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정수익률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Fair Returns of Private Participants' Investments on BTO PPI Projects (BTO 민간투자사업 적정수익률에 관한 연구)

  • Shin, Sung-Hwa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0 no.2
    • /
    • pp.121-131
    • /
    • 2009
  • This study will estimate the fair return on private participants' investments on BTO type PPI (Private Public Infrastructure) projects using the data from past BTO projects in Korea. In the past, the real returns of $6%\sim9%$ were provided to privat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ose returns were too high compared with the estimated fair returns, especially for projects with the minimum revenue guarantee (MRG) by the government. Moreover, the excess portion of the return over the fair return becomes even larger when there is a demand forecast bias. In reality, most of the BTO projects have far lower actual revenues than the initial forecasted revenue in concession agreements. This phenomenon implies that BTO projects have a tendency of overly forecasting revenues. If so, the value of the minimum revenue guarantee becomes larger, and therefore, the fair return to private participants should decreas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helps future BTO projects' concession agreements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participants to become more fair from the perspectives of risk and return profiles.

A Study on The Rate of Return of Private Infrastructure Investment Project (SOC민간투자사업의 투자수익률에 관한 연구)

  • Park Young-Min;Kim Soo-Yong;Kim Ki-You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5 no.6 s.22
    • /
    • pp.179-190
    • /
    • 2004
  • Present private infrastructure investment in SOC investment has increased up to $11\%$ compared to the year 2003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In spite of its rapid increasement we don't have definite standard or system on distinctly presented rate of return for domestic private infrastructure investment yet, and practical and scientific research is not sufficient, compared to its necessity and importance. Hence, in this study we tried to build theories systematically, which are related to rate of return of private infrastructure investment to promote SOC private infrastructure investment to last successfully and present the proper level of rate of return of private infrastructure we investment appropriate in domestic situations through diverse analysis. Therefore, to present reasonable rate of return, we used 5 methods: existing research analysis, case study, financial index analysis, analysis of investors rate of return, and analysis of rate of return in a real estate market.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se methods, Ive presented in the end the appropriate level of rate of return of private infrastructure investment, which can be applied in a domestic market.

부도시의 시장반응과 후속 기업재건 여부와의 관계

  • Park, Ju-Cheol;Lee, Nam-U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1 no.1
    • /
    • pp.217-24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부도기업의 부도 후 회생여부와 부도발생시의 주식시장의 반응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즉 증권시장이 부도기업의 사후적인 회생 또는 회생실패에 대한 통찰력을 부도시에 이미 갖고 있는지를 부도처리시의 주가반응을 분석함으로써 검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외환위기 후 상장기업의 부도가 빈발하였던 1998년에서 2000년 사이에 부도가 발생한 상장회사 55개 기업을 대상으로 후에 회생한 기업(31개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24개 기업)을 구분하여 후에 회생한 기업의 부도시의 주가반응이 회생하지 못한 기업의 부도시의 주가반응보다 덜 부정적이었는지를 검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부도기업 중 후에 회생한 기업(31개기업)의 분석기간 ($-10{\sim}+10$)중 평균초과수익률과 누적평균초과수익률이 비회생기업(24개기업)의 그것에 대하여 유의한 (+)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부도기업의 누적초과수익률을 종속변수로 하고 회생여부를 나타내는 더미변수, 전년도감사의견이 적정의견인지의 여부, 부채비율, 총자산(억원) 자연 로그값, 사전적 폭로정보 대용변수로서의 지난 1년간 주가반응을 의미하는 (-230, -11)윈도우 누적초과수익률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나 부도후 회생여부를 나타내는 더미변수의 회귀계수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초과수익률 차이분석결과 회생기업의 부도시의 주가반응이 비회생기업의 그것에 비하여 유의한 (+)의 차이가 없고, 또한 회귀분석 결과 부도시의 초과수익률과 부도후 회생여부는 유의한 관계가 없으므로 부도처리시의 주가반응에서 후에 회생하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덜 부정적일 것이다라는 연구가설은 기각된다.등에 대한 평가기준의 재정립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한 변동성에서 큰 위험프리미엄이라는 연결고리를 거쳐 코리아 디스카운트라는 현상으로 귀착되는 현상에 주목하고 있는 본 연구의 결과가 실무에서 유용하게 사용됨은 물론이요 또한 본 연구의 방법론 자체가 매우 정교하고 포괄적이어서 금융시계열을 포함한 다른 여러 분야에 크게 응용될 수 있는 외부효과도 기대된다.R 효과는 전통적 의미의 일반적으로 낮은 PER종목이 초과수익률을 내는 것이 아니라, 기업규모가 크더라도 그 기업의 개별특성을 고려했을 때 이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PER가 낮은 종목에 투자하면 초과수익을 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발견하였다.적 일정하게 하는 소비행동을 목표로 삼고 소비와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음이 실증분석을 통하여 밝혀졌다. 투자자들은 무위험 자산과 위험성 자산을 동시에 고려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투자활동을 행동에 옮기고 있다.서, Loser포트폴리오를 매수보유하는 반전거래전략이 Winner포트폴리오를 매수보유하는 계속거래전략보다 적합한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Loser포트폴리오와 Winner포트폴리오를 각각 투자대상종목으로써 매수보유한 반전거래전략과 계속거래 전략에 대한 유용성을 비교검증한 Loser포트폴리오와 Winner포트폴리오 각각의 1개월 평균초과수익률에 의하면, 반전거래전략의 Loser포트폴리오가 계속거래전략의 Winner포트폴리오보다 약 5배정도의 높은 1개월 평균초과수익률을 실현하였고, 반전거래전략의 유용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장단기의 투자기간을 설정할 경우에 6개월에서 36개월로 이동함에 따라 6개월부터 24개월까지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 PDF

