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 방사

Search Result 1,11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비진공 전기방사를 이용한 전도성을 가지는 나노섬유 제작

  • Kim, Gwan-Su;Jo, Won-Ju;Song, Gi-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422.1-422.1
    • /
    • 2014
  • E-textile과 같은 웨어러블 전자소자는 휴대용 전자소자, 의료센서 및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직물등의 적용가능 응용분야에서의 잠재력으로 인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같은 응용분야에 적용하기 위하여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크기의 나일론 섬유를 제작하고 reduced graphene oxide를 섬유에 코팅하여 전도성을 가지는 나노섬유를 제작하였다. 나일론 알갱이를 포름산에 녹인 용액을 이용하여 전기방사를 통해 약 100 nm 두께를 가지는 나노섬유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나일론 섬유와 그래핀 옥사이드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BSA(bovine serum albumin)으로 표면 처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나일론 섬유에 코팅된 그래핀 옥사이드를 hydrazine을 이용하여 환원하여 전도성을 가지는 섬유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전도성을 가지는 섬유는 약 10 kohm 정도의 저항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물리적인 외부 변형에서도 안정적으로 전도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전도성을 가지는 나노섬유는 웨어러블 전자소자를 제작하는데 응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구조물 제작 기술을 가스센서, 바이오센서, 태양전지, 나노소자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우수한 기술이라고 생각한다.

  • PDF

조직공학용 전기방사 나노섬유 지지체 제조방법

  • Park, Seok-Hui;Go, Ung-Hyeon;Sin, Hyeon-Jeong
    • Journal of the KSME
    • /
    • v.55 no.11
    • /
    • pp.34-39
    • /
    • 2015
  • 이 글에서는 나노스케일의 직경을 갖는 섬유를 빠른 생산속도로 제작할 수 있는 전기방사공정(electrospinning process)에 대한 개요와 조직공학용 지지체(tissue engineering scaffold)로의 응용을 위한 제조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세포의 증식, 분화 등의 생물학적 활동에 기반한 조직공학 및 조직재생 분야에서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세포가 부착하여 생장할 수 있는 지지체(scaffold)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세포가 이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지지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세포의 부착 특성, 화학적/물리적/구조적 성장 환경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상적인 세포 성장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실제 세포 주변의 미세환경(microenvironmenr)조건을 모사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이라고 하는 나노크기의 직경을 갖는 섬유기반의 세포 주변 환경을 모사하는 방법의 하나로 전기방사 공정이 '90년대에 들어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현재까지도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나노섬유는 공정조건 및 재료를 다양하게 응용하여 조직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조직공학용 지지체로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 PDF

The Effect of Processing Parameters on the Diameter of Electrospun Polyacrylonitrile(PAN) Nano Fibers (전기방사한 폴리아크릴니트로 나노섬유의 직경에 미치는 공정인자의 영향)

  • 강영식;김학용;류영준;이덕래;박수진
    • Polymer(Korea)
    • /
    • v.26 no.3
    • /
    • pp.360-366
    • /
    • 2002
  • The electrospinning of polyacrylonitrile dissolved in N,N-dimethyl formamide (DMF) successfully produced nano-scale fibers. The processing parameters such as charged voltage, velocity of collected roller, and tip-to-collector distance (TCD) , affected the ultimate fiber size. At TCD of 5 cm, the average tiber diameter increased with increasing charged voltage because of the more aggregation between fibers due to the remaining DMF solvent on the fiber surface. But, at TCD of 9 cm, the average fiber diameter decreased as the charged voltage was increased because of complete evaporation of DMF. Also, the fiber diameter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velocity of collected roller. Cross direction width (CWD) of nonwoven mat increased with decreasing the charged voltage and with increasing TCD.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PVdF Nanofibers Electrostatically Spun (정전방사에 의한 PVdF 나노섬유 제조 및 물성)

  • Cho, Jang-Ik;Kim, Chan;Choi, Chang-Nam;Yang, Gab-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82-383
    • /
    • 2003
  • 정전방사란 고분자 용융체 또는 고분자 용액에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나노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섬유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정전방사에서는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기존의 건식 및 습식 방사기술로서 섬유화가 어려웠던 재료들을 간단한 방법으로 섬유화 시킬 수 있으며, 매우 적은 양으로 방사가 불가능했던 재료들에 대해서도 방사가 가능하며, 부직포 형태로 제조된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VdF계 공중합체 폴리머로서 PVdF-HFP 공중합체를 아세톤 용매에 다양한 농도로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한 후, 정전방사에 의한 나노크기의 직경의 섬유를 제조하는 방사조건을 고찰하였다. (중략)

  • PDF

포항공과대학 방사광가속기 건설계회

  • 오세웅
    • 전기의세계
    • /
    • v.38 no.5
    • /
    • pp.5-17
    • /
    • 1989
  • 포항공과대학은 대단위 연구기설의 하나로서 740억원 규모의 제3세대 방사광가속기(PLS)를 건설키로 확정하고 1988년 4월 이의 추진에 착수하였다. 이 시설 및 추진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Haptic recognition of the palm using ultrasound radiation force and its application (초음파 방사힘을 이용한 손바닥의 촉각 인식과 응용)

  • Kim, Sun Ae;Kim, Tae Yang;Lee, Yeol Eum;Lee, Soo Yeon;Jeong, Mok Kun;Kwon, Sung Ja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4
    • /
    • pp.467-475
    • /
    • 2019
  • A high-intensity ultrasound wave generates acoustic streaming and acoustic radiation forces when propagating through a medium. An acoustic radiation force generat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can produce a solid tactile sensation, delivering spatial information directly to the human skin. We placed 154 ultrasound transmit elements with a frequency of 40 kHz on a concave circular dish, and generated an acoustic radiation force at the focal point by transmitting the ultrasound wave. To feel the tactile sensation better, the transmit elements were excited by sine waves whose amplitude was modulated by a 60 Hz square wave. As an application of ultrasonic tactile sensing, a region where tactile sense is formed in the air is used as an indicator for the position of the hand. We confirmed the utility of ultrasonic tactile feedback by implementing a system that provides the number of fingers to a machine by receiving the shape of the hand at the focal point where the tactile sense is detected.

