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용

Search Result 132,214, Processing Time 0.114 seconds

Monitoring System using Fuzzy Contrast and HOG Method (퍼지 콘트라스트와 HOG 기법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 Jang, Hyun-Woo;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05a
    • /
    • pp.178-18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퍼지 콘트라스트와 HOG 기법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감시 시스템은 감시 영상에서 명암 대비를 강조하기 위해 퍼지 콘트라스트 기법을 적용한 후, 감시 전/후 영상에 Substraction기법을 적용한다. Substraction 기법이 적용된 영상에서 히스토그램의 변화가 클 경우에는 침입자의 침입으로 간주한다. 침입으로 간주된 영상에서 감시 대상의 물체를 감시할 영상과 침입자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기 위한 영상으로 구분한다. 감시 대상의 물체를 감시할 영상에서는 퍼지 이진화를 적용한다. 퍼지 이진화를 적용한 영상에서 Blob 기법을 적용하여 객체화한 후, 침입된 침입자의 영상을 저장한다. 침입자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영상에서는 HOG 기법을 적용한 후, SVM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사람의 객체를 추적한다. 제안된 방법을 실시간 영상에 적용한 결과, 제안된 감시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침입자를 감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Weight Function on the Fuzzy Set membership and its Application to the Defuzzification (퍼지 집합의 소속함수에 대한 가중치 함수와 비퍼지화에서의 적용)

  • 정성원;이광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331-33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퍼지집합의 소속함수에 대한 가중치 함수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가중치 함수는 퍼지집합의 소속함수에 곱해지는 형태로서 적용되어지며, 이것은 소속함수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의미한다. 제안하는 가중치 함수의 개념은 기본적으로 소속함수를 사용하는 어떤 퍼지 집합의 응용에서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본 논문에서는 그 중 한가지 경우로 비퍼지화 방법을 적용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제안하는 가중치 함수가 비퍼지화 방법에 있어서 가지는 의미를 보이며, 기존의 비퍼지화 방법들에서 이러한 가중치 함수의 개념이 어떻게 적용되어 왔는지를 보인다. 또한 기존의 비퍼지화 방법들이 개녀멩 적용되지 않은 형태의 가중치 함수를 선택하여, 비퍼지화 방법에 특정 가중치 함수를 적용하였을 때의 특성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가중치 함수를 퍼지집합의 소속함수에 적용함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선호도를 퍼지집합의 형태에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Review about the prediction factor of 3D Noise simulation (3D 소음시뮬레이션 적용인자에 대한 검토II)

  • Chun, HyungJoon;Son, JinHee;Choung, TaeRyang;Choi, DaeSeung;Park, 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0a
    • /
    • pp.852-855
    • /
    • 2014
  • 3D 소음시뮬레이션시 각 고시에 따른 적용인자 중 방음벽성능에 대한 적용방법은 기본프로그램값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실제 소음측정결과와 교통량을 적용하여 3D 소음시뮬레이션시 방음벽 재질별로 적용한 결과 설치된 방음벽 제원을 가장 유사하게 적용할 경우 소음 예측결과가 오차범위가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3D 소음시뮬레이션 시 모든 예측인자와 설치인자들을 정확히 적용하여야만 정확한 예측결과를 통한 검증과 저감방안을 계획할 수 있다.

  • PDF

세미나/출판물류 RFID 적용 동향 - RFID는 유비쿼터스 시대의 핵심

  • Kim, Sang-Ho
    • 프린팅코리아
    • /
    • v.8 no.12
    • /
    • pp.88-89
    • /
    • 2009
  • 출판유통진흥원(원장 김종수)은 지난 10월 29일 서울 프레스센터 19층 목련실에서 '출판물류 RFID적용 동향 연구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출판유통진흥원 최성구 팀장의 '출판물류 및 공공도서관 RFID 도입현황', 한국출판협동조합 황순록 차장의 '조합 RFID 입출고 컨베이어시스템 적용사례', 북센 이중호 부장의 'Smart bookstore적용사례', 성공회대 유통정보학과 장승권 교수의 '국내외 RFID동향 및 적용 사례 분석발표' 등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출판유통진흥원의 김종수 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으로 추진해 오고 있는 출판물류의 RFID적용 시범사업의 현황 및 시범적용 사례를 되짚어 봄으로서 앞으로의 발전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하는 자리가 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발표 가운데 출판유통진흥원 최성구 팀장과 북센 이중호 부장의 'Smart bookstore적용사례'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 PDF

