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공적합성

Search Result 20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Potential Drought Damage Index for socio-economic drought damage assessment (사회경제적 가뭄피해평가를 위한 잠재가뭄피해지수 개발)

  • Kim, Jin Hyuck;Ryu, Min Gyu;Lee, Chung Sung;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80-180
    • /
    • 2017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뭄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가뭄지수들은 자연현상만을 분석하여 가뭄의 심화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도시개발에 따른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인문 사회적 요소들이 서로 얽혀서 결합되어 단순히 자연현상만으로는 가뭄재해를 표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원력개념을 고려한 사회경제적 가뭄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복원력개념을 도입하기 위해서 가뭄위험지수, 가뭄대응능력 지수, 가뭄취약성 지수를 산정하였다. 가뭄위험지수로는 SDI(Streamflow Drought Index)를 사용하였으며, 사회 경제적 가뭄을 판단하기 위해서 적합 가뭄지속기간을 고려하였다. 대응능력 지표로는 인문, 사회적 요소와 생활, 농업, 공업용수 공급량, 지하수 함양량을 고려하였다. 취약성 지표로는 인문 사회적 요소와 생활, 농업용수 부족량, 기상요소를 고려하였다. 각 요소의 가중치는 AHP분석을 통해 산정하였다. 산정된 SDI(Streamflow Drought Index), 가뭄대응능력지수, 가뭄취약성지수를 표준화하여 잠재가뭄피해지수 PDDI(Potential Drought Damage Index)를 산정하였으며, 실제 가뭄 기간을 참고하여 등급화를 실시하였다. 그 후, 단순강우를 고려한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강우와 증발산량을을 고려한 RDI(Recommaissamce Drought Index)와의 비교를 통하여 복원력 개념을 고려한 잠재가뭄피해지수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survey on the Minimum Time Scale by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for Daily SPI Application (일 단위 SPI 적용을 위한 한반도 남부지역별 최소 시간 척도 조사)

  • Chae Lim Lee;Ji Yu Seo;Jeong Eun Won;Sang Da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28-328
    • /
    • 2023
  •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는 강수량 변동의 정도를 표준화하여 나타낸 지수로, 가뭄 평가에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SPI를 산정할 때는 월 단위의 시간 척도를 적용하며, 장기간의 가뭄에 대해 평가한다. 그러나 시간 척도가 길어질수록 가뭄 발생 후 가뭄을 감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더 길어지기 때문에 대처가 더욱 어려워진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 빈도가 증가하고, 그 정도가 더욱 심화되면서 일 단위의 적용이 필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반도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일 단위의 SPI 적용을 위한 최소 시간 척도를 조사하였다. 대상 지역을 강원권, 수도권, 부울경, 대경권, 호남권, 충청권의 총 6개 지역으로 분리하여, 각 지역별, 계절별 최소 시간 척도를 조사하였다. SPI 산정을 위해 후보 분포형으로 Gumbel, Gamma, GEV, Loglogistic, Lognormal, Weibull을 적용하였으며, 시간 척도는 5일부터 365일까지 총 10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선 크게 적합도 검정과 정규성 검정으로 진행하였다. 적합도 검정에서는 Chi-square test를 적용하였으며, 이때 일 단위의 짧은 시간 척도를 적용할 경우 누가 강수 시계열의 값이 0으로, 0값이 시계열에 포함되면 SPI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누가 강수 시계열의 0값을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후보 분포형을 적용하여 산정된 SPI가 표준정규분포에 합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Anderson-Darling test를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봄과 여름의 경우 최소 15일 정도의 시간 척도까지는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겨울의 경우는 최소 30일 정도의 시간 척도를 적용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지역별로 차이가 크진 않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각 지역별로 더 나은 가뭄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valuation of Cooling System Suitability for Large Scale Antenna (대형 안테나 냉각시스템의 적합성 평가)

  • Shin, Geon-Ho;Hur, Ja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20 no.11
    • /
    • pp.60-66
    • /
    • 2021
  • The antenna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has a number of electronics that generate heat. For cooling, four fans and airways circulate air inside the antenna-equipped housing to exchange heat from the cooling plate assembly. In this study, fluid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the cooling system. The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antenna exhibited temperature values lower than the maximum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components, which showed that the cooling system for the antenna had sufficient performance.