Optimal Asset Allocation for National Pension Considering Cohort-Specific Internal Rates of Return (코호트별 내부수익률을 고려한 국민연금 적정 자산배분)

  • Dong-Hwa Lee;Daehwan Ki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32 no.4
    • /
    • pp.69-76
    • /
    • 2023
  • To improve the financial stability of the National Pension, an appropriate target rate of return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pension liabilities, and asset allocation policies should be formulat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target rate of return considering the contributions of subscribers and the pension benefits, and based on this, derive an asset allocation. To do this, we utilized the internal rate of return methodology to calculate the target rate of return for each cohort. And then, we employed a Monte Carlo simulation-based re-sampling mean-variance model to derive asset allocation for each cohort that satisfy the target rate of return while minimizing risks. Our result shows that the target rate of return for each cohort ranged from 6.4% to 6.85%, and it decreased as the generations advanced due to a decrease in the income replacement rate of the National Pension. Consequently, the allocation of risky assets, such as stocks, was relatively reduced in the portfolios of future generation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departs from the macroeconomic-based asset allocation methodology and proposes investments from an asset-liability management perspective, which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subscribers' liabilities.

한국주식시장의 가격제한폭 적정수준에 관한 연구

  • Nam, Myeong-Su;An, Chang-Mo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3 no.1
    • /
    • pp.79-99
    • /
    • 1996
  •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증권시장에서 주가의 상하한 제한폭이 얼마수준에서 적정한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 분석을 하기 위해서 주가제한폭이 늘어남에 따라 주가변동성이 얼마나 늘어나는가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먼저 주가제한폭하에서의 주가변동성에 대한 공식을 도출하였다. 이 공식에 따르면 주가변동성은 주가제한폭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의 고유의 주가변동성과 기대수익률과 그리고 주가제한폭의 함수이다. 이 공식을 이용하여서, 유동성을 아주 적게 저해하면서 비정상적인 주가폭락 및 주가폭등을 조기에 제어할 수 있는 가능한 한 낮은 주가제한 폭으로 15%가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산업경기순환 하에서 투자행동 비동기화의 효과

  • Kim, Cha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8.05a
    • /
    • pp.25-56
    • /
    • 2008
  • 본 연구는 경기순환이 심한 대규모 장치산업에서 투자행동을 어떻게 하는 것이 경기순환의 악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수익성을 극대화시키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규모 장치산업에서는 호황기에 투자가 집중되는데, 완공까지 걸리는 시간 때문에 적정 수준을 넘어 투자가 이루어지고 이것이 다시 불황기를 불러옴으로써 경기순환이 반복된다. 위와 같은 장치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산업 동태모형을 구성하고 다양한 전략들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투자행동 방식인 시황순응 투자는 경기순환에 따른 수익의 부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지속시킨다. 둘째, 가동률의 신축적 조절이나 설비구축기간의 단축과 같은 유연화 전략은 수익성의 제고와 수익 안정화에 크게 기여한다. 셋째, 수요가 정체된 시장에서는 일정한 투자가 바람직하고, 수요가 성장하는 시장에서는 시황에 역행하는 투자가 바람직하다. 결국 경기순환이 존재하는 산업에서는 유연화 전략 및 변형투자 전략을 통해서 투자행동을 경쟁업체들과 비동기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sm Model for Determining an Optimal Capital Structure of Privately-Financed Infrastructure Projects (민간투자사업의 최적 자본구조 결정을 위한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 모델에 관한 연구)

