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적정고도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31초

양액이온 농도 차이가 오이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onic Strength of Nutrient Solution on Growth and Yield in Cucumber(Cucumis sativus L.))

  • 권병선;정현희;신동영;김학진;임준택;현규환;신정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3-229
    • /
    • 2003
  • 본 연구는 양액재배 오이의 생장과 수량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적정 양액 농도를 구명하기 위해서 양액의 이온 농도를 달리하였다. Yamazaki의 오이 처방을 기본으로 하여 1/4, 1/2, 3/4, 1, 3/2, 2 배농도를 상이하게 처리하여 생장 특성, 수량 및 질소 함량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 시기별 초장과 엽수의 증가속도는 저 농도 구인 1/2배 농도에서 가장 빠른 증가속도를 보였다. 2. 양액의 이온농도 차이에 따른 오이의 생육 형질은 유의적인 생장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생육 시기별 초장, 경장과 엽면적은 1/2배 농도구에서 수치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3. 양액의 이온농도 차이에 따른 오이의 과실수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주수에서는 고농도구인 2배 농도가 86.00, 86.75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과실수는 1/4배 농도와 표준 농도에서 가장 낮은 74.25, 85.25를 보였으나 수량에서는 저 농도인 1/2배 농도와 3/4배 농도가 가장 높은 22.60, 22.07kg을 보였다. 4. 질소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l/2배 농도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5. 양액의 이온농도 차이에 따라 정식후 36일 조사 시기의 모든 생육형질과 수량 특성에서 수치상으로 높은 값을 보인 1/2배 농도에서의 상관관계는 초장과 경장은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초장과 엽면적에서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주수와 과실수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과실수와 수량은 유의한 정 의 상관을 나타냈다.

우사(牛舍) 폐수중(廢水中)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 제거(除去)를 위한 zeolite column의 적정조건(適正條件) (Optimum Condition for $NH_4-N$ Removal in Cowshed Wastewater by Zeolite Column)

  • 이동훈;최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2-238
    • /
    • 1996
  • 폐수(廢水) 중(中)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를 zeolite column을 이용(利用)하여 제거(除去)할 경우 그 제거효율(除去效率)을 높이기 위한 zeolite column의 적정조건(適正條件)을 조사(調査)하였다.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 용액(溶液)의 column 투과속도(透過速度), 유입수(流入水)의 농도(濃度) 및 분취회수(分取回數)가 증가(增加)할수록 제거효율(除去效率)은 감소(減少)하였다. Zeolite첨가량(添加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의 제거효율(除去效率)은 증가(增加)하였으나, column의 직경(直徑)이 커질수록 그 효율(效率)은 감소(減少)하였다.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의 제거효율(除去效率)에 미치는 요인(要因)들을 다중회귀분석(多重回歸分析)한 결과(結果) zeolite의 첨가량(添加量), 투과속도(透過速度), 용액(溶液)의 첨가농도(添加濃度) 및 분취회수(分取回數)와 제거효율(除去效率) 간에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나, column의 직경(直徑)과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Column의 직경요인(直徑要因)을 제외(除外)한 변수(變數)들에 대한 회귀식(回歸式)은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의 제거효율(除去效率)(%) = $0.620\;{\times}\;zeolite$의 양(量) $-0.456\;{\times}$ 투과속도(透過速度)$-0.212{\times}$ 용액(溶液)의 첨가농도(添加濃度)$-3.038{\times}$ 분취회수(分取回數)+100.1로 나타났다. 회귀식(回歸式)에 의한 제거효율(除去效率) 리논치(理論値)와 실제 축산폐수(畜産廢水)의 투과실험결과(透過實驗結果)인 실험치(實驗値)는 거의 일치(一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2기작재배시 후기작 재식밀도에 따른 식용 풋찰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 (Effect of Planting Densities on Growth and Yield of Fresh Waxy Corn as Second Crop)

