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절한 공급 방식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Experimental Studies on Electrohydrodynamic Atomization of CIGS Nanoparticle Precursor (CIGS 나노입자를 포함한 전구체의 전기수력학적 분무에 관한 실험적 연구)

  • Woo, Jihoon;Yoon, Sukgoo;Kim, Hoyoum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41.1-41.1
    • /
    • 2010
  • 전기수력학적 분무를 이용한 액적 미립화 기술은 나노사이즈의 액적 형성, 쿨롱 반발력에 의한 균일한 액적 형성, 그리고 향상된 액적 타겟팅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매우 균일한 박막 코팅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 힘입어 현재 진공 공정으로 제작되고 있는 CIGS태양전지의 광흡수층을 비진공 공정중 하나인 전기수력학적 미립화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Ethanol-based 의 CIGS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콜로이드 상태의 전구체를 이용하여 적절히 가열된 몰리브덴 배면 전극위에 적용하였다. 미립화한 액적은 접지된 몰리브덴 층에 부착되는 즉시 증발하여 CIGS입자를 남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조건은 기판의 온도, 인가 전압, 전구체의 유량이다. 분사 모드는 Cone-jet을 적용하였으며 5~15kV의 인가 전압에서 1ml/hr내외의 유량을 공급하여 3분 이내에 적절한 광흡수층 두께인 1마이크론 내외에 도달할 수 있다. 이와같은 조건으로 형성된 박막층에 관한 SEM image를 통해 다른 비진공 코팅 방식과 비교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Protection Performance of TT and TN Systems for Low-Voltage Consumers Against Lightning Surges (저압수용가에 공급하는 TT, TN계통의 뇌서지에 대한 보호성능의 평가)

  • Lee, Kyu-Sun;Choi, Jong-Hyuk;Lee, Bok-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4 no.6
    • /
    • pp.67-74
    • /
    • 2010
  • Most of domestic low-voltage consumers are supplied from the TN-C system of KEPCO, but their load installations hav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utory standard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based on the TT system. In this work, to propose the proper system earthing arrangements of ensuring the protection of information-technology equipment against lightning surges, the protection performance of TT and TN systems against lightning surge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when lightning surge was injected to the neutral line of distribution system,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equipment earth terminal and neutral point of low-voltage mains in a TT system was significantly raised. The TT system is not advised due to the risk of damage to the sensitive computer equipment. Main equipotential bonding is an important requirement for protection of low-voltage installations against lightning surges. The TN system provides the best means to reduce the incoming lightning surges through the neutral line of low-voltage service systems. In addition, It is highly recommended to install the additional earthing at the service position of low-voltage consumers.

P2P Streaming Enhancement Using Selective PUSH/PULL Based on Chunk Distribution (Chunk 분포도에 따른 선택적인 Push/Pull을 이용한 P2P 스트리밍 성능향상 기법)

  • Jo, Duhwan;Lee, Cho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75-176
    • /
    • 2009
  •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와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는 보편화와 급격한 성장을 바탕으로 보다 나은 품질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 과정에서 P2P 시스템을 이용한 비디오 스트리밍은 서비스 공급자에게 비용상으로 큰 이점을 안겨 주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는 보다 나은 다운로드 속도를 제공하는 등 많은 장점을 가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P2P 비디오 스트리밍의 대표 방식인 push와 pull을 혼합하여 시기 적절하게 사용하는 새로운 push/pull 방식을 제안한다. 본 방식은 push와 pull을 chunk 분포도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push와 pull 방식의 장점을 모두 포함하게 된다

Development of Capacitive Sensing Based Self-sustainable Water Monitoring Sensor Node for Plant Growth Management (정전용량 센싱기반 식물생장관리용 자기유지 지원 수분 모니터링 센서노드 설계)

  • Song, Min-Hwan;Lee, Sang-Shin;Won, Kw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986-988
    • /
    • 2012
  • 최적의 식물 생장을 위해서는 적절한 수분의 유지가 필수적이며 넓은 지역, 다양한 종류, 고가의 식물의 경우일수록 적절한 수분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저가의 센서노드 시스템이 적절한 해결책이 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배터리 기반의 센서노드 시스템을 적용시 배터리 용량 확인 및 교체 등의 유지보수 문제가 대두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지보수의 문제를 해결하고 식물재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기유지 지원 방식의 정전용량 센싱기반의 수분 모니터링 센서노드를 설계하였다. UHF 기반의 무선 전력 전송의 자기유지 지원 시스템 및 PCB 패턴기반의 정전용량센싱 수분센서와 초저전력 센서노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센서노드는 한번 송신시 약 0.24 mJ을 소모하며 에너지획득모듈은 에너지 획득 주기마다 약 4 mJ의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설계하여 센서동작을 위한 충분한 에너지 마진을 주도록 설계하였다.

