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기적 측정

검색결과 5,228건 처리시간 0.064초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혈액 응고도의 정량적 측정과 실시간 측정을 위한 전극구조 연구

  • 노준형;김윤중;조태훈;진세환;박경순;조광섭;권기청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63.2-263.2
    • /
    • 2014
  • 최근 바이오 산업에서 대기압 플라즈마를 생체에 적용하는 실험이 늘고 있다. 그 중 아르곤 플라즈마는 혈액 응고를 촉진시켜, 의학적 활용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실험은 혈액이 응고되는 동안의 변화를 정량적 측정하고자 전기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정량적 측정 방법으로 Capacitance와 Impedance 등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플라즈마 처리 전후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비교를 통해 혈액 응고 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 중 나타나는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간 측정이 가능한 전극을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이때 플라즈마에 의해 측정장비가 영향을 받아 전기적 특성이 왜곡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해결하고자 전극의 구조 및 측정방식의 개선 실험을 진행하였다.

  • PDF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전기적 연속성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asuring Methods of Electric Continuity of Hybrid Electric Vehicle)

  • 김향곤;길형준;문현욱;최충석;최효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전문위원
    • /
    • pp.273-27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자동차(hybrid vehicle)의 고전원 전기장치 및 전기배선 충전부의 인체 접촉에 의한 감전사고의 예방을 위한 전기적 연속성의 측정방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인체 감전 보호를 위한 기본 대책으로 충전부의 기본절연, 충전부 접근에 대한 보호(배리어, 인클로져 등)가 있다.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전기적 연속성과 관련된 시험방법은 UNECE, ISO, Japan Attachment 등에서 언급하고 있다. 이들 기준에서 전기적 연속성은 $0.1{\Omega}$ 이하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전기적 연속성 측정 방법에 있어 외국의 기준과 규격의 내용을 검토하고 전기적 연속성 측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피로균열진전거동 평가를 위한 균열길이 측정법 - 직류전위차법

  • 한승호
    • 기계저널
    • /
    • 제37권10호
    • /
    • pp.41-46
    • /
    • 1997
  • 철강구조물 부재 내에 노치나 균열이 존재할 수 있고, 외부의 피로하중에 의하여 취약부에서 발생한 균열이 진전하여 전구조물의 최종파손을 야기시킬 수 있다. 부재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하고 또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미 손상된 부재에서 균열의 진전상태를 계측할 수 있는 방법이 확립되어져야 하고, 파괴역학적 파라미터를 이용한 사용재의 균열진전거동특성이 평가되어야 한다. 균열길이의 측정방법은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개발되어져 왔는데 크게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직접 균열길이를 측정하는 방법과 컴플라이언스, 초음파, AE 또는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 얻어진 결괄부터 균열길이로 환산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대별된다. 대부분의 균열길이의 측정방법은 많은 수작업이 요구되고, 특히 하한계응력확대계수영역의 미세한 균열진전량을 측정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에 대하여 전도체 시험편에 일정전류를 흐르게 하고 균열길이의 증가에 따라 변화하는 전위차로 이를 균열길이로 평가하는 전기적인 측정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실험장치가 비교적 간단하고 미세한 균열길이의 측정이 용이하여 균열길이의 직접적인 측정이 곤란한 고온역 그리고 충격하중하에서의 균열길이 측정에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여러 균열길이 측정방법의 장.단점에 대하여 고찰하고, 그 중 많은 장점을 갖고 있는 직류전위차법의 실험방법을 소개한다.

  • PDF

간이형 전기적 저압임팩터(P-ELI)의 설계 및 성능명가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Portable Electrical Low-pressure Impactor)

  • 지준호;조명훈;박동호;배귀남;황정호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1-312
    • /
    • 2003
  • 다단 임팩터는 수십 나노미터에서 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대기 에어로졸의 입경분포를 측정하는 장비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전기적 임팩터가 개발되어 기존 다단임팩터의 문제점인 운전이 번거롭고, 측정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보완하였다. 전기적 임팩터는 실시간으로 에어로졸의 크기분포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대기환경 모니터링, 디젤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의 측정, 대기오염 방시시설을 구비한 공장, 발전소, 소각로 등의 PM 모니터링 시스템 등에 응용될 수 있다.(중략)

  • PDF

DNA 염기서열 분석을 위한 전기화학적 신호 검출 방법 (Electrochemical Signal Detecting Method for DNA Sequencing)