Design of the Data Detection System to classify Risk Factors and to prevent Damage in Residential Areas on Railway (철도주변 주거지역 위험요소 분류와 피해 예방을 위한 데이터 감지 시스템 설계)

  • Han, Sanghyun;Oh, Ryumdu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29-13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열차의 운행으로 인한 철도 주변 주거지역에서 다양한 유형의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 운영방안을 제안한다.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특정 위치의 필요한 센서를 부착하여 데이터를 수집 및 처리하고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철도 주변 주거지역에 어떠한 피해가 있는지 알 수 있고, 그에 적합한 적용방안을 마련하고, 시스템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더 나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The Impacts of Chinese Student's Leaning Flow and Leaning Interest on Person-Organizational Fit: Centered on the modulating effect of self-efficacy (중국유학생의 학습몰입 및 학습흥미가 개인-조직적합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Jang, Jun-ho;Xue, Ji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5
    • /
    • pp.269-274
    • /
    • 2022
  •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odern society demands global convergence talent with expert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erson-organizational Fit can be enhanced only when university institutions enhance the learning flow and learning interest of Chinese students. Only when the suitability of Chinese students and Univ. is good will it be of great help to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learning atmosphere and university image can be promoted. However, international students with excessive self-efficacy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Person-organizational Fit to making it difficult to educate and manage students. On the other hand, for international students with low self-efficacy, the higher the immersion in learning, the higher the individual-organization (Univ) suitability.

The Effect of Security Majoring Student' Loyalty on Department to Future Direction and Job Choice (경호전공 대학생들의 학과충성도가 진로정체감 및 직업선택과의 관계)

  • Kim, Sungchul;Kim, Jinhw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0 no.3
    • /
    • pp.408-418
    • /
    • 2014
  •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security majoring students' loyalty on department to future direction and job choice to suggest basic data for supporting student to prepare more active school life and future. The research object is security majoring male/female students among Y university in Gyeonggi-do Y city, K university in Gyeongsangbuk-do G city, k university in Gyeonggi-do S city between 1 Fab 2012 to 20 Aug 2012 and we randomly extracted the sample. In this research, we perform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use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selected varimax direct rotation method to prove the reasonability of the contents. We then use the Cronbach's ${\alpha}$ value to measure the trust coefficient and during the process, the repeated or questions lack of correlation were deleted with judgment of researcher to improve trusty and reasonability.

Comparison of energy efficiency by electrode materials and structure in bench scale bioelectrochemical anaerobic digestion (Bench scale 생물전기화학적 혐기성소화에서 전극재질 및 구조에 따른 에너지효율 비교)

  • Yang, Hyeon Myeong;Cheon, A In;Kim, Min Ji;Cha, Ji Hwan;Jun, Hang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6-396
    • /
    • 2022
  • 생물전기화학적 혐기성소화(Bioelectrochemical anaerobic digestion; BEAD)는 소량의 전압공급을 통해 고농도 하·폐수의 효과적인 처리 및 에너지 회수가 가능한 처리방법으로, 기존 하·폐수처리공정(활성슬러지 및 그 변법)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연구되고 있지만, 내부저항 및 전극구조에 따른 물질전달저해로 인해 소규모 연구 위주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stainless steel(SS) 등 내부저항을 완화할 수 있는 전극재료 및 전극구조 개선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BEAD 적용규모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본 연구에서는 100 L의 용량에서 전극재질 및 구조에 따른 적용적합성을 에너지효율 비교를 통해 평가하였다. 반응조는 비교를 위한 AD, 반응조 내부에 전극을 설치한 BEAD, 반응조 외부에 전극이 포함된 반응조를 추가한 ABEAD로 구성하였으며, AD 및 BEAD는 기계적 교반, ABEAD는 기계적 교반 및 펌프를 통한 bulk 용액 순환으로 물질전달이 이뤄졌다. 또한 BEAD는 탄소계 전극, ABEAD는 SS계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두 반응조 모두 0.4 V의 전압을 공급하였다. 실험조건은 유효용량 100 L, 유기물부하율 3 kg/m3/d, HRT 20 days 및 중온소화(35℃)으로 운전하였다. 실험결과 AD, BEAD 및 ABEAD의 유기물제거율은 각각 평균 68.1 %, 68.9 %, 74.9 %로 전극 및 반응조의 분리를 통해 물질전달을 개선한 ABEAD에서 증가하였다. 에너지 생성량의 경우 AD에 비해 BEAD는 평균 229 kJ/d, ABEAD는 309 kJ/d가 추가 생성되었으며 유기물제거율이 높은 ABEAD에서 더 높은 에너지생산이 이뤄졌다. 마지막으로 전압공급으로 인한 에너지소비량은 BEAD는 평균 3.4 kJ/d, ABEAD는 평균 0.9 kJ/d로 전극의 낮은 생물적합성으로 인해 전극에서의 생화학반응이 적은 ABEAD가 에너지소비량이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S 전극의 사용가능성 및 전극구조 개선에 따른 에너지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y of performance improvement in bench scale auxiliary bioelectrochemical anaerobic digestion for application suitability verification (보조 미생물전기화학적 혐기성소화의 적용적합성 검증을 위한 bench scale에서의 성능향상 연구)