  • 김은석;김수경;김대호;손범영;강동주;최진용;송근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90-194
    • /
    • 2000
  • 남부지방 노지에서 식용 풋옥수수 2기작 적정 재식 거리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7년까지부터 1998년까지 2년간에 걸쳐 풋옥수수로 적합한 찰옥 2호를 7월 10일 파종하였다. 재식 밀도는 ha당 55.5천본, 66.6천본, 83.3천본, 111.1천본으로 달리하여 주요 생육특성 및 수량반응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은 재식밀도가 ha당 55.5천본일때 평균 154cm이었으나, 재식밀도가 증가할 수록 커져 111.1천본에서는 168cm로 컸다. 또한 착수고와 중심고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재식밀도 차이에 따른 도복은 없었다. 2. 출사기에 조사한 단위면적당 건물중은 재식밀도의 증가에 따라 무거워졌고, 엽면적지수도 건물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3. 2기작에서 출사기는 재식밀도간에 차이가 없이 8월 27일로 동일하였다. 4. 이삭길이와 이삭폭은 재식밀도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착립장은 가장 밀식인 ha당 111.1 천본에서 짧았다. 이삭수는 재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많아졌으나, 이삭중은 ha당 83.3천본에서 2개년 평균 11.2 MT으로 가장 무거워 적정 재식밀도는 약 80천본으로 추정되었다.

  • PDF

제약산업 R&D 인력수급 전망과 인력수급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 - 델파이 조사 기법 적용 (Study on R&D Manpower Requirements for the Field of Pharmaceutical - An Application of Delphi Method)

  • 최한주;서창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270-1277
    • /
    • 2011
  • 제약산업은 연구개발 비중이 높은 지식기반산업으로 우수한 연구개발 인력에 기초한 연구 역량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로 작용한다. 연구개발 역량이 우수한 국가가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높은 기술력만 있으면 세계 시장지배를 통해 고도성장이 가능한 분야다. 특히 제약분야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적정 규모의 연구인력 확보가 선결되어야할 과제다. 본 연구는 전문가 델파이 기법을 이용하여 제약분야의 연구개발 인력 수급 현황(2007년)과 함께 미래(2017년)의 인력수급 현황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 현재 제약 산업 분야의 연구개발 인력은 적정규모에 비해 약 5,600명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다(부족률: 약 18.1%). 둘째, 향후 2017년에는 필요 연구개발 인력 대비 공급이 약 13,500명 부족할 것으로 전망되어 연구인력 수급 불균형은 향후 더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결과는 정부의 제약 분야에 대한 R&D 인력수급 정책의 변화가 없을 경우 향후 인력 수급에 심각한 차질(부족 현상)이 예상됨을 보여주는 만큼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인력 수급 정책마련이 시급하게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독활(獨活)(Aralia continentalis K.) 주산지(主産地) 토양특성(土壤特性)과 시비양분(施肥養分)이 근경수량(根莖收量)에 미치는 영향 -II. 3요소(要素) 시비수준별(施肥水準別) 수량반응(收量反應)과 무기성분(無機成分) 흡수(吸收) (Effect of Soil Characteristics and Fertilizer Application on Fresh Root Yield of Aralia continentalis K. -II. Yield Response to N, P, K Application rates and Nutrient Uptake)

  • 오동훈;황남열;나종성;박건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9-214
    • /
    • 1994
  • 독활(獨活)에 대(對)한 3요소(要素) 시비량(施肥量) 차이(差異)가 생육(生育) 및 수량반응(收量反應)과 양분흡수(養分吸收)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 적정(適正) 시비량(施肥量)을 얻고자 축행(逐行)과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시비량(施肥量) 증가(增加)에 따라 파종후(播種後) 1년차(年次)와 2년차(年次) 공(共)히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과 뿌리수량(收量)이 증가(增加)되었고 회귀식(回歸式)에 의한 2년차(年次) 3요소(要素)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턴은 10a당(當) 질소(窒素) 38kg, 인산(燐酸) 21kg, 가리(加里) 18kg이었다. 2. 독활(獨活)의 뿌리수량(收量)에 대(對)한 제형질(諸形質)의 기여도(寄與度) 값을 비교(比較)해 본 결과(結果) 초장(草長), 근경(根徑), 묘두수(苗頭數), 경대(莖大), 근수(根數) 순(順)으로 나타났다. 3. 3요소별(要素別) 상대수량(相對收量) 지수(指數)는 질소(窒素), 가리(加里), 인산(燐酸) 순(順)으로 낮았고, 시비효율(施肥效率)은 가리(加里), 인산(燐酸), 질소(窒素) 순(順)으로 높았다. 4. 독활(獨活) 잎의 무기성분(無機成分) 분석결과(分析結果) 석회함량(石灰含量)이 가장 많은 반면(反面), 인산함량(燐酸含量)이 적게 함유(含有)되어 있고 질소(窒素)와 가리(加里) 시비량(施肥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잎의 질소(窒素)와 가리함량(加里含量)도 증가(增加) 경향이었으며 특히 질소함량(窒素含量)이 뿌리수량(收量)과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정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5. 무기질비료(無機質肥料)와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처리간(處理間)의 생약(生藥) 일반성분함량(一般成分含量) 즉 이물함량(異物含量), 회분(灰分), 에탄올 추출 엑기스를 비교(比較) 분석(分析)한 결과 두 처리(處理)간에 뚜렷한 성분함량(成分含量)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 PDF

