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기적 성질

Search Result 990,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Magnetizing of Natural Quartz and Scoria (자연산 퀄쯔와 스코리아의 마그네타이징)

  • 소대화;정종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10a
    • /
    • pp.352-355
    • /
    • 2003
  • 비자성이며 비전도성의 물리적 성질을 갖는 자연산 퀄쯔(quartz)와 용암석 스코리아를 대상으로 마그네타이징 처리를 하여 분석하였다. 마그네타이징 처리를 위하여 강력한 기계화학적 분쇄 반응을 시켰으며, 분쇄 반응시 알코올계의 솔벤트를 반응 용매로 사용하였다. 퀄쯔와 스코리아의 마그네타이징 처리에서 비교적 비중이 큰 퀄쯔의 경우와 비중이 작은 스코리아의 경우에도 분쇄된 분말이 물에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친유성으로 기름에 대한 흡착 성질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자연산 퀄쯔와 함께 스코리아를 바탕물질로 하여 기계-화학적 반응 기술로 고 분산성 흡착반응에 의한 고분자 물잘 생성을 유도하여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반응의 처리조건과 적용과정에 따라서 기계-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얻어진 물질은 자기적 성질과 유전체 및 전기적 성질을 동시에 나타낸다. 부착성 융합 복합물질의 특징을 고려하여 시그니토마그네틱스(Segneto-magnetics)로 분류되는 합성분말은 특히 유류성분에 대하여 높은 흡착성을 가지며, 강한 자기적 성질을 띄는 10-50 nm 두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질적 융합 화합물 층이 석영이나 수정체의 표면에 합성되어 특유의 자기, 전기적 성질을 나타낸다.

  • PDF

Electrochemical Polymerization of Conducting PVC-g-Poly(methyl aniline) Copolymer and Properties (전기화학 중합에 의한 전도성 PVC-g-Poly(methyl aniline) 공중합체의 합성 및 성질)

  • 조현석;박연흠;박종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355-358
    • /
    • 2002
  • 고분자가 절연재료로서 사용되는 이유는 전기를 통하지 않는 절연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성질은 고분자가 금속재료와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이다. 그러나 1964년 W. A. Little 이 발표한 공액 이중결합구조를 가진 화합물은 전도성 고분자가 될 수 있다는 가설을 바탕으로 전도성 고분자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전도성 고분자는 절연체로서의 응용에만 한정되어왔던 기존 고분자물질들과 달리 가볍고 저렴하며 단일결합과 이중결합을 교대로 하고 있는 공액 고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화학적 합성방법에 의해 전기전도도, 유전상수, 결정 등의 물리적 성질을 조절할 수 있으며, 금속의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특성과 고분자의 기계적 성질을 동시에 가지므로 배터리, 축전기, 트랜지스터, 광전소자, 전자파 차폐제 등 플라스틱 전자소재의 실용적으로 인해 산업체에서도 높은 관심의 대상이다. (중략)

  • PDF

Fundament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lectrokinetic Behavior of Particulate Matter as an Extensive Property (입자성 물질의 크기성질로서의 표면 전기적 특성 규명에 대한 기초연구)

  • O, Se-Jin;Kim, Dong-S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6
    • /
    • pp.581-586
    • /
    • 2010
  • Generally, electrokinetic potential has been considered as an intensive property. In other words, electrokinetic potential is not affected by the amount of particulate matter. Montmorillonite, one of essential inorganic matter, was chosen to measure electrokinetic potential. The result of electrokinetic potential measuring experiment showed that the value observed to decrease as the amount of montmorillonite clay increase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otal ions that adsorbed per unit mass were decreased as the amount of montmorillonite was increased. As a result, electrokinetic potential is considered as an extensive property. By using these results, total interaction energy of suspension was also checked, and revealed that total interaction energy was decreased as the amount of montmorillonite increased.

The Effect of Titanate Coupling Agents on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VC-Ni Composite Systems (PVC-Ni 복합재의 전기적 ${\cdot}$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Titanate Coupling Agent 의 영향)

  • Tak Jin Moon;Mi Kyung Lee;Sun Ho Kim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29 no.3
    • /
    • pp.319-327
    • /
    • 1985
  • The effect of titanate coupling agents on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ductive poly (vinyl chloride)-nickel composite was studied as functions of filler concentration, the variation of the amount of titanate coupling agents and the type of titanate coupling agents. It was found that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VC-Ni system were improved by the treatment of titanate coupling agents, but the excessive use of titanate coupling agents influenced to give worse properties.

  • PDF

증착 온도 변화에 따라 성장시킨 Ga-doped ZnO 박막의 특성평가

  • Lee, Min-Jeong;Kim, Seong-Yeon;Im, Jin-Hyeong;Bang, Jeong-Sik;Myeong, Ja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3-174
    • /
    • 2009
  • 증착 온도를 변화시켜 성장시킨 Ga-doped ZnO 박막을 수소 열처리를 통해 구조적 전기적 광학적 성질을 기존의 투명 전극으로 사용되는 ITO (indium tin oxide) 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열처리 전 Ga-doped ZnO 박막의 증착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적 성질이 향상되었지만 423 K 이상의 온도에서는 과잉 dopant인 Ga 으로 인한 기여도가 커져 $ZnGa_{2}O_{4}$$Ga_{2}O_{3}$ 상으로 인해 박막의 질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소 열처리 후 과잉 dopant Ga 으로 인하여 상온에서 올린 박막만 전기적 성질이 향상되었지만 나머지 증착 온도 변화를 둔 박막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고전압절연 및 열화에 관하여

