sung;Ryu, Seung-Nam;Kang, Hui-Jin;Lee, Ji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6a
    • /
    • pp.317-320
    • /
    • 2011
  •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때문에 근래에 선박에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전전기 스마트선은 전기 추진체계를 포함한 선박 내 모든 전력계통 구성품의 관련 요소들을 선박의 목적과 특성에 맞게 운영 되어지는 신개념의 선박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전기선 체계통합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할 것인데, 이는 선박의 추진 및 전력, 기관제어계통 등 전체 시스템에 대한 획득 및 수명주기 비용 절감을 위한 통합 관리 체계를 목적으로 한다. 전기추진체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박 내에 모든 전력 구성품의 통합 적인 이해가 필요 하며, 이를 위해서 전력제어, 전력배전, 통합 최적화를 위한 개념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체계통합기술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 데에 있다.

  • PDF

A Study of the Development Safety Criteria for Hybrid Electrical Propulsion Fishing Boats (전기복합 추진어선의 안전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 Cheol eon Kang;Chul ho Baek;Sung hun Kim;Chan jae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2
    • /
    • pp.207-214
    • /
    • 2023
  • Ships emit significant amounts of air pollution. To reduce ship emissions,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Eco-Friendly Ship Act to improve the marine air environment, under which the use of eco-friendly ships that use eco-friendly energy as a power source encouraged and technologies to reduce marine pollution are developed. Therefore, the revision of relevant laws and systems such as inspection and facility standards for the safe operation of eco-friendly ships is urgently needed, especially those for fishing vessels, which account for the majority of domestic coastal vessels. This study defines the core equipment for the application of electric complex propulsion systems to fishing boats and presents a minimum safety standard plan for the adoption and dissemination of eco-friendly fishing boats.

Design interchangeable battery modules with spare cells for electrical propelled ship (전기추진선박에서 예비-셀을 이용한 자가 진단 기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Jong-Hak;Oh, Ji-Hyun;Oh, Jin-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5
    • /
    • pp.709-718
    • /
    • 2021
  • As regulations on environmental pollution of ships have been strengthened, interest in smart ships such as electric propulsion ships equipped with hybrid power systems is increasing. Since batteries used in electric propulsion ships have a larger capacity than batteries used in vehicles, the price is high and maintenance is considered important. The ship's battery is manufactured as an integral type and is managed by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battery is performed through the replacement of the battery. we design and implement a battery module and a control algorithm using pre-cell for easy battery management. In addition, a controller is designed to transmit the data necessary for the electric propulsion ship power system control to the power control system. When a battery to which the corresponding spare-cell is applied is used, the stability of the ship and the battery system is increased, and it can have an advantage in terms of maintenance and rep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