펄라이트 배지의 물리성과 화학성 분석 (Analysis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Perlite Substrate)

  • 조영렬;손정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0-26
    • /
    • 2000
  • 본 실험은 펄라이트의 물리성, 화학성 및 배수 특성을 구명하고 이를 근거로 배지내 적정 수분관리를 시도해 보고자 수행하였다. 입자 분포를 5단계로 분류하였고, very-coarse 이상의 입자들이 98.5%를 점유하였다. 물리적인 특성은 very-coarse 이상의 입자들이 coarse 이하의 입자들보다 기상 비율은 각각 76.7%와 87.5%로 낮았지만, 고상 비율은 각각 13.2%와 7.0%, 액상 비율은 각각 10.2%와 5.5%로 높았다 양이온치환용량은 fine 입자가 1.867 me.100g$^{-1}$로 크게 나타났다. 배수 면적이 클록 배수량이 많았으며, 관수 후 5분 이내에 관수량의 65~70% 정도가 배수되었다. 배지 깊이에 비례해서 배지내 수분량의 차이가 있었으며, 배수 후 펄라이트의 수분량은 약 2mL.$cm^{-2}$.$cm^{-1}$ / 정도로 추정된다.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pF 수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지내 수분함량과 pF치간의 관계는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R^2$=0.997)이 있었다. 펄라이트 배지의 배수 특성을 파악하여 배지내 적정 수분함량을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신간척지에서 염해경감 및 등숙률 향상을 위한 완전낙수시기 구명 (Establishment of Perfect-Drainage Period for Reduction of Salt Injury and Improvement of Grain Filling Ratio in the Newly Reclaimed Land)

  • 최원영;양창휴;이장희;김택겸;정재혁;최민규;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77-181
    • /
    • 2011
  • 본 연구는 신간척지에서 적정 완전낙수시기를 구명함으로써 안정적인 수량확보 및 미질향상을 하기 위하여 완전낙수시기를 출수 후 25일부터 50일까지 5일 간격으로 처리하여 신간척지인 새만금 계화포장에서 수행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10년 출수 후 적산온도는 평년대비 수확기를 기준으로 $100^{\circ}C$ 정도 높았고 강수량은 약간 적었다. 2. 평균 주당수수는 16.5개 이었고, 수당입수는 88개 이었다. 3. 출수 후 40~50일 낙수처리가 출수 후 25~35 일 낙수처리보다 등숙비율은 3% 정도 높았고 현미천립중은 0.6 g정도 무거웠다. 4. 쌀수량은 출수 후 25일 낙수 대비 30~35 일 낙수에서는 유의차가 없었고, 40~50일 낙수에서는 7~8% 증수하였다. 5. 완전립비율은 출수 후 35 일 낙수에서 높았고, 단백질 함량은 조기 낙수할수록 낮았다. 6. 토양수분과 토양경도는 고도의 부의상관이 있었고, 완전낙수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토양중 EC는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신간척지에서 안정적인 쌀 수량 확보를 위한 적정 완전낙수시기는 출수 후 40~50 일이라고 판단된다.

남한 강수량 분포 추정을 위한 PRISM 매개변수 및 수치표고모형 최적화 (Optimization of PRISM Parameters and Digital Elevation Model Resolution for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 박종철;정일원;장희준;김만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6-51
    • /
    • 2012
  • 생태환경모델링, 수문모델링, 기후변화 영향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규 격자 형태의 기후자료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PRISM(Precipitation-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은 다양한 격자형태의 기후자료 생산방법 중 고지대의 강수량 추정에 유용한 방법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 모델의 매개변수 및 모델에 사용되는 수치표고모형의 공간해상도 최적화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RISM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SCE-UA(Shuffled Complex Evolution-University of Arizona) 기법을 이용하여 2000-2005년 1km 공간해상도의 남한 연평균 강수 격자자료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PRISM 매개변수 최적값 및 DEM의 적정 공간해상도를 추정하였다. 아울러 매개변수와 수치표고모형에 대한 PRISM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PRISM 모델에서 관측소 최대 탐색반경(67km)과 최소반경(31km), 지형고도-강수량의 선형회귀식 산정에 필요한 최소 관측소 개수(4개), 수치표고모형의 적정 공간해상도($1{\times}1km$) 등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PRISM 모의 결과가 수치표고모형의 공간해상도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PRISM 기법을 국내에 적용할 때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Fenton 산화공법을 적용한 염색폐수처리 연구 (A study on the dye wastewater treatment by Fenton oxidation process)