  • Yun, Sungmin;Han, Seung Heon;Kim, Du Y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1D
    • /
    • pp.107-117
    • /
    • 2008
  • Private financing is playing an increasing role in public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s worldwide. However, private investors/operators are exposed to the financial risk of low profitability due to the inaccurate estimation of facility demand, operation income, maintenance costs, etc. From the operator's perspective, a sound and thorough financial feasibility study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appropriate capital structure of a project. Operators tend to reduce the equity amount to minimize the level of risk exposure, while creditors persist to raise it, in an attempt to secure a sufficient level of financial involvement from the operator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creditors and operators to reach an agreement for a balanced capital structure that synthetically considers both profitability and repayment capacity. This paper presents an optimal capital structure model for successful private infrastructure investment. This model finds the optimized point where the profitability is balanced with the repayment capacity, with the use of the concept of utility function and multi-objective GA (Generic Algorithm)-based optimization. A case study is presented to show the validity of the model and its verification. The research conclusions provide a proper capital structure for privately-financed infrastructure projects through a proposed multi-objective model.

손익(損益)시뮬레이션에 의한 공무원연금급여구조개선방안(公務員年金給與構造改善方案) 연구(硏究)

  • Min, Jae-Seong;Choe, Byeong-H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9 no.3
    • /
    • pp.67-94
    • /
    • 1987
  • 본(本) 연구(硏究)의 목적(目的)은 공무원연금제도(公務員年金制度)의 장래(將來) 재정안정(財政安定)을 위한 연금급여구조(年金給與構造)의 개선방안(改善方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가입후(加入後) 연금수급(年金受給)을 마칠 때까지의 갹출(醵出) 및 급여과정(給與過程)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공무원연금(公務員年金) 가입자(加入者)의 수익률(收益率), 손익분기점(損益分岐點) 및 급여수준(給與水準) 등을 분석(分析)하였다. 분석결과(分析結果) 공무원연금제도(公務員年金制度)의 현급여구조(現給與構造)가 지속(持續)된다면 재정위기(財政危機)가 초래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퇴직시점(退職時點)의 최종보수(最終報酬)를 기준으로 연금액(年金額)을 산정하고 공무원(公務員)의 퇴직연령(退職年齡)이 일반적으로 낮으며 수급자(受給者)의 평균수명이 길어져 연금액지출(年金額支出)이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대안(代案)으로 국민연금(國民年金)의 산정방법(算定方法)(전가입자평균보수(全加入者平均報酬)와 가입자개인(加入者個人)의 전가입기간평균보수(全加入期間平均報酬)를 기준으로 연금(年金)을 산정(算定))을 적용하고 연금수급시점(年金受給時點)을 60세부터로 하는 경우를 검토하여 본 결과 현저한 재정안정효과(財政安定效果)뿐 아니라 소득재분배효과(所得再分配效果)도 가져 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방안(改善方案)은 연금수급자(年金受給者)들에게 충격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정수익률(適正收益率)을 감안한 점진적(漸進的) 개선(改善)이 바람직하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ng proper house rental supplement for poors (공공임대주택 사업의 적정 주거비 보조금에 관한 연구)

  • Lee, Dong-Un;Ok, Seon-Ho;Kim, Yeong-Su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8 no.2
    • /
    • pp.59-67
    • /
    • 2007
  • The cost of low-income groups's housing expenses have been weighting since 2000. To solve this problem, governments encourage supplying rental apartments for them. House rental supplement is most common things to solve housing problem in an advanced country but there is neither earning rate nor assessment standards in our country. Therefore, studies on house rental supplement are required to develop this systems. Hence in this study, we try to suggest both proper house rental charge to encourage nongovernmental construction and house rental supplement, considerng ability to pay.

The Evaluation of Youth Overeducation and its Impact on the Wage System in Korea (청년층 학력과잉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 경제위기 전·후를 중심으로 -)

  • Park, Sung-Joon;Hwang, Sang-I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8 no.3
    • /
    • pp.141-16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atus of youth overeducation and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wage system,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this study, we adapt the following method; first, we investigate the year 1996 (before financial crisis) and year 2000 (after financial crisis) data from "the Survey Report on the Wage structure", based on the data from "the Occupational Dictionary" by occupation group. So we could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youth over-educational status, before and after financial crisis. Second, we analyze the reason why the difference occurs, with financial crisis dummy variable and other variables such as sex, occupation, industry. Third, we try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act of the overeducation on the wage rate, before and after financial cri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overeducation in year 2000 is more than in year 1996. So the financial crisis plays the important role in deepening the degree of overeducation. Second, the wage rate of the overeducated worker is higher than that of the required-educated worker. Also, the both wage rates are increased after financial crisis. However, the difference of both wage rates' has declined over the financial crisis. Such a finding means that even though the both wage rates of the overeducated and the required-educated worker are increased, the wage rate of the required-educated worker has increased much more than that of overeducated worker, after the financial cri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