  • 성영권
    • 전기의세계
    • /
    • v.25 no.6
    • /
    • pp.31-35
    • /
    • 1976
  • 절연저항유도율 및 손실 절연파괴강도등의 정확한 과학적인 이해없이는 절연재료의 비약적인 발전은 있을 수 없다. 고전적인 물리학에서는 불가능했던 이 이해가 양자역학에 의거한 근대물성론에 의해 가능해졌고 물질의 성질을 그 구성원자의 종류와 배열에서 이론적으로 도출할 수 있게 되었다. 금후, 전기재료의 사용개발에 관여하는 기술자는 반드시 이와 같은 새로운 원자이론적인 방법을 master하지 않으면 안된다. 앞으로의 이 해설이 절연물의 전기적 성질을 매개로서 다소나마 새로운 원자론적인 사색법의 보급에 유익하게 되면 하는 것이 필자가 바라는 의도인 것이다.

  • PDF

Synergic Effect of Clay on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SWCNT/Epoxy Composites (SWCNT/에폭시 복합체의 기계적 전기적 성질에 미치는 Clay의 상승효과)

  • Choi, Won Seok;Ryu, Sung Hu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9 no.3
    • /
    • pp.204-209
    • /
    • 2014
  • Sodium-montmorillonite ($Na^+$-MMT) was introduced into single wall carbon nanotube (SWCNT)/epoxy composit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MT size and MMT/SWCNT ratio on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omposite. Three different sizes of MMTs were used and all were found to function as effective dispersion aids for SWCNTs. Mechanical properties of SWCNT/epoxy composite increased with MMT content; tending to decrease once the MMT content reached a critical level. However, the surface electrical resistance decreased with increasing MMT content and tended to increase after the critical content was reached. Critical MMT/SWCNT ratio for maximum mechanical properties and minimum electrical resistivity was strongly dependent on the MMT size. Critical MMT/SWCNT ratio was decreased with MMT size.

고분자절연재료의 방전열화

  • 이덕출
    • 전기의세계
    • /
    • v.25 no.6
    • /
    • pp.40-44
    • /
    • 1976
  • 근대산업의 에너지원으로서 전력수요의 급격한 증대에 수반하여 전력계통의 초고전압화, 관련기기의 소형화 및 장기간에 걸친 성능의 안정성, 신뢰성이 절실히 요망 하겠금 되었다. 이로 인하여 전기절욘재료에 요구되는 제성능도 일반적으로 고도화되고 점점 가혹한 조건이 부가되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근년 고분자화학의 급속한 진보와 고분자성형기술의 발달에 의하여 등장한 합성고분자재료는 그 물리, 화학적 성질 특히 전기적 성질에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성능이 점점 높이 평가되고 있어 고분자재료의 진출이야말로 전기기기절연의 양상에 일대 변화를 줄것이라 하여도 지나친 표현이 아니겠다. 이와같이 고분자가 전기절연재료로써의 가치는 물가구조로 부터 기대되는 우수한 유전성과 전기절연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는 점이라 하겠다.

  • PDF

Nuclear Magnetic Resonance of Carbon Nanotube and Boron Nitride Nanotube (Carbon Nanotube 와 Boron Nitride Nanotube 의 핵자기공명)

  • 정재갑;유권상;남승훈;이규층;이무희;이영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1 no.6
    • /
    • pp.22-27
    • /
    • 2004
  • 특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새로운 나노 소자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왔다. CNT의 전기적 성질은 직경과 chirality 의 함수로서 금속 혹은 반도체 성질을 주기적으로 가지며, 이론적 연구에 의하면 단일구역의 CNT 는 1/3 이 금속성, 나머지는 밴드갭이 수 ㎷ 로 아주 작고, 나노튜브의 직경에 반비례하는 반도체 성질을 나타낸다.(중략)

Ohmic Metal Contact on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탄화규소 반도체의 오옴성 금속접촉)

  • 조남인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251-255
    • /
    • 2003
  • 탄화규소 반도체에 대한 오옴성 금속 접촉 성질을 조사하기 위해 3종류의 금속 (Ni, Co, Cu)을 세척한 탄화규소 반도체 위에 직접 증착하여 전기적 성질을 조사 비교하였다. 이들 금속에 대한 오옴성 성질은 금속종류 뿐만 아니라 열처리조건에 대해서도 크게 좌우됨을 알 수 있었다. 열처리는 급속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진공상태 및 환원 분위기에서 2-step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접합비 저항은 TLM 구조를 만들었으며 면저항$(R_s)$, 접촉저항$(R_c)$, 이동거리$(L_T)$, 패드간거리(d), 저항$(R_T)$ 값을 구하면 접합비저항$(\rho_c)$ 값을 구하여 알려진 계산식에 의해 추정하였다. 가장 양호한 결과는 Cu 금속에 의한 접촉 결과이었으며 접합비저항$(\rho_c)$$1.2\times10^{-6}{\Omega}cm^2$의 낮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열처리는 진공보다 환원분위기에서 수행한 시편이 양호한 전기적 성질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