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절한 공급 방식

Search Result 97,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VSC Output Range Extension Schemes for Improving Power System Transient Stability (계통 과도안정도 향상을 위한 전압형 컨버터의 출력범위 증가 운전기법)

  • Lee, Seungyong;Jung, Jae-J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97-99
    • /
    • 2020
  • 전압형 컨버터는 전력 공급의 4상한 운전이 가능하여 전력 계통과 연계하기 용이하며 전력 조류를 계통 상황에 맞게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전압형 컨버터의 무효전력 공급이 가능한 특성은 계통의 과도안정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전압형 컨버터의 합성 전압 제한에 의해 무효전력 공급은 컨버터의 최대 공급가능 능력보다 제한되게 된다. 하지만, 컨버터의 적절한 제어 방식을 통해 컨버터 출력 전압을 증가시킴으로써 무효전력 공급을 늘릴 수 있고 이를 통해 계통의 고장 상황 시 과도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압형 컨버터의 출력 전압 크기에 따른 무효 전력 출력의 크기를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무효전력 공급의 증가 및 계통의 과도 안정도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 PDF

지능형 건물(IB:Intelligent Building)의 계획과 운영관리⑤

  • Lee, Sun-Hyeong;Im, Sang-Chae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42 no.10
    • /
    • pp.15-18
    • /
    • 2002
  • 진상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항상 높은 역률을 유지하고 전기설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부하의 변동에 맞추어 필요한 진상 용량만 공급하도록 콘덴서를 개폐 제어해야 한다. 수동 조작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비현실적인 경우가 많다.또한 전원측과 보상으로 인한 손실 증대를 막기 위해 공장설비에는 콘덴서 자동제어방식이 많이 있으며 건축 전기설비의 경우도 건물의 용도와 규모에 따라 적절한 제어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oper Metalworking Fluids Supply Method to Reduce the amount Used (절삭유 사용량의 억제를 위한 적절한 공급 방식의 설정을 위한 연구)

  • 강재훈;송준엽;송철원;최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06a
    • /
    • pp.1803-1806
    • /
    • 2003
  • Metalworking fluids (MWFs) are fluids used during machining and grinding to prolong the lift of the tool, carry away debris, and protect the surfaces of work pieces. These fluids reduce friction between the cutting tool and the work surface. reduce wear and galling, protect surface characteristics, reduce surface adhesion or welding and carry away generated heat. Workers can be exposed to MWFs by inhaling aerosols (mists) and by skin contact with the fluid. Skin contact occurs by dipping the hands into the fluid, splashes, or handling workpieces coated with the fluids. The amount of mist generated (and the resulting level of exposure) depends on many factors. To reduc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wastes and the potential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exposures to MWF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optimum MWFs supply method and condition with minimum quantity in all over the mechanical machining field including high-speed type heavy cutting process.

  • PDF

The Application of RCM in Traction Power System (철도집전전력시스템의 RCM 적용)

  • Kim, Hyung-Chul;Cha, Jun-Min;Kim, Jin-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c
    • /
    • pp.202-204
    • /
    • 2008
  • RCM(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적용 시 나타나는 장점으로 인해 이미 여러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설비의 안정성을 중요시하는 원자력발전 부문에서 처음으로 도입 후 전력산업분야 대부분에서 RCM을 적용하거나 적용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철도산업에서도 전력산업 분야와 같이 안정적 이면서 경제적인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정비업무의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철도 시스템 중 한전에서 154kV나 345kV를 수전 받아 철도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는 변전소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철도 변전소를 구성하고 있는 설비의 특성과 운영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적절한 RCM적용 방안을 위한 고장모드 및 임계분석 (FMECA: Failure Mode,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RCM과 FMECA는 적용 산업분야에 따라 적용 절차를 다르게 적용되어진다. 따라서 철도 변전소에 대한 고장데이터와 설비들의 특성 및 현재 운용방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한 수립방법 연구가 필요하다.