  • 안준수;박태술;조정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274-4282
    • /
    • 2011
  • 본 연구는 염색폐수 처리시설에서 생물학적공정(2차) 처리를 거처 배출되고 있는 방류수 중에 미처리되어 잔존하고 있는 난분해성 유기물(COD)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도처리공법으로서 Fenton 산화공정을 적용하여, 공법의 적용 가능성과 최적의 운전조건을 얻고자, 실험실 실험과 Pilot Plant 현장 운전을 실시하였다. 본 Fenton 산화실험의 원수로 사용된 생물학적(2차) 처리수의 수질은 실험기간동안 $COD_{Mn}$ 30~50mg/L으로 측정되었다. Fenton 산화반응 실험 결과, 최적의 반응조건은 pH 3~3.5, 반응시간 2~2.5시간, 약품 주입량비($FeCl_2$(33%)/$H_2O_2$(35%)) 3 : 1 로 나타났다. 약품 주입량 비가 적정조건일 때, 슬러지 발생량($SV_{2hr}$)은 전체 양의 21~28% 범위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Pilot Plant 실험 결과, 산화반응조의 체류시간 변화에 따라 처리효율이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적정 체류시간은 2.0시간 이었다. 현장에 Pilot Plant($2m^3/d$)를 설치하여 연속운전을 실시한 결과, COD 농도가 제거효율 면에서 60~70%를 나타내었고, 처리수질은 20mg/L 이하로 측정되어, 대체로 안정적이고 양호한 처리효율을 나타내고 있었다.

폐기물처리시설의 세부검사방법 마련연구(I): 공정별 주요인자 도출 및 물질·에너지수지 산정 (A study on inspection methods for waste treatment facilities(I): Derivation of impact factor and mass·energy balance in waste treatment facilities)

  • 이풀잎;권은혜;손준익;강준구;전태완;이동진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1호
    • /
    • pp.69-84
    • /
    • 2023
  • 폐기물처리시설의 지속적인 설치·정기검사에도 불구하고 현장 처리시설에서는 과다소각, 불법투기 악취 등에 대한 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현재의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정기 검사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현재 운영중인 폐기물처리시설(6개분야)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각 분야별 폐기물처리공정을 파악하고 검사에 적용된 주요한 운영인자를 파악하고, 주요공정별 물질·에너지수지를 산정하여 폐기물처리시설의 적정 운영 여부를 확인하였다. 주요 운영인자 조사 결과 소각 및 시멘트 소성로, 소각열회수시설 등의 경우 소각에 필요한 소각로의 온도 유지 및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처리가 가장 주요한 인자였으며, 매립시설의 경우 옹벽의 안정성, 매립 후 발생되는 침출수 및 배출가스 관리가 주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멸균·분쇄시설의 경우 멸균여부(아포균검사)가 가장 중요한 주요인자 이었으며, 음식물류폐기물처리시설의 경우 발효(소화, 부숙) 시 체류시간 및 악취관리가 주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또한 물질에너지수지 산정 결과 소각시설의 경우 폐기물 투입량 대비 바닥재 발생량은 약 14%, 비산재 발생량은 약 3%로 적정 운영되고 있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음식물류폐기물시설 중 혐기성분해시설의 경우 유입량 대비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약 17%, 바이오가스 전환효율은 약 81%로 나타났고, 퇴비화시설의 경우 유입폐기물 대비 약 11%의 퇴비가 생산되어 모두 적정운영 되고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폐기물처리시설 검사방법의 고도화를 이루기 위해 세부검사방법의 정량적 기준 적립 뿐만 아니라 각 시설의 정기검사 시 1년간의 운영자료 등을 수집하여 폐기물의 흐름을 파악하고 처리시설의 적정운영 여부를 판단한다면, 처리시설의 운영 및 관리효율이 상승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