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적정시비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19초

시비처리에 따른 산마늘, 곰취, 곤달비의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gularia fischeri and Ligularia stenocephala Growing at Different Fertilizing Schemes)

  • 조민석;김길남;박관수;이수원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7-10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과 곰취(Ligularia fischeri),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를 대상으로 시비처리에 따른 광합성 특성, 엽록소 형광반응, 엽록소 함량변화 등을 조사 분석하여 시비처리에 따른 공시식물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시비처리에 따른 광합성 능력 및 광화학 효율은 공시식물 모두 $5g{\cdot}l^{-1}$ 시비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10g{\cdot}l^{-1}$ 시비에서는 과량 시비로 인한 생육저하 현상으로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산마늘은 피음 처리구에서, 곰취와 곤달비는 무 처리구에서 더 우수한 광합성 특성 및 광화학 효율을 보였는데 이는 각 식물이 적정 광 환경에서 시비에 대한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식물별 적정 광도 조건에서 최대의 시비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시식물의 총 엽록소 함량은 $5g{\cdot}l^{-1}$ 시비에서 $11.70\sim24.36mg{\cdot}g^{-1}$의 범위 내로 가장 많았으며, 무처리구보다 피음 처리구에서 더 많은 함량을 보였다.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광이 부족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정상적인 광합성을 지속하기 위해 광에너지를 가능한 한 많이 확보하는 방법으로 엽록소함량을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공시식물 모두 지효성 비료인 Osmocote 이용 시 $5g{\cdot}l^{-1}$ 시비가 본 시험지와 같은 환경조건에서 가장 유용한 시비처리로 생각된다. 그러나 시비뿐만 아니라 각 산채류의 적정 광도조건에 의해 생육이 달라지는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산채류 재배 시 시비처리, 수확방법 등의 재배기술과 함께 각 식물별 적정 생육환경을 구명하는 연구가 보다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Homés방법(方法)에 의(依)한 다량요소(多量要素)의 적정(適正) 시비비율(施肥比率) 결정(決定)에 관한 연구 -III. 초지토양별(草地土壤別) 음(陰)이온 성분총량(成分總量) : 양(陽)이온 성분총량(成分總量) 적정(適正) 시비비율(施肥比率) 및 적정(適正) 총시비량(總施肥量) (The Optimal Combination of Major Nutrients Computed by the Homés Systematic Variation Technique -III.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Combination of Σ Anion : Σ Cation and the Optimal Application Rate of Total Ions on the Various Grassland Soils)

