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정련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Effect of Impurities on Copper Deposition in Copper Electrorefining (동 전해정련시 불순물 성분이 전기동 전착에 미치는 영향)

  • Kim, Do-Hyeong;Kim, Yong-Hwan;Kim, Gwang-Ho;Jeong, Wo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1-121
    • /
    • 2009
  • 구리 전해정련 과정에서 전해액 중의 Arsenic과 같은 불순물 성분이 전기동의 전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전해액 중의 최대 허용 농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해정련 과정에서 분순물 성분이 전기동 전착에 미치는 영향을 주사전자현미경(SEM), X-선 회절(X-ray diffraction) 및 전기화학적 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 PDF

Effects of Electron-beam. Patterns on Microstructures of Silicon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전자빔패턴에 따른 태양전지용 실리콘의 미세구조)

  • Choi, Sun-Ho;Jang, Bo-Yun;Kim, Joon-Soo;Ahn, Yo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24-224
    • /
    • 2010
  • 야금학적 정련은 태양전지 소재인 실리콘의 저가화를 통한 태양전지의 단가를 낮추는데 유망한 공정이다. 이중에서도 실리콘의 전자빔정련은 고순도의 실리콘 정련에 효과적인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용융법을 이용하여 실리콘 정련을 수행하였으며, 제조된 실리콘의 미세구조 및 분순물농도를 측정하였다. 고진공의 챔버 하부에 수냉동도가니가 위치해있고, 상부에 100 kW출력의 전자총이 설치되었다. 실리콘은 분쇄 및 세척과 같은 전처리 없이 수냉동도가니에 250g 이 장입되었다. 전자빔때턴은 소프트웨어를 통한 헌혈, 나선형의 경로(path)와 원형의 형상(Shape)이 결합하여 원형패턴과 나선형패턴의 형상으로 실리콘에 조사되었다. 전자빔의 출력을 15 kW로 실리콘을 용융하였고 분당 0.5 kW의 속도로 서냉하였다. 제조된 실리콘은 지름 100 mm, 높이 25 mm의 버튼형상이었으며,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미세구조와 불순물거동을 분석하였다. 미세구조는 광학현미경 (OM) 과 전자현미경 (SEM)을 통하여 관찰하였고 불순물거동은 유도결합플라즈마 분광분석기(ICP-AES) 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장입된 실리콘의 초기순도는 99.5 %이고, 전자빔정련 공정 후 99.996 %까지 향상되었다. 전자빔패턴을 이용한 고순도 실리콘의 정련은 태양전지 소재 개발에 유망한 기술로 활용될 것이다.

  • PD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lk Fibroin Degummed by Protease in Bacillus licheniformis II. Behavior in Aqueous Solution of Silk fibroin (Bacillus licheniformis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한 정련 견사의 특성 III. 견 피브로인 수용액의 거동)

  • 김영대;남중희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35 no.1
    • /
    • pp.60-68
    • /
    • 1993
  • It has been known that the silk degumming treated by hot alkali solution is easy to handle but is liable to yield poor-quality silk due to the degree of degumming loss, incomplete-degumming or over-degumming. Therefore,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silk degumming by enzym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ilk. However, no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of enzymatic degummed silk. In this paper, two different degumming methods, soap and enzymatic, are compared in aqueous solution state of silk fibroi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olutions on the bases of polarizing microscopy, TEM observation and SDS-PAGE. Spherulite of silk fibroin was not observed in polarizing microscopy, however the leaf-shape fibril structure was developed upon solidification. The size of spherulites of silk fibroin in TEM observation were 30~120nm with a wide range of size distribution. The intrinsic viscosity of enzymatic degummed fibroin solution was lower than that of soap degummed solution. This can be explained that the silk fibroin was more degraded by enzymatic degumming method compared with the soap degumming method.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howed that the fibroin molecule was composed of large component of molecule weight above 50 kd and small component of molecule weight about 20 k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rystallinity between two degumming methods on the bases of results of DSC thermograms and IR spectra.

