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거 파일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KISTI 학술지 종합 목록의 서명.단체명 전거 파일 구축 연구 (A Study on the KISTI Authority File for Titles and Corporate Names)

  • 고형곤
    • 정보관리연구
    • /
    • 제32권3_4호
    • /
    • pp.73-95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KISTI 학술지 종합목록을 위한 서명 단체명의 전거 파일 구축의 단계를 소개하고, 보다 양질의 표준화된 전거 레코드의 작성에 필요한 기준과 지침의 작성에 필요한 전거 통제의 이론적 및 실무적 현황을 서술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1) NACO의 활동 및 전거 레코드 작성의 절차와 표준, (2) OCLC의 전거 파일의 구조와 검색 방법, (3) KISTI 전거파일의 구축 및 전거 레코드 작성을 위하여 필요한 구체적인 작업의 조건과 절차 (4) MARC21과 KORMARC의 전거 레코드 포맷의 비교 등을 살펴보았다. KISTI 뿐만이 아니라 많은 도서관들이 공유할 수 있는 전거 파일의 구축, 전거 통제의 품질관리를 위한 표준과 지침 마련의 필요성 등이 지적되었다.

  • PDF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회의명.단체명 전거 파일 구축 연구 (A Study on the KISTI Authority File for Conference Names and Corporate Names)

  • 윤정옥
    • 정보관리연구
    • /
    • 제33권3호
    • /
    • pp.69-85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회의명 단체명의 전거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전거 레코드 생성의 실무적 단계 및 레코드 반입의 정보원인 OCLC와 LC의 전거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을 서술하는 것이다. 주요한 내용은 전거 레코드 작성의 워크플로우, OCLC와 LC의 전거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탐색방법의 비교, 분석을 포함하였다. LC 전거 데이터베이스의 탐색을 실제 단계별로 살펴보고, 반입 레코드의 수정 실례를 들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거 파일 구축의 실무에 참조할 수 있는 지침이 되도록 하였다.

미국과 일본의 일본인 저자 전거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uthority Records for Japanese Writer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김송이;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49-170
    • /
    • 2014
  • 저자명 전거 통제는 도서관 목록 전문가뿐만 아니라 이용자에게도 통일된 접근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미국과 일본의 국가도서관은 일찌감치 저자명에 대한 전거레코드를 구축하고 통제해 오고 있으며, 이를 웹으로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소설가를 표본으로 해서 양국의 전거레코드 구축 현황과 기술수준 및 항목을 비교하여 기술 공통항목을 추출하고, 차이점을 찾아내어 국내 전거레코드 기술상 고려사항과 전거레코드 구축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국립중앙도서관의 전거 파일 공개,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을 고려한 전거 파일의 다양한 형식 제공, 전거레코드 기술을 위한 개인명표목의 선택과 형식기준 기술방침 작성,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외국인 저자명 작성 및 다른 표기들에 대한 이명 전거, 전거레코드와 도서관목록의 링크를 통한 검색 제공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자동색인어를 이용한 전거파일의 구축 (Construction of the Authority Files Using Automatically Indexed Terms)

  • 한영균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4년도 제1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96
    • /
    • 1994
  • 본 연구는 자동색인시스템의 색인기능을 통해서 추출된 색인어를 이용해서 검색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전거파일을 구축하는 작업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적 연구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언론연구원의 KINDS 서비스 시스템의 신문기사 데이터베이스에서 색인시스템을 통해 추출된 약 80만개의 색인어를 기본자료로 삼아 색인어를 하위분류하고, 그것을 이용한 전거파일 구축의 가능성을 타진해 본 것이다.

  • PDF

대학도서관 전거제어 현황분석을 통한 전거제어 방안 모색 (A Study on Direction of Authority Control by Surveying the Authority Control in University Libraries)

  • 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5-26
    • /
    • 2012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전거제어 현황 조사와 국제적인 전거제어 개념모델 및 가상국제전거파일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에 적합한 전거제어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현황 조사는 국내 대학도서관 중 전거데이터를 구축하는 기관과 구축하지 않는 기관 모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전거데이터를 구축하는 도서관은 해당 기관에서 구축해온 전거형을 유지하고자 하였으며, 미구축기관에서는 전거데이터 구축을 위해 전거관련 목록규칙과 국가적인 협력체계를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현황조사와 국제목록원칙 2009, FRAD 개념모델, VIAF에서 제시한 방안을 바탕으로 전거형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전거제어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국가의 전거규칙을 바탕으로 전거제어를 실시하되, 기관의 전거규칙에 따라 선호하는 전거형을 인정하며, 궁극적으로는 이용자 중심으로 전거형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국가적인 전거제어 규칙과 협력체계가 마련되어야 하며, 개별 도서관에서는 자관의 규칙에 따라 전거형과 이형을 생성해야 한다. 또한, 이용자 중심의 전거제어를 위해 전거데이터 기술요소가 추가적으로 입력되어야 하며, 전거형간, 전거형과 이형간의 다양한 관계를 기술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국가, 개별도서관, 이용자가 선호하는 전거형접근점을 수용하는 전거제어를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한국인 저자 전거에 관한 국가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uthority Records for Korean Writers Among Countries)