Estimation of the Water Requirement with the Farming Conditions in Paddy Field (영농방식변화에 따른 논용수수요량의 산정 -직파재배, 이앙방법 중심-)

  • Kim Jin Taek;Joo Uk Jong;Park Ki Wook;Lee Jong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45-1449
    • /
    • 2005
  • 벼재배에 있어서 기계이앙은 1970년 이후 급속히 이루어졌으며 90년대에 이르러서는 노동력과 농업용수 절감을 위하여 직파재배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어 영농방식 변화가 농업용수의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실제 영농상황과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방법간의 차이를 조사 분석하고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을 위한 적절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 및 실제 현장에서의 영농상황을 조사하고 수원공으로부터 관개구역으로 공급하는 용수공급량을 측정하였으며 3개지구를 대상으로 필요수량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이앙재배에 있어서 기계화의 보급과 비닐하우스 등의 설치에 의하여 이앙기간과 이앙시기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과거에 비하여 이앙시기는 앞당겨지고 이앙기간은 짧아졌는데 이러한 변화는 지역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과거와 비교하여 농업용수 수요량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변화는 대부분 4월, 5월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직파재배는 이앙재배에 비하여 용수를 많이 필요로 하는데 본답기 이전에 용수수요량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직파재배의 면적은 1997년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다 잡초성 벼의 번성, 연작의 피해 등으로 인하여 재배면적이 줄어든 상태이다.

  • PDF

Analysis on Flow Control Method for Simultaneous Fuel Filling of the Korea Space Launch Vehicle-II (한국형발사체 연료 동시충전을 위한 유량제어 방식에 대한 고찰)

  • Yeo, Inseok;Lee, Jaejun;An, Jaechel;Kang, Su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5a
    • /
    • pp.5-13
    • /
    • 2017
  • To lunch the Korea Space Launch Vehicle-II(KSLV-II), the second launch complex will be constructed on the Naro Space Center and Kerosene Filling System (KFS) will be also installed newly. KFS of KSLV-II launch complex system is being designed based on Naro Launch Complex. But this must supply fuel to fuel tanks of the vehicle with only a supply pump because KSLV-II is a 3-stage launch vehicle unlike Naro Launch Vehicle or Test Launch Vehicle (TLV). A sudden rise of pump output pressure is recognized during fuel filling scenario selection process. This occurs because return flow can not actively deal with a lot of flow change using flow control method of orifice type. To solve this problem, it is verified that fuel can be stably supplied by installation of accumulator and an appropriate adjustment of filling mode change sequence through flow analysis of various cases.

  • PDF

Analysis on Flow Control Method for Simultaneous Fuel Filling of the Korea Space Launch Vehicle-II (한국형발사체 연료 동시충전을 위한 유량제어 방식에 대한 고찰)

  • Yeo, Inseok;Lee, Jaejun;An, Jaechel;Kang, Sun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2 no.5
    • /
    • pp.132-140
    • /
    • 2018
  • To lunch the Korea Space Launch Vehicle-II(KSLV-II), a second launch complex will be built at the Naro Space Center, and a Kerosene Filling System (KFS) will be installed. KFS of KSLV-II launch complex system is being designed based on Naro Launch Complex. But this must supply fuel to fuel tanks of the vehicle with only a supply pump because KSLV-II is a 3-stage launch vehicle unlike Naro Launch Vehicle or Test Launch Vehicle (TLV). A sudden rise of pump output pressure is recognized during fuel filling scenario selection process. This occurs because return flow can not actively deal with much flow change using the orifice-type flow-control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it is verified that fuel can be stably supplied by installing an accumulator, designed for appropriate adjustment of filling-mode change sequence via flow analysis of various cases.