  • Yang, Hyeon Myeong;Cheon, A In;Kim, Min Ji;Cha, Ji Hwan;Jun, Hang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7-397
    • /
    • 2022
  • 오늘날 급격한 인구증가 및 도시화로 인해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음식물류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음폐수의 적절한 처리방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혐기성 소화(Anaerobic digestion; AD)는 음폐수의 바람직한 처리방법으로 알려졌지만, 긴 처리기간 및 공정 불안정 등의 문제로 개선이 필요하며, 그 중 기존 AD에 보조 반응조를 추가한 보조 미생물전기화학적 혐기성소화(Auxiliary bioelectrochemical anaerobic digestion; ABEAD)가 적절한 개선방안으로 제시되었다. 하지만 아직 20 L 이상 용량에서의 연구는 이뤄지지 않았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00 L의 용량에서 ABEAD의 성능향상을 평가하고 규모증가에 따른 성능변화를 비교하였다. 반응조는 AD와 ABEAD로 구성되었다. 유효용량 100 L, 유기물부하율 4 kg/m3/d, HRT 20 days 및 중온소화(35℃) 조건으로 운전하였으며, AD는 기계적 교반, ABEAD는 기계적 교반 및 펌프를 통한 bulk 용액 순환이 이뤄졌다. ABEAD의 전극재질은 SUS304를 사용하였고, 0.4V의 전압을 공급하였다. 성능비교는 pH, 휘발성지방산(Volatile fatty acids; VFAs), 유기물제거율 및 메탄 생성량을 비교해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AD는 pH 및 VFAs가 각각 평균 7.37 및 3,880 mg/L, ABEAD는 각각 평균 7.5 및 2,870 mg/L로 VFAs의 빠른 처리를 통해 공정안전성 향상되었고, 유기물제거율 및 메탄생성량의 경우 AD는 각각 평균 65.8 % 및 85.1 L/d, ABEAD는 각각 평균 76.1 % 및 108.1 L/d로 유기물의 빠른 처리 및 메탄전환이 이루어져 비교적 큰 규모에서도 ABEAD의 성능향상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전 소규모 연구들과 비교를 통해 규모에 따른 성능향상폭을 비교했을 때에도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ABEAD는 BEAD 기술의 상용화 및 적용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the Dance Giftedness (무용영재성 판별도구 개발)

  • Lee, Jin-Hyo;Lee, Ji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3
    • /
    • pp.161-170
    • /
    • 2012
  •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4 factors of dance giftedness were operationally defined and test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accordingly. The preliminary test data obtained from 206 dancers was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and a series of reliability analyses. In order to dancer the construct validity, four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54 items, resulting in 20 items of 4 factors; physique, dance attitude Expressiveness and creativity, movement abilit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for 292 dancers to test the goodness-of-fit of 4 factor model revealed a satisfactory level of $x^2$, Q, root mean square residual(RMR), goodness of fit index(GFI), Tucker-Lewis index(TLI), comparative fit index(CFI),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RMSEA). The concurrent and cross validity indices proved the validity of 20 items of 4 factors.

A Study of Standardization on the Examination for a Diagrammatic Creativity (도형적 창의력 검사지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 디자인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

  • 강덕구;김석우;이재헌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2 no.2
    • /
    • pp.121-13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tandardization on the examination that could measure students' diagrammatic creativity at design college. For this purpose, we tested college students, who was selected by educational system, regional, and grade groups to use the examination, and suggested the standardization criterion by analyzing these data. The data analysis procedures of this study consist of three step, the first that was to investigate the goodness of the examination paper, second step was to measure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for the goodness of questions, the last step was to suggest the standardize scores for standardization on the examination. The results of the goodness and standardization analysis showed three structural factors(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of this examination were proper to measure the diagrammatic creativity, and the proposed examination tool seemed to be good enough to apply in pract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