  • 조성보;홍진섭;양송주;권광민;한승오;김영미;박정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869-1871
    • /
    • 2001
  • DNA 센서의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는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써 유전적인 질병이나 돌연변이를 찾아낸다는 점이다. 염기서열 분석법으로 질량, 광학, 전기 화학적 측정법 등이 있는데, 그 중 전기 화학적 측정방법이 타 방법에 비해 간편하고 비용도 저렴해서 전망이 매우 밝다. 전기 화학적 측정을 위해서는 전극의 표면 처리 공정과 전극 표면에서의 DNA immobilization, hybridization 공정 및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intercalator, 그리고 전기적 신호 검출을 위한 측정 장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극의 표면 처리 물질로서 2-mercaptoethanol을 사용했고 double strand DNA의 intercalator로써 methylene blue를 사용했으며, methylene blue의 환원 전류값을 측정하여 double strand DNA를 bare Au 또는 single strand DNA와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전기 화학적 신호 검출을 이용한 DNA 센서의 가능성과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고전압 측정기술

  • 길경석;이복희;하성철
    • 전기의세계
    • /
    • 제46권8호
    • /
    • pp.41-46
    • /
    • 1997
  • 최근 가스절연변전소와 같은 컴팩트화된 전력설비의 사용으로 과도전압 및 충격전류의 측정시 오차를 유발시키고 장해를 가져오는 요인 중에서 가장 현저한 것은 전자계 현상이며, 이에 대한 대책과 장해의 제거방법이 검토되어야만 한다. 또한 전력기기의 사용 중에 발생되는 과도전압과 충격전류는 진행파로서 작용하여 발생지점과 측정위치에 따라 달라지므로 종래의 저항분압기, 용량성분압기로는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전기적 신호의 과도적 현상을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측정장치가 필요하다. 다음의 3가지 고전압 측정기술은 피측정대상에 따라 가장 적합하게 제안된 것으로 측정응답을 개선하고 전자계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 PDF

전기 기계류의 소음 측정 및 평가

  • 정완섭;은희준
    • 전기의세계
    • /
    • 제44권10호
    • /
    • pp.47-54
    • /
    • 1995
  • 본 논문은 ISO 관련 소음 측정 표준안(1995년 8월 기준)들에 포함된 기본적 측정량들의 정의, 그들의 측정 및 분석 방법의 간략한 소개와 더불어 이들 규격의 활용 방안을 예시한다. 제 2절에서 소음 측정관련 기본 양들의 정의와 전문 용어들을 간략히 소개한다. 이러한 측정치를 이용하여 우리 주위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컴퓨터의 소음 측정 및 평가 방안을 제 3장에서 토의 한다. 그리고, 전기 기기류의 대표적 소음원이며 산업의 동력원인 모터 및 발전기의 소음 측정 및 특성 평가방안을 검토한다. 끝으로, 우리 산업계와 소음 관련 업무의 향후 나아갈 길을 제 5장에서 요약한다.

  • PDF

생체전기신호의 응용 (Application of Bioelectrical Signals)

  • 박광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23
    • /
    • 2004
  • 생체에서 발생되는 생체신호는 신호의 발생원에 따라서, 신호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서, 또는 이를 측정하는 센서의 특성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임상적 진료를 위한 의료의 범위를 포함하여 다른 분야에도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생체 신호는 전기적인 형태로 측정되는 생체 전기 신호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생체에서 측정되는 전기적인 신호가 어떻게 활용되고 또 활용될 수 있는지 그 응용 범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중략)

Heating Cycle에 의한 EPDM의 열화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ging characteristics of EPDM by Heating cycle)

  • 최남호;유승덕;한상옥;윤진열;박강식;김종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7-179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옥외용 절연재료에 대한 열화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펄렛상태의 EPDM 원 시료를 Hot plate를 이용하여 씨트로 제작하였다. 기후조건에 대응하는 열 싸이클에 의해 절연재료에 일어나는 화학적, 전기적 특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열싸이클을 가하면서 일정 기간별로 유전특성과 표면누설전류 및 표면의 화학적 변화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접촉각 측정을 통하여 EPDM의 전기적 화학적 열화 또는 성질 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측정 결과 EPDM은 비교적 단기간의 열싸이클에 대해서 전기적 화학적 특성변화는 그다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하트만 센서를 이용한 정밀 고속 파면측정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Fast and High Precision Measuring Algorithm of Wavefront Using the Shack-Hartman Sensor)

  • 박승규;백성훈;서영석;김철중;박준식;나성웅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28-29
    • /
    • 2002
  • 하트만 센서를 이용한 파면 왜곡 측정에서 측정 정밀도와 측정 속도는 왜곡을 실시간으로 보정하고자 하는 적응광학 기술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파면왜곡을 측정하고 보정하는 실제 환경에서 적응광학장치는 전기적으로 안정된 시스템의 구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하트만 센서를 이용한 파면 측정과정에서 넓은 측정 범위를 가지면서도 고속 정밀한 파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연구하였고 적응광학 부품들을 제어함에 있어 전기적으로 안정된 하드웨어 장치들을 구성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