  • PDF

아아크로에 있어서 성에너지

  • 복본행남
    • 전기의세계
    • /
    • v.29 no.5
    • /
    • pp.282-289
    • /
    • 1980
  • 본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열정산결과와 성에너지의 방향성 2. 용해기에 있어서 성에너지 기술 3. 정련기에 있어서 성에너지 기술 4. 설비관리개선에 의한 성에너지 기술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ure Titanium Ingots Prepared by Electron Beam Melting (전자빔용해법에 의한 고순도 티타늄 잉고트의 제조 및 분석)

  • Kim, Won-Baek;Lee, Gang-In;Choe, Guk-Seon;Seo, Chang-Yeol;Yang, Dong-Hyo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7
    • /
    • pp.608-617
    • /
    • 1997
  • 전자빔 용해법에 의해 고순도 티타늄잉고트 및 버튼시편을 제조하였다. 이들 중 18개의 금속불순물을 GDMS(Glow Discharge Mass Spectrometry)로 그리고 탄소, 질소, 산소의 함량을 고온연소법으로 측정한 후 이들과 전기비저항, 경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99%와 99.6%스폰지를 용해한 경우 대부분의금속불순물들이 대폭 감소하는 큰 휘발 정련효과가 나타났으며 비금속불순물들의 경우는 장비의 진공상태에 따라 큰 영향을 받으며 정련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금속 불순물중 철은 가장 제거하기 어려운 원소로 밝혀졌으며 이는 원료 스폰기중에서 철이 주불순물이기 때문이며 추가적인 예비정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온 및 액체질소온도에서의 전기비저항은 가스불순물의 량이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들의 저항비($\rho$$_{RT}$ /$\rho$$_{N2}$)는 가스불순물의 총량이 1,000ppm이하의 경우 불순물량이 감소함에 따라 급격하게 저하하였으며 이 이상인 경우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이들의 경도는 가스불순물의 량이 증가하였으며 산소당량의 평방근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다.

  • PDF

Recycling of Copper Scrap (동스크랩의 리사이클링)

  • Sohn, Ho-Sang
    • Resources Recycling
    • /
    • v.28 no.3
    • /
    • pp.3-14
    • /
    • 2019
  • Copper is one of the first metals utilized by humankind about 11,500 years ago. But copper is not plentiful metallic element in the earth's crust. Copper has a high thermal and electric conductivity and is relatively corrosion resistant. In principle copper is virtually 100 % recyclable as an element without loss of quality. The recycling of copper scrap reduces the energy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burden, comparing to the primary metal production. Currently, approximately 30% of the global copper supply provides by recycling. Copper scrap is smelted in primary and secondary smelter. Type of furnace and process steps depend on the quality and grade of scrap. Depending on copper content of the secondary raw material, refining is required, which is usually done through electrorefining. This work provides an overview of the primary copper production and recycling process.

LiCl 감압 증류를 위한 폐쇄형 및 개방형 장치 기초 실험

  • Park, Byeong-Heung;Lee, Sang-Hun;Jeong, Myeong-Su;Jo, Su-Haeng;Heo, Jin-M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345-345
    • /
    • 2009
  • 전기화학적 환원 기술을 이용한 고온 용융염 전해환원의 결과 생산되는 금속전환체는 다공성 특성에 의해 전해환원의 매질인 용융염을 함유하게 된다. 전해환원과 후속 전기화학 공정인 전해정련의 전해질은 각각 LiCl과 LiCl-KCl 공융염으로 상이하기 때문에 이렇게 금속전환체에 포함된 LiCl 염이 동반되어 전해정련 공정에 도입될 경우 전해정련 공정의 공융염 조성을 어긋나게 한다. 이에 따라 금속전환체의 잔류염은 효과적으로 제거되어야 하며 공정으로 감압 증류에 의한 잔류염 제거 공정이 고려되고 있다. LiCl은 증기압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감압의 고온 조건이 공정에 필요하다. 그러나 상평형도 분석 결과 전해환원 공정에서 산화물을 담아 음극으로 사용되어 환원된 금속전환체와 함께 도입되는 SUS 재질의 바스켓과 사용후핵연료 금속전환체의 주된 원소인 우라늄과는 공융할 수 있기 때문에 LiCl 증발 온도는 $720^{\circ}C$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LiCl 증발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감압 조건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압조건에서 LiCl 휘발 실험을 위해 폐쇄형 및 개방형 반응기를 제작하여 압력 조건 및 Ar 유량 등에 따른 LiCl 휘발율을 측정하였다. 증발된 LiCl은 일정 감압 조건에서 분말형으로 냉각부위에 회수 될 수 있었으나 완전 진공 조건에서는 결정형으로 냉각 부위에 응축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일정 진공 조건에서는 Ar 유량에 따라 증발량이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증발염의 취급 빛 이송을 위해 분말형 회수를 목표로 설정할 수 있었으며 공정조건으로 일정 수준의 감압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 후 후속 연구로 장치의 대형화 및 증발 속도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계획되어 있으며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공학규모 파이로 공정 시설인 PRIDE에 도입될 장치의 기초 설계 자료를 생산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