  • 김송이;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79-403
    • /
    • 2015
  • 저자 전거 관리는 저자 정보에 대한 관리뿐만 아니라, 저자명의 이형을 모아 접근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용자에게 유용하다. 본 연구는 한국문학번역원의 한국문학 작가명 데이터베이스(문인DB)와 한국과 미국, 일본의 국립도서관이 구축한 한국인 저자 전거레코드의 구축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한국인 저자 전거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문인DB는 번역출간도서의 정보가 상당수 기입되지 않았고 미의회도서관과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의 전거레코드는 저자명 누락, 잘못된 저자명 기입, 출생년과 사망년의 미표기 등 항목 누락과 오기가 발견되었으며, 국립중앙도서관은 영문 이형 및 한자 이형이 기입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인DB 정보의 수정 및 갱신, 국립중앙도서관의 전거레코드 공개, 한국문학번역원과 국립중앙도서관 등 주요 기관을 중심으로 한 국제전거 파일(VIAF)의 참가를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웹에서의 전거통제:디지털 도서관의 지식조직 시스템(KOS)과 전거 통제 (Authority Control on the Web :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 and Authority Control for Digital Libraries)

  • 윤정옥
    • 정보관리연구
    • /
    • 제33권4호
    • /
    • pp.85-105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도서관에서 지식조직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전통적인 전거 파일의 역할을 확대하여 활용하는 사례를 살펴보는 것이다. 지식조직 시스템은 정보를 조직하고 지식경영을 조장하는 모든 유형의 체계로서 디지털 도서관의 핵심적 요소 중의 하나이다. 다양한 지식조직 시스템은 웹에서 목록과 디지털 자원 사이의 링크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정보요구와 자원 사이의 다리 역할을 수행하면서 디지털 콜렉션으로부터 상관된 아이템의 검색을 지원하도록 콘텐츠를 조직한다. 지식조직 시스템이 코드를 전문으로, 객체를 기술 레코드로, 그리고 물리적 객체를 소재와 실물정보로 링크시키기 위하여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를 서술하였다.

RAMP를 활용한 EAC 기반 전거레코드의 연계 및 공유 관한 연구 - 박경리의 전거레코드를 중심으로 - (Linking and Sharing EAC Authority Records Using RAMP: Focusing on the Records of "Park, Kyung-ni")

  • 박지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1-82
    • /
    • 2014
  • 기록전거레코드는 이용자가 기록물에 접근하고, 기록물을 이해하는 것을 지원한다. 그런데 기록물의 생산자는 기록 외에 다른 출판물의 생산자이기도 하며, 이용자도 정보에 통합적으로 접근하기를 원한다. 게다가 기록전거레코드와 서지제어를 위한 전거레코드는 상이한 특성을 지니면서도 상호 연계가능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전거레코드를 구축하거나 확장하는데 기존의 전거레코드를 반입하여 이용하고, 확장된 기록전거레코드를 다시 공유할 수 있도록 위키피디아와 같은 웹 환경에 반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시범적인 연계 및 공유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제안하였다.

전거레코드 표목의 구조화 연구 - 인명과 단체명 전거레코드의 표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e of Headings in Authority Records)

  • 김태수;김이겸;이혜원;김용광;박지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3호
    • /
    • pp.1-2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거제어 방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표목의 구조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표목의 연결 구조를 전거형식과 그 이형을 참조로 연결하는 구조에서 동등한 접근점 간의 연결 구조로 개선하였으며, 전거형식 대신 전거제어번호를 식별기호로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동명이인이나 동명이단체의 식별을 위해 관련 저작정보를 제시하는 등 추가 식별정보를 제시하였으며, 전거데이터 표기체계를 기술하여 전거데이터의 교환과 공유를 촉진시키는 데 활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제시한 표목의 구조화 방식을 적용하여 전거레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전거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대표형식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이 있었던 기존의 방식과 달리 전거형식을 폐지해도 전거레코드의 작성 및 유지에 어려움이 없으며, 전거레코드의 식별과 교환 측면이 강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전거제어를 위한 국제표준이름식별자(ISNI)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ISNI for Authority Control)

  • 이미화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33-151
    • /
    • 2014
  • 본고는 정보산업 분야 전체를 포괄하는 연계식별자로서 ISNI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ISNI의 개념 및 전거제어에서 이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ISNI는 창작, 생산, 관리, 내용 배포의 흐름에서 정보매체 내용산업 전체와 관련된 개인(Party)의 대중개체(Public Identities) 식별을 위한 연계식별자로 전세계 망라적 이름 전거제어를 위해 필요하다. 우선 ISNI의 개념, 목적, 용어, 식별자구조, ISNI 할당원칙, 관리방식, 메타데이터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거제어에서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첫째, 국내 협력 전거제어를 위해 ISNI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국내에 맞는 ISNI 체제인 KISNI를 구축하여 도서관 및 정보산업 분야에서 생산되는 모든 전거데이터를 상호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연계식별자인 ISNI를 이용하여 여러 식별자를 연계함으로 링크드데이터 구축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셋째, 서지레코드 및 전거레코드에 ISNI 식별자를 기술할 수 있도록 KORMARC을 확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