  • 정연규;김상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8-187
    • /
    • 1982
  • 초지개발이 유망시되는 전국각지의 미개간(未開墾) 산지토양(山地土壤)의 표토(表土)를 채취(採取)하여 다량(多量) 요소(要素)의 음(陰)이온총량(総量) : 양(陽)이온총량(総量)(${\Sigma}$ Anion: ${\Sigma}$ Cation) 적정시비비율(適正施肥比率)과 적정총시비량(適正総施肥量)(${\Sigma}$ion)결정(決定)을 위한 Pot시험(試驗)을 수원(水原)에서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1. 제주등 5개지역(個地域)의 토양(土壤)에 대한 혼파목초재배시(混播牧草栽培市) 각토양(各土壤) 및 초종별(草種別) 다수획(多收獲)을 얻기 위한 당량비기준의 음(陰)과 양(陽)이온 총량간(総量間)의 적정(適正) 시비비율(施肥比率)과 적정총시비량(適正総施肥量)이 계산(計算)되었다(표(表)6,7) 2. 혼파재배(混播栽培)에서 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는 음(陰)이온총량(総量), 두과목초(荳科牧草)는 양(陽)이온총량(総量) 비율(比率)이 높을수록 이들의 수량(收量)과 식생구성비율(植生構成比率)이 증가(增加)하였다. 적정(適正) 음(陰)과 양(陽)이온총량(総量) 비율(比率)은 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에서는 음(陰)이온총량(総量)이 두과목초(荳科牧草)에서는 양(陽)이온총량비율(総量比率)이 각각(各各) 타(他)이온총량비율(総量比率)보다 훨씬 높을 때였다. 3. 두과목초(荳科牧草)의 수량제고(收量提高)를 위(爲)한 적정총시비량(適正総施肥量)은 음(陰)과 양(陽)이온총량비율(総量比率)에 따라 달렀다. 양(陽)이온총량비율(総量比率)이 높아질수록 적정총(適正総)이온농도(濃度)(총시비량(総施肥量))는 증가(增加)하였고 이의 역(逆)도 성립(成立)하였다. 4. 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 및 총수량(総收量)(화본과(禾本科)+두과(荳科))에 미치는 음(陰)과 양(陽)이온총량(総量)의 각(各) 효율(效率)은 이들의 비율(比率)이 낮을때 그리고 총(総)이온농도(濃度)가 낮을때 제일(第一) 높았다. 5. 두과목초수량(荳科牧草收量)에 미치는 음(陰)이온총량효율은 대구토양(大邱土壤)을 제외(除外)하고는 화본과목초(禾本科牧草)와 같은 경향(傾向)이였고, 양(陽)이온총량효율은 총(総)이온농도(濃度)와 토양종류(土壤種類)에 따라 달랐으나 보편적(普遍的)으로 양(陽)이온총량비율(総量比率)이 높아질수록 본효율도 높아졌다. 6. 각(各) 구성초종(構成草種)의 수량(收量), 식생비율(植生比率)은 음(陰)과 양(陽)이온총량비율(総量比率), 총(総)이온농도(濃度)와 이들의 상호작용(相互作用)에 크게 영향(影響)을 받았고, 화본과(禾本科)와 두과목초(荳科牧草)는 서로 상반적영향(相反的影響)을 받았다.

  • PDF

경작지(耕作地)의 비옥도(肥沃度) 차이(差異)에 따른 황색종(黃色種) 연초(煙草)의 시비반응(施肥反應) (Fertilizer Responses of Flue-cured Tobacco on the Soils of Different Fertility)

  • 이윤환;정훈채;조성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4-198
    • /
    • 1982
  • 1974년(年)부터 1981년(年)까지의 연초경작지별(煙草耕作地別) 각종(各種) 비료시험성적(肥料試驗成績)을 수집(蒐集), 정리(整理)하여 비옥도(肥沃度)가 상이(相異)한 경작지토양(耕作地土壤)에서의 무비구 수량별(收量別) 표준시비량(標準施肥量)(10-15-20, 125kg/10a) 시비시(施肥時)의 잎담배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과의 관계를 검토(檢討)하였다. 무비구 수량(收量)이 높은 (비옥도(肥沃度)가 높은) 토양(土壤)일수록 수량(收量)은 대수곡선적인 증가를 보이나 품질(品質)은 저하(低下)하는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을 보였다. 표준시비량(標準施肥量)이 적용(適用)되는 적정비옥도(適正肥沃度)는 무비구 수량(收量)이 81kg/10a되는 비옥도(肥沃度)를 갖는 토양(土壤)이며, 무비구 수량(收量)이 이보다 많은 경작지(耕作地)에서는 현시비추천량(現施肥推薦量)이 적량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무비구 수량(收量)을 기준(基準)으로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을 추정(推定)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期待)되며, 더 나아가서 무비구 수량(收量)을 지배(支配)하는 환경요인(環境要因) 및 토양이화학적(土壤理化學的) 요인(要因)이 밝혀지면 이 인자(因子)로써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을 추천(推薦)할 수 있는 평가방법이 구명(究明)될 것이다.

