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화재

Search Result 80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전기화재 원인과 대책

  • Park, Heon-Sik
    • 방재와보험
    • /
    • s.23
    • /
    • pp.22-26
    • /
    • 1984
  • 내무부 통계에 의하면 83년도 전국 화재발생 건수는 7,725건이며 이중 전기로 인한 화재는 전체의 28.3%인 2,186건으로 화재발생 원인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 요인은 전기소비량의 증가에도 있겠지만 전기시설의 노후화와 전기설비 기계기구의 유지관리 부실 및 부주의에 많은 원인이 있다고 본다. 따라서 전기사고가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사항을 중심으로 전기원리와 사고대책을 언급함으로써 전기화재에 대한 이해의 도모와 아울러 전기화재 예방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lectrical Unique point due to the Dielectric breakdown at the Surface of a Circuit Breaker (차단기의 표면에서 절연파괴에 의한 전기적 특이점에 관한 연구)

  • Kim, Dong-Ook;Kim, M.G.;Kim, M.S.;Kim, H.S.
    • Congress of the korean instutite of fire investigation
    • /
    • 2010.12a
    • /
    • pp.239-248
    • /
    • 2010
  • 2008년도 사고설비별 전기화재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전기화재중 전기배선 및 배선기구에서 발화한 화재가 2,540건으로 전기화재 발생 중 25.95 %를 점유하였다. 또한 사고전압별 전기화재 발생현황으로 220/380 V에서 화재가 6,320건(64.4 %)으로 전기화재의 대부분을 점유하였다. 전기화재는 단락, 과전류, 접촉불량, 트래킹 등 9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로부터 재해를 막기 위하여 누전차단기나 배선용차단기를 사용하여 일부의 전기화재 원인을 차단할 수 있으나 차단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원인에 대하여는 보호할 전기기기가 부재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실화법의 적용으로 일반적으로 전기화재로 취급되어지지만 보다 세밀히 조사하면 제조결함, 사용자 부주의, 설치 및 환경에 따른 위험성을 분석하고 전기설비에서의 화재 발생에 대한 예방대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 PDF

Charcacteristic Analysis of Coper Molten Mark by a Fire Simulation (모의 화재실험에 의한 구리 용융흔 특성 분석)

  • Kim, Dong-Ook;Kim, Hyang-Kon;Kim, Dong-Woo;Gil, Hyung-Jun;Lee, Ki-Yeon;Moon, Hyun-Wook;Chung, Yo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330-333
    • /
    • 2011
  • 2009년도 사고설비별 전기화재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전기화재중 전기배선 및 배선기구에서 발화한 화재가 2,158건으로 전기화재 발생 중 23%를 점유하였다. 또한 사고전압별 전기화재 발생현황으로 220/380V에서 화재가 5,307건(56.5%)으로 전기화재의 대부분을 점유하였다. 전기화재는 단락, 과전류, 접촉불량, 트래킹 등 9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재현장에서 대부분 구리 전선의 용융흔으로 전기적인 원인을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실화법 등의 적용으로 일반적으로 전기화재로 오인될 수 있는 구리 용융흔의 특성을 모의 화재 실험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형태학적 분석을 X-ray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실체현미경을 통해 구리 배선의 형태를 관찰하여 화재조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ic Fire (III) -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Electric Fire - (전기화재의 특성고찰 연구(III) - 전기화재의 원인조사 -)

  • Jang, Je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516-525
    • /
    • 2010
  • 전기화재란 전기를 사용함에 있어 불안전하게 사용하여 전기가 점화원이 되어 발생하는 화재를 총칭하는 것으로 그동안 발생한 전기화재의 주요원인을 살펴보면, 단락(短絡 Short), 과부하(過負荷 Over load), 누전(漏電, Leakage current), 접속불량(接續不良, Bad connection), 정전스파크(spark), 트래킹(Tracking)이 주요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전기화재에 의한 현장조사는 통전을 입증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 관건이 되는 것이지만 화재로 많은 것들이 소실된 현장에서 이를 규명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기화재가 일반화재와 다른 주요 특징을 고찰하고 전기화재를 입증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발생요인에 대하여 관찰요령을 고찰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Spark Signal of Electric Fire (전기 화재 요인으로서의 스파크 신호 특성 분석)

  • 김창종;노용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0a
    • /
    • pp.55-59
    • /
    • 1997
  • 전기로 인한 재해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전기 화재이다. 전기화재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이러한 전기 화재의 징후 검출이 가능하다면 늘어만가는 전기재해의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기화재는 전기 설비의 누전과 합선 및 과부하로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으로 스파크를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스파크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여 전기설비의 이상현상 검출을 통하여 전기화재의 징후를 검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FFT(Fast Fourier Transformation)와 DWT(Digital Wavelet Transformation) 을 이용하여 전기화재 요인으로서의 스파크 신호 특성을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Improvement and Analysis for an Electrical Fire Cause Classification (전기화재원인분류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안 제시)

