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화재

Search Result 81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전기화재의 발화원인과 감정요령

  • 김만전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194 no.10
    • /
    • pp.39-44
    • /
    • 1998
  • 행정자치부 소방국이 매년 화재건수를 조사, 분석한 통계에 따르면 97년 한해동안 발생된 화재중 전기화재는 약 34.2%의점유율을 차지해 여전히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이는 미국, 일본보다 높은 수치이며 노후 전기설비등 개선대책 마련이 시급하고 미확인 화재는 전기화재를 집계하는 문제 등을 내포하고 있다.

  • PDF

전기화재의 발화원인과 감정요령②

  • 김만전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191 no.7
    • /
    • pp.35-40
    • /
    • 1998
  • 내무부 소방국이 매년 화재건수를 조사,분석한 통계에 따르면 97년 한해동안 발생된 화재중 전기화재는 약 34.2%의 점유율을 차지해 여전히 1위를 고사하고 있다. 이는 미국, 일본보다 높은 수치이며 노후 전기설비 등 개선대책 마련이 시급하고, 미확인 화재는 전기화재로 집계하는 문제 등을 내포하고 있다.

  • PDF

전기화재의 발화원인과 감정요령③

  • 김만전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192 no.8
    • /
    • pp.42-46
    • /
    • 1998
  • 내무부 소방국이 매년 화재건수를 조사, 분석한 통계에 따르면 97년 한해동안 발생된 화재 중 전기화재는 약 34.2%의 점유율을 차지해 여전히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이는 미국, 일본보다 높은 수치이며 노후 전기설비 등 개선대책 마련이 시급하고 미확인 화재는 전기화재로 집계하는 문제 등을 내포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electrical mechanism at low voltage circuit breaker (저압 차단기에서의 전기화재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Kim, Dong-Ook;Moon, Hyun-Wook;Lee, Ki-Yeon;Kim, Dong-Woo;Gil, Hyung-Jun;Kim, Hyang-Kon;Chung, Young-Si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2166_2167
    • /
    • 2009
  • 2007년도 사고설비별 전기화재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전기 화재중 전기배선 및 배선기구에서 발화한 화재가 2,875건으로 전기화재 발생 중 31.5%를 점유하였다. 또한 사고전압별 전기화재 발생현황으로 220/380V에서 화재가 7,229건(79.2%)으로 전기화재의 대부분을 점유하였다. 전기화재는 단락, 과전류, 접촉불량, 트래킹 등 9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로부터 재해를 막기위하여 누전차단기나 배선용차단기를 사용하여 일부의 전기화재 원인을 차단할 수 있으나 차단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원인에 대하여는 보호할 전기기기가 부재하다. 본 논문에서는 저압설비의 전기재해를 미리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차단기에서의 발화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로 트래킹과 접촉불량에 따른 위험성을 분석하고 전기설비에서의 화재 발생에 대한 예방대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 PDF

전기화재요인으로서의 트리잉 열화 신호 특성 분석

  • 윤헌주;신현택;홍진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262-267
    • /
    • 2002
  • 화재 발생 재해요인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전기화재이다. 이러한 전기화재는 1991년도부터 2000년도까지 10년 동안 화재발생 1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기기기나 전력설비사용의 증가와 함께 점점 화재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는 물론 국가 경제에도 크나큰 손실을 주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요인으로 안정된 전력요구가 최근에 강하게 요구됨에 따라 전기화재 징후의 조기 발견에 의한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중략)

  • PDF

전기화재 유형에 따른 발생원인, 출화기구 및 조사기법에 관한 연구(상)