  • PDF

Drought states visualization considering water use sectors (물이용 특성을 고려한 가뭄상황 표출 방안)

  • Kang, Jaewon;Park, Jisung;Seo, Aesook;Cho, Yo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3-363
    • /
    • 2017
  • 각 기관에서는 가뭄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기관의 역할에 맞는 방식으로 가뭄지수를 산정하여 표출하고 있다. 국민안전처에서는 2016년 3월부터 부처간 협동으로 우리나라의 가뭄 상황을 기상학적 가뭄, 농업적 가뭄, 수문학적 가뭄으로 구분하여 행정구역단위로 주의, 심각, 매우심각의 3단계로 표출하여 활용하고 있다. 저류시설 등을 고려하여 가뭄지수를 도출하고 가뭄을 세가지 속성으로 나누어서 표출하는 것은 타당하지만, 동일한 행정구역 상에서 각 가뭄속성을 표현하는 것은 실제적인 가뭄상황의 판단과 적절한 전략적 대응을 위해서는 개선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도를 기반으로 용수 이용 상황과 용수공급을 위한 사회기반시설을 고려해서 가뭄상황의 표현을 위한 구역의 재설정과 각 구역별로 적절한 가뭄지수의 적용 및 상황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통계적 지표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이를 테스트베드를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구현하였다. 산림이나 초지 지역, 관개시설에 의한 용수공급을 받는 논지역, 강수의존형 논지역과 밭지역, 광역상수도나 지방상수도에 의한 공급지역, 기타 생공용수 공급지역 등으로 구분하여 기상학적 가뭄, 농업적 가뭄, 수문학적 가뭄 상황이 동일 행정구역내에서도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소용량 Unit Type 변압기 설치방안과 적절한 보호방식 조사

  • 전영국
    • 전기의세계
    • /
    • v.23 no.4
    • /
    • pp.8-12
    • /
    • 1974
  • 전기수요의 증가현상과 도시의 인구집중으로 인한 주택의 밀집화, 건물의 고층화, 전화가정의 증가등의 세력으로 보아 머지않은 장래에는 현재와 같은 소용량 변압기에 의한 배전방식으로는 이들 수요를 감당하기가 어렵게 될 것이 예상된다. 또한 도심지 주택 밀집지역 및 상가지대는 도로의 협소, 통행인의 과밀, 건주의 불가능 등으로 대용량 변압소의 건설은 용이한 일이 아니며, 도시의 미화, 대지의 효용가치의 증대를 도모하고 장차 수요증가에 원할한 전력공급을 기하기 위하여는 2차 Network계통의 소용량 Unit Type변압기를 지하등 적당한 장소에 설치하는 방안을 강구하여 실현해야 될 것이다. 여기서는 외국의 문헌과 외국에 의뢰하여 모집한 각종 자료를 기초로하여 그 설치 방안을 조사 연구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 Supply Method of Metal Cutting Coolant (절삭유 공급 방식의 최적화를 위한 실험적 연구)

  • 강재훈;송준엽;최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10a
    • /
    • pp.977-980
    • /
    • 2004
  • Metalworking fluids (MWFs) are fluids used during machining and grinding to prolong the life of the tool, carry away debris, and protect the surfaces of work pieces. These fluids reduce friction between the cutting tool and the work surface, reduce wear and galling, protect surface characteristics, reduce surface adhesion or welding and carry away generated heat. Workers can be exposed to MWFs by inhaling aerosols (mists) and by skin contact with the fluid. Skin contact occurs by dipping the hands into the fluid, splashes, or handling workpieces coated with the fluids. The amount of mist generated (and the resulting level of exposure) depends on many factors. To reduc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wastes and the potential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exposures to MWF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optimum MWFs supply method and condition with minimum quantity in all over the mechanical machining field including high-speed type heavy cutting process.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electric charge simulator for apartment (공동주택 전기요금 시뮬레이터 설계 및 개발)