  • Lee, Jong-Ho;Kim, Doo-Hyun;Kim, Sung-Chul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3 no.2
    • /
    • pp.36-40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research about the development of electrical fire cause classifi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electrical fire statistics and to collect electrical fires data efficiently. The incorrect and biased knowledge for electrical fires changed the classification of certain types of fires, from non-electrical to electrical. It is convenient and required to develop the standardized form that makes, in the assessment of the cause of electrical fires, the fire investigators directly ticking the appropriate box on the fire report form or making an assessment of a text description. In this study, newly developed electrical fire cause classification structure, which is well-defined hierarchical structure so that there are not any relationship or overlap between cause categories, is suggested. Also the suggested classification structure can be used for electrical fire investigation and statistics, which minimizes the mistake that diagnose non-electrical fires into electrical ones.

Development of Cause Classification Method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Electrical Fire Statistics (전기화재 조사 및 통계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원인분류방법의 개발)

  • Jeon, Jeong-Chay;Jeon, Hyun-Jae;Lee, Sang-Ick;Yoo, Jae-Ge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8 no.3
    • /
    • pp.466-471
    • /
    • 2007
  • Electrical fires form over 30 percent of fires, but the study on the reliability of electrical fire statistics is not performed. Electrical roe occupancy was very high due to investigating and classifying fires, which is not directly continuous with electrical cause, as electrical fire because insufficiency of cause classification method or system, and the problems of the reliability of electrical fire statistics were presented. So, the reliability of electrical fire statistics must be guaranteed by improvement of the existing cause classification method of electrical fire. This paper analyzed the problems of electrical rue statistics by the existing cause classification method of electrical fire and presented the new method to classify causes of electrical fire.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ic Fire (I) (전기화재의 특성고찰 연구(I))

  • Jang, Je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318-326
    • /
    • 2009
  • 우리나라의 화재 발생건수를 살펴보면, 1986년까지는 매년 1만건을 조금 상회하는 완만한 증가추세였으나, 1994년에는 2만건을 초과하였고, 1998년에 3만건을 넘었으며, 2007년부터는 4만건 이상으로 이제 5만 여건을 목전에 두고 있다. 특히 최근 9년간(2000-2008)의 화재발생은 연평균 36,635건, 연평균 재산피해액 190,791백만원이었으며, 전기화재의 경우, 총화재 발생건수 대비시, 1985년 34%, 1994년 39%로 계속 30%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다가 2006년 29.6%로 20%대로 진입하여 2007년 22.1%이며, 2008년은 총화재 발생 49,631건, 재산피해액 383,141백만원이다. 따라서 전기로 인한 화재는 22.8%인 11,308건, 재산피해액은 28%인 107,459백만원이었으며 전기화재의 최근 9년간 연평균 발생건수는 10,853건으로 매년 만 여건씩 발생하면서 59,980백만원의 재산 피해액을 나타내었는데, 전체 화재에 대한 전기화재 점유율은 약 30%를 나타내었고 재산피해액은 31.4%에 달하고 있어 아직까지도 전기화재는 화재발생원인의 1순위를 계속 점하고 있어, 이에 대한 분석과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어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전기화재의 발생추이와 전기화재 특성을 고찰하여 이의예방 대책을 제시한다.

  • PDF

전기화재의 발화원인과 감정요령⑥

  • 김만전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195 no.11
    • /
    • pp.40-45
    • /
    • 1998
  • 행정자치부 소방국이 매년 화재건수를 조사, 분석한 통계에 따르면 97년 한해동안 발생된 화재중 전기화재는 약 34.2%의 점유율을 차지해 여전히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이는 미국, 일본보다 높은 수치이며 노후 전기설비 등 개선대책 마련이 시급하고 미확인 화재는 전기화재로 집계하는 문제 등을 내포하고 있다.

  • PDF

전기화재의 발화원인과 감정요령④

  • 김만전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193 no.9
    • /
    • pp.37-43
    • /
    • 1998
  • 행정자치부 소방국이 매년 화재건수를 조사, 분석한 통계에 따르면 97년 한해동안 발생된 화재중 전기화재는 약 34.2%의 점유율을 차지해 여전히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이는 미국, 일본보다 높은 수치이며 노후 전기설비 등개선대책 마련이 시급하고 미확인 화재는 전기화재로 집계하는 문제 등을 내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