  • PDF

남부지방에 있어서 수도수량구성요소 및 수량해석II. 질소시비량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의 변이 (Analytical studies on the Rice Yield Component and Yield in South Region of Korea. II. Variation in the rice yield component and yield under the different nitrogen fertilizing levels)

  • 김용재;김규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18-226
    • /
    • 1984
  • 남부 답다모작지대에 있어서 수도적정시비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질소시비량을 10a당 10, 15, 20, 25kg의 4수준, 이앙기를 5월 20일, 6월 5일, 6월 20일, 7월 5일의 4시기로하여 수량구성요소및 수량의 변이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난지 도작에 있어서 질소의 적정시비량은 서광벼는 20kg/10a, 동진벼는 15kg/10a 수준이었다. 2. 질소의 적정시비량에서 단위면적당 수수와 등숙률 사이에는 부의 유의 상관관계(서광벼 r =-0.6023* 동진벼 r =-0.8581**)가 인정되었다. 3. 시비수준에 따른 1,2차 지경 및 영화의 퇴화율은 서광벼는 질소 25kg/10a 에서, 동진벼는 질소 20kg/10a 이상의 수준에서 컸다. 4. 등숙비율에 있어서 서광벼는 질소증비에 따른 변이가 크지 않았으나 동진벼는 증비에 따른 급격한 등숙비율의 저하 경향을 보여 수량감소의 주요인이 되었다.

  • PDF

벼 엽록소 측정장치 개발 (Development of Chlorophyll Measuring System)

  • 성제훈;정선옥;박우풍;정인규;김상철;서상룡;이충근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3-369
    • /
    • 2002
  • 시비작업은 농업작업 중에서도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운 작업에 속한다. 엽색, 무성정도를 육안으로 보면서 과거의 경험, 논과 포장별 이력, 품종,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시비시기, 시비량을 적기에 판단ㆍ결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게다가 비료주기에서는 포장내 생육을 고려하여 위치에 따라 필요한 만큼 적정량을 살포해야 한다. 넓은 포장 안에서는 위치별로 생육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생육변이에 따라 시비량을 가감해야 하는 매우 복잡한 조작을 포함하고 있다. (중략)

  • PDF

토양재배시 질소 시비수준에 따른 Chicory의 생육 양상 (The Growth Pattern of Chicory as to the Level of Nitrogen Fertilization)

  • 박권우;원재희;장광호;장매희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4년도 가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92-93
    • /
    • 1994
  • 본 실험은 질소 시비수준에 따라 치커리의 품종간에 어떤 질적, 양적 변화를 가져오는지 알고자 하는 실험으로 치커리를 재배하는데 좀 더 향상된 품질을 만들어 보급함에 그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에서는 Chicory의 3가지 품종에 있어 질소시비량을 달리한 토양재배시 생육추이와 상품성을 고려하여 적정 시비량 수준을 조사하였다. (중략)

  • PDF

시비처리에 따른 활엽수 용기묘의 생장 특성 변화 (Growth Performances of Container Seedlings of Deciduous Hardwood Species Grown at Three Different Fertilization Treatments)

  • 조민석;양아람;황재홍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90-97
    • /
    • 2015
  • 본 연구는 주요 활엽수 조림수종인 느티나무, 참느릅나무, 거제수나무 및 피나무를 대상으로 세 가지 시비 처리($0.5g{\cdot}L^{-1}$, $1.0g{\cdot}L^{-1}$, $2.0g{\cdot}L^{-1}$)에 따른 근원경, 간장, 물질생산량, 묘목품질지수 등 생장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시설양묘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수종별 적정 시비기술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느티나무는 $2.0g{\cdot}L^{-1}$, 거제수나무는 $0.5g{\cdot}L^{-1}$ 시비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 및 묘목품질을 나타냈는데, 시비수준에 따른 두 수종간의 생장 특성이 반대의 경향을 보인 것이다. 또한, 시비처리에 따른 참느릅나무와 피나무의 근원경과 간장 생장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묘목품질지수는 두 수종 모두 $0.5g{\cdot}L^{-1}$ 시비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1.0g{\cdot}L^{-1}$$2.0g{\cdot}L^{-1}$ 시비처리구 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묘목 품질과 함께 경제적, 환경적 측면을 고려했을 때 느티나무는 최소 $2.0g{\cdot}L^{-1}$, 참느릅나무와 피나무는 $1.0g{\cdot}L^{-1}$, 거제수나무는 최대 $0.5g{\cdot}L^{-1}$이 적정 시비 수준으로 판단된다. 수종별 적정 시비 수준(배액, 회수)의 적용으로 우량 묘목 생산 및 이와 연계된 조림성과 향상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저감, 생산비용 절감 및 양묘 기간 단축 등 경제적 이점이 기대된다.