  • 최충석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84
    • /
    • pp.40-46
    • /
    • 2000
  • 산업의 발전과 국민소득의 향상으로 다양한 전기기계기구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전기화재의 발생도 빈번해지고 있다. 1998년도에 발생한 32,664건의 화재에서 10,897건이 전기로 인한 발생으로 33.4$\%$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전년도와 비교하면 0.8$\%$가 낮아진 것이며, 1994년의 39.1$\%$에 비해서는 5.7$\%$가 낮아진 것으로, 일 평균 29.9건의 전기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인명피해도 450명이 발생하여 전년도와 비교하면 사망자는 17.3$\%$가 증가한 88명이 발생하였고, 부상자는 32.6$\%$증가한 362명이 발생하여 일 평균 1.2명이 전기화재로 인하여 사망하거나 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576억 4700만원이 발생한 재산피해는 전년도에 비하여 9.5$\%$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기 화재로 인하여 일 평균 손실액이 1억 5800만원으로 화재가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조사연구에서는 전기화재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이들의 발생원인, 출화 기구 및 조사기법을 제시하고, 또한, 각각의 유형을 재현하여 과학적인 해석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전기화재(II) -전기화재 원인의 감식-

  • 원종수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 no.1
    • /
    • pp.65-70
    • /
    • 1988
  • 화재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수가 많으며, 일단 화재를 진압하고 나면 모든 것이 잿더미화한 상태이므로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을 가려내기란 극히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화재원인을 감식하려면 화재발생 당시의 상황을 주의깊게 조사함과 동시에 과학적인 감식에 단서가 될만한 자료는 진압 후의 현장에서 조기에 수거해 놓을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전기배선이나 금속부에 생기는 녹아있는 흔적(이하 용흔이라 함)을 통한 감식, 통전상태의 감식 등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 PDF

화재현장에서 전기화재를 보는 눈

  • 박남규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31 no.11
    • /
    • pp.35-43
    • /
    • 2001
  • 대부분 화재사건의 경우 초기에 특정한 원인이밝혀지지 않을 경우 전기화재로 의심을 하거나 그렇게 되기에 뚜렷한 반론이 없는 한 전기를 원인으로 추정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왔다. 그것이 수사상 또는 이해 당사자간의 큰 다툼이 없는 경우 이를 용인하는 사회적 관념 또한 부인하기 어렵다

  • PDF

A Development of Detection Device for Terminal Block Looseness (단자대 이완 검출 장치 개발)

  • Joo, Nam-Kyu;Shin, Bong-Il;Park, Ki-Sik;Lim, Young-B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2086-2087
    • /
    • 2007
  •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전기는 우리 일상 생활에 있어 없어서는 않 될 중요한 요소이나 그 사용에 따른 화재 위험성 또한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전기 화재의 경우 전기는 시각적인 흐름을 볼 수가 없어 전기용품 사용에 있어 그 사고를 미리 감지하기 어려워 사고 위험성에 대하여 무방비 상태가 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화재 건수 중 전기 화재가 차지하는 비율은 30%이상으로 일본, 미국등 선진국에 비해 높아 화재원으로서 전기 화재예방에 대한 그 중요성 대두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화재 발화 원인 중 단자대 접촉부 접촉 불량으로 야기된 과열에 의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접촉부 접촉 저항을 검출 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알고리즘 개발 및 설계 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Detection Device for Terminal Block Looseness (단자대 이완 검출 장치 개발)

  • Hong, Jae-Sung;Kim, Young-Noh;Park, Ki-Sik;Lim, Young-B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4a
    • /
    • pp.198-199
    • /
    • 2009
  •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전기는 우리 일상 생활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이나 그 사용에 따른 화재 위험성 또한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전기 화재의 경우 전기용품 사용에 있어 그 사고를 미리 감지하기 어려워 사고 위험성에 대하여 무방비 상태가 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화재 건수 중 전기 화재가 차지하는 비율은 30%이상으로 일본,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높아 화재 원으로서 전기 화재 예방에 대한 그 중요성 대두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화재 발화 원인 중 단자대 접촉부 접촉 불량으로 야기된 과열에 의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접촉부 접촉 저항을 검출 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알고리즘 개발 및 설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