The Effect of Makeup Air on Kitchen Hoods (주방후드에서 보급공기의 영향)

  • 장경진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2 no.11
    • /
    • pp.63-68
    • /
    • 2003
  • 주방환기의 계획에 있어서 조리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적절히 배기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기구의 배치와 발열량을 평가하고 후드의 위치와 종류 그리고 덕트직경과 경로를 결정하며 적정한 풍량을 제거하기 위한 배기팬을 선정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실내 공기밸런스 계획을 시행함에도 불구하고 배기된 체적에 해당하는 풍량을 보충 공급하는 방식에 대한 고려는 현재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 PDF

Rural Revitalization through the Locavore Movement (로카보어(Locavore)운동을 통한 농촌 활성화 방안)

  • Kim,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371-372
    • /
    • 2013
  • 먹거리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져가면서, 무엇을 먹을 것인지 식료품을 어떻게 구매할 것인지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에서 2000년 중반부터 생겨난 신조어인 '로카보어 (locavore)'는 이와 같은 현상을 반영한 것이다. 이 용어는 지역이라는 의미의 '로컬(local)'과 먹는다는 뜻의 'vore'에서 파생된 것으로서 '지역에서 생산된 음식을 먹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건강에 좋은 음식을 소비하기 위한 적절한 장치로 로카보어 운동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음식 공급 체계를 유지할 수 있다. 농촌경제는 이어지는 FTA체결 등 시장 개방의 압력으로 인해 쇠퇴 일로에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보면 지금은 지역농업을 살리기 위한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대응책을 개발할 시점이다. 따라서 로카보어 운동을 활성화함으로써 농촌 공동체는 사회적 결속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 포천을 로카보어 운동의 한국형 모델로 선정하였다. 이는 포천이 서울과 근접해 있으며 관광객들이 자주 찾는 관광콘텐츠가 지역에 산재해 있을 뿐만 아니라 도 농복합도시로서 다수의 농장과 경작지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인근 대도시의 농축산물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충분한 농축산물 산지라는 것이 장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포천은 품질 좋은 지역의 농축산물의 공급처로서 '농축산 플랫폼(agro-platform)'의 구축을 체계화함으로써, 한국형 로카보어 운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Air Flow Calculation System for Sewage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Inflow Water Quality (유입수질에 따른 하수처리장 송풍량 산정 시스템 개발)

  • Shin Geol Kim;Wooseok Yeo;Deok-Hyeon Kim;Jong Kyu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6-486
    • /
    • 2023
  • 하수처리장 내 생물반응조에서는 유기물을 제거하거나 질산화(Nitrification) 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산소를 요구하고 있으며, 필요한 산소는 송풍기 운영을 통해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질산화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 처리장 내 일정 이상의 산소가 수중에 공급되어야 한다. 생물반응조내 용존산소가 부족할 경우 활성슬러지의 침전성이 저해되어 오염물질 저감 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과도한 산소가 공급되어도 수처리의 효율은 개선되지 않으며 반응에 사용되지 않은 산소들은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또한 유입수질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응조 내 필요한 산소는 달라지게 되므로 유입수질에 맞는 효율적인 하수처리장 운영이 요구되고 있다. 하수처리장 내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실제생물학적 처리시 요구되는 산소의 양을 산정할 수 있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하수 성분, 용량과 같은 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적용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하수도 설계 시 사용되어지고 있는 하수도 시설기준의 산소요구량 및 공기공급량 산정식을 통하여 유입수질에 따라 실제 하수처리장에 필요한 산소요구량 & 공기공급량을 산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하수도 설계기준의 여러 가지 수식을 실제 하수처리장 내 필요한 요소로 변환시켜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하수처리장 송풍량 산정 시스템 적용에 따른 송풍량 절감 효율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2021년 A하수처리장의 4월 월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하수처리장에서 필요한 송풍량을 산정하여 실제 사용된 송풍량과 비교 분석하여 송풍량 절감 효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하수처리장 내 송풍량 산정 시스템을 도입하게 된다면 운전자 경험에 의존하고 있는 수동적인 제어 방식에서 벗어나 자율 제어를 통한 효율적인 하수처리장을 운영할 수 있어 송풍량 절감 및 탄소중립에도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