남부 산간고랭지에서 쌀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 (Optimum N-fertilization Level for Quality Rice Production in the Southern Alpine Area of Korea)

  • 김상수;최원영;남정권;이준희;백남현;박홍규;최민규;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30-34
    • /
    • 2006
  • 남부 산간고랭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질소시비량을 구명하고자 $2002{\sim}2004$년에 남부 산간고랭지 인 운봉에서 삼천벼를 공시하여 질소시비량에 따른 생육, 수량구성요소, 쌀 수량 및 품질 관련형질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수수와 입수는 다비할수록 많았으나, 등숙비율과 현미천립중은 다비할수록 저하되었다. 2. 백미 외관상 품위에서 완전립 비율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낮았고, 아밀로스 함량은 질소시비량 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다소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3. 쌀 수량과 완전미 수량은 질소 9 kg/10a 수준까지는 증수 되었으나 그 이상의 질소시비량에서는 수량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 따라서 남부 산간고랭지에서 완전미 수량, 완전미비율, 미질, 등숙비율 등을 고려한 품질향상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은 10a당 9 kg 내외로 판단된다.

서남부 간척지에서의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 (Proper Nitrogen Fertilizer Level for Improving the Rice Quality at Reclaimed Saline Land in the Southwestern Area)

  • 백남현;최원영;고종철;남정권;박홍규;정진일;김상수;박광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46-50
    • /
    • 2005
  • 서남부 간척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생태형별 적정 질소시비량을 구명하고자 2003년과 2004년에 호남농업연구소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 문포통(세사양토, 토양 염농도 $0.1\%$)에서 삼천벼, 화성벼, 남평벼를 공시하여 질소시비량에 따른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품질 관련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수수와 영화수는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많았으나 등숙비율이 낮았으며 현미천립중도 가벼웠다. 2. 백미의 완전립비율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낮아졌고, 단백질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다소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아밀로스함량은 질소시비량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3. 완전미 수량은 삼천벼가 질소 12/10a수준까지, 화성벼와 남평벼는 11/10a 수준까지는 증수되었으나 그 이상의 질소시비량에서는 수량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 따라서 서남부간척지에서 벼 기계이앙재배시 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및 미질 등을 고려한 10a당 적정 질소시비량은 $11\~12$으로 판단된다.

화산회토에 있어서 인산시비량이 단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sphate Rate on Growth and Yield of Sweet Corn Grown in Volcanic Ash Soils)

  • 강영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2-56
    • /
    • 1991
  • 인산흡착력이 매우 크고 유효인산함량이 낮은 제주도 화산회토에 있어서 단옥수수 적정인산시비량을 밝히고자 1986년 제주(제주통)와 서귀포(남원통)에서 인산시비량( 0, 8, 16, 24, 32kg/10a)에 따른 단옥수수 교잡종 Golden Cross Bantam 70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사일수는 무인산구에서 보다 인산 16kg/10a 이상 시용에 의하여 1~2일 단축되었다. 2. 간장, 착수고, 10a당 생간엽 수량은 두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인산시비량이 많을수록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3. 상품성 있는 이삭의 정균 길이 및 무게는 서귀포에서 보다 제주에서 컸었고, 인산시비량이 많을수록 큰 경향이었다. 4. 주당 또는 10a당 상품성 있는 이삭수, 10a당 이삭수량은 두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인산시비량이 많아짐에 따라 이차곡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인산시료와 단옥수수 가격을 고려한 적정인산시비량은 약 26kg/10a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