  • Kim, Woo-Je;Sim, Minkyoo;Chung, Bum-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57-659
    • /
    • 2020
  • 공동주택 전기 요금제에는 호별 계약, 단일계약 및 종합계약으로 분류된다. 호별계약은 저압전력이 공급되는 공동 주택에 적용되며, 세대별 사용량에는 주택용 저압요금제가 적용되고 공동부 전기 사용량에는 일반용 저압 또는 주택용 저압 요금제가 적용된다. 단일계약과 종합계약은 고압전력이 공급되는 공동주택에 적용된다. 단일계약은 공동주택 세대별 사용량과 공용설비 전기 사용량을 합산하고 평균하여, 평균세대의 전기요금량을 기준으로 주택용 고압 요금을 적용하여 공동주택 전기 요금을 산정하는 방식이다. 종합계약은 공용설비 전기 사용량에는 일반용 고압요금을 적용하지만, 세대별 전기 사용량에 대해서는 주택용 저압 요금을 적용하여 공동주택 전기 요금을 산정하는 방식이다. 공동주택에서는 3가지 요금제중 하나를 선택하여 한국전력과 계약을 맺을 수 있다. 고압전기를 공급받는 공동주택은 상황에 따라 단일계약이 유리한 경우도 있고, 종합계약이 유리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에서 전기요금을 시뮬레이션하여 각 공동 주택에 적절한 요금제를 선택하는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공동주택 전기요금 시뮬레이터를 설계하고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전기요금 시뮬레이터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시뮬레이터를 설계하고, 공동주택 전기요금 시뮬레이터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pipeline system for efficient provision of irrigation demand (관개용수량의 효율적 공급을 위한 관수로시스템 분석)

  • Kim, Soo Jun;Kim, Nam Do;Kim, Phil Shik;Bark, Min Woo;Kang, Seung 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73-273
    • /
    • 2015
  •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의 농업용수 공급시스템은 개수로 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지형의 영향을 덜 받으면서 안정적으로 용수공급이 가능한 관수로 시스템으로서의 전환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서남해안간척사업, 새만금 등 대단위 농업단지 조성이 늘어나면서 경제적인 수리시설의 설치와 유지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관수로화 사업은 1980년대 중반부터 농업용 관수로 사업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운영 중인 농업용관수로 지구에서는 특별한 물관리에 대한 규정이 없고, 사용자의 급수요청에 따른 불규칙한 용수관리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농업용수의 무분별한 사용과 운영관리방안의 부재로 인해 많은 양의 농업용수가 낭비되고 있다. 기존 개거에 비하여 관수로의 경우 통수량이 증가되어 관개에 소요되는 시간은 단축 되었으나, 급수소요시간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적용을 하지 못하여 지나치게 많은 양이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수자원의 낭비를 막기 위해 농업용 관수로의 운영계획이 필요하지만, 현재 농업용 관수로 운영기준은 사실상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호남지역의 해남지구를 대상지구로 선정하여 EPANET(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모형을 이용하여 농업용 관수로시스템의 관망해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EPANET모형을 통하여 대상지구의 급수방식을 분석하고, 용수량의 운영현황 자료를 비교 검토하여 계획수요량과 공급량을 비교하여 관수로시스템에서의 농업용수 공급능력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Hydrazine Thruster Latching Valve (하이드라진 추력기 래칭 밸브 개발)

  • Yoon Ho-Sung;Chae Heon-Jung;Lee Jae-Hun;Cho Nam-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363-367
    • /
    • 2005
  • Latching valves are operated like solenoid valves by open/close command and they maintain final open or close commend without electric power source, so they are widely used in propulsion system of satellite and launch vehicle requiring reliability and being subject of restriction of power. This paper present design and test procedure of latching valve using permanent magnet polarized solenoid, which is developed for 45N Hydrazine propulsion system, to estimate feasibility of design and manufacture of latching valv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