전기 방사 방법을 이용한 산화아연 나노 섬유의 합성법과 일산화질소 가스에 대한 특성

  • Kim, Ok-Gil;Kim, Hyo-Jin;Kim, Do-Ji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1.1-101.1
    • /
    • 2012
  • 이번 연구에서는 전기 방사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된 산화아연 나노 섬유의 일산화질소 가스에 대한 반응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산화아연 나노 섬유는 증류수에 용해시킨 아연 아세테이트(zinc acetate)와 폴리 비닐 알콜(poly vinyl alchol, PVA)로 만들어진 용액이 전기 방사되어지며 만들어지게 된다. 무엇보다도 나노 섬유의 직경은 용액의 점도에 의해 결정되었다. 따라서 산화아연 나노 섬유의 고른 두께를 형성하기 위하여 PVA의 양을 조절하여 적절한 용액의 농도를 찾게 되었다. 이후 진행된 열처리 공정을 통해서 우리는 직경이 30~100나노미터 가량의 나노 섬유를 얻을 수 있었으며 무작위로 배열된 통기성 네크워크 구조를 얻게 되었다. 표면 분석을 위하여 주사현미경을 이용하였는데, 산화아연 나노 섬유의 표면은 열처리 전과 후로 나누어 관찰되었으며 열처리 전보다 열처리 후의 표면이 좀 더 거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열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효과적으로 유기물들의 제거가 이루어진 것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일산화질소 가스에 대한 특성 평가를 위해 자체 제작된 전류-전압 측정 장치(I-V measurement)가 사용되었다. 다양한 작동온도와 다양한 일산화질소 가스 농도의 변화를 주며 얻어진 응답도를 통해서, 전기 방사를 통해 만들어진 산화아연 나노 섬유 구조 기반의 가스 센서는 두드러질만큼 좋은 응답도를 가졌고 작동 온도 $200^{\circ}C$에서 일산화질소 가스에 대한 최대 민감도를 보임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산화아연 나노 섬유 구조 기반의 가스 센서는 ppm이하의 낮은 일산화질소 가스 또한 감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전기 방사를 통해 만들어진 산화아연 나노 섬유기반의 가스 센서는 저비용, 고감도의 장점을 갖는 일산화질소 가스 센서가 될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Drug Delivery System Using Electrospun Nanofiber Mats (전기방사된 나노파이버 매트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에 관한 연구)

  • Yoon, Hyeon;Park, Yoon-Kyung;Kim, Geun-Hyung
    • Polymer(Korea)
    • /
    • v.33 no.3
    • /
    • pp.219-223
    • /
    • 2009
  • The nanofibers fabricated by using an electrohydrodynamic process has been used as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nano-device, filtering system, protective clothes, wound dressing, and drug delivery system (DDS). Of these applications, the DDS should be needed to minimize side effects of drugs, maximize the properties of medicine, and efficiently deliver the required amount of drugs to the diseased area. In this paper, by using the electro spinning process, which is one of electrohydrodynamic processes, two different types, polycarprolactone and poly(ethylene oxide)/Rhodamine B, of electrospun mats were fabricated layer by layer and the release behavior of Rhodamine B was characterized with time. In addition, to show the feasibility of DDS of this type, we tested release behavior of a peptide of the nanofiber system, a PCL/(Peptide+PEO)/PCL nanofiber mat. The released peptide did not loss biological activities. From these results, we believe that the layered nanofiber mat as a DDS has enough function of a new drug delivery system.

Preparation of Pitch-Based Carbon fiber Web by Electrospinning (전기방사에 의한 피치계 탄소섬유 웹의 제조)

  • Park, Sang-Hee;Kim, Chan;Yang, Gab-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95-97
    • /
    • 2003
  • 전기방사는 submicron 이하 크기의 섬유를 부직포형태인 3차원으로 적층된 웹상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최근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1-3]. 전통적인 방사방법인 용융방사와 melt blown 방사 방법으로 제조되는 피치계 탄소섬유는 우수한 방사성을 갖는 프리커서 피치를 이용해야 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탄소섬유나 활성탄소 섬유는 주로 직경 10-15 um 내외의 것이 대부분이어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기 때문에 굽힘 강도가 낮아 압축가공이 취약하다. (중략)

  • PDF

ELECTROMAGNETIC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SLIM TYPE DOUBLE CAVITY BY INTERNAL ELECTROMAGNETIC SOURCES (내부 전자파원에 의한 슬림형 이중 공동의 전자파 방사 특성)

  • Park, Eun-Jung;Kim, Kyeong-Bong;Kim, Ki-Chai;Kim, Eee-K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217-22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이중 구조의 공동에서 작은 공동 내부에 존재하는 전자파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를 내부 공동의 개구를 지나 외부 공동의 개구를 통해 방사될 때, 외부 공동의 개구 크기 변화에 따른 방사 전자파의 크기를 FDTD법으로 검토하고 있다. 외부 공동 개구의 크기는 최대 방사 전자파의 주파수를 결정하므로 개구의 크기를 조절하면 방사되는 전자파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음을 이론해석을 통하여 확인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