Process Redesign of Container Logistics with RFID based e-Seal (RFID 방식의 e-Seal 적용을 위한 컨테이너 물류 프로세스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Ryou, Ok-Hyun;Lee, Jae-Kwang;Noh, Seong-H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5a
    • /
    • pp.347-352
    • /
    • 2007
  • 물류관리를 위하여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의 적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컨테이너 화물의 보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RFID 방식의 e-Seal (electronic seal)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출입물류 분야를 중심으로 e-Seal 적용 현황을 파악하고 e-Seal 적용을 위하여 해결하여야 할 문제점과 적용시 고려요소를 분석하였다. 또한, e-Seal 적용을 위하여 수출입물류에 관한 현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현실적인 e-Seal 적용방안과 e-Seal 적용시 기존의 물류 프로세스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제 해운사 및 관세청 등 관련 기관의 물류관리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 PDF

The research on applying plan of Caligraphy among the applying ways of Typograpty in the Web-environment. (Web환경에서 타이포그래피의 적용방법 중 캘리그래피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 박정현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2 no.4
    • /
    • pp.15-22
    • /
    • 1999
  • The research on applying typographic medium to typography has been active, and the results have been Used on designs. ut method of applying editing design in imaginary space in the Web environment to typographic medium has been used in actual life instead of editing design for print outs. In this treatise, we will look into appropriate method to apply typography under the Web environment through research , and limitation of applying typography as a method to apply typography into the Web environment appropriately, and discuss the alternative for it.

  • PDF

프레게 제한-수의 정의와 적용 가능성

  • Park, Jun-Yong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0 no.2
    • /
    • pp.47-107
    • /
    • 2007
  • 나는 이 글에서 프레게 제한에 대한 라이트의 해석이 옳지 않다는 것을 보인다. 우선 나는 그가 산수 개념의 적용에 대한 반성을 통해 그 개념에 대한 선천적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여긴 사례를 검토한다. 이 검토를 기초로 나는 산수 개념의 적용을 지배하는 원리가 있고, 프레게 제한은 바로 그런 원리가 성립하도록 해당 개념을 정의하라는 요구임을 보인다. 둘째로 나는 라이트의 해석은 수학의 적용에 대한 아주 좁은 견해에 의존한다는 것을 보인다. 나는 산수의 적용에 대한 프레게의 견해를 살펴본 후에 실수가 적용될 수 있는 양을 산수량, 순수 공간량 및 물리량 세 부류로 나눈다. 나는 실수 적용 원리는 순수 공간량만 아니라 물리량에 대해서도 성립한다는 것을 보인다. 이에 근거해서 나는 실수 이론을 확립하는 데에도 여전히 프레게 제한은 유효하다고 결론짓는다.

  • PDF

Application of Implicit Discontinuous Galerkin Method to Step-Type Discontinuous Bathymetry (계단형 불연속 지형에 대한 불연속 갤러킨 음해법의 적용)

  • Lee, Haegyun;Lee, Nam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53-253
    • /
    • 2021
  • 천수방정식에 대한 불연속 갤러킨 기법 (DG) 모형은 주로 양해법 기반으로 개발되어 적용되어 왔으나, 바닥마찰항의 처리, 과도한 CFL 조건 등의 불리한 점이 지적되어 왔으며, 이로 인하여 실제 적용에서 FDM, FEM 등 다른 고전적인 수치기법과 비교하여 경쟁력을 갖기 어려웠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최근, 불연속 갤러킨 기법에 대한 음해법 기반의 모형이 연구되고 있으며, 다소 복잡한 알고리즘에도 불구하고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천수방정식의 실제 하도에 대한 적용에 있어 문제점 중 하나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부터 유도할 때 사용된 정수압 가정으로 인하여, 하도의 계단과 같은 불연속 지형에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불연속 갤러킨 음해법에 불연속 지형의 해석을 위한 표면경사법(surface gradient method)을 결합하여 이러한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제방 등 하도 구조물 위의 장주기 조석흐름, 홍수파, 계단 등을 포함하는 댐 붕괴류 모의에 적용하고 실용적인 기능성을 검증하였다. 향후 구조물이 많은 국내 하천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the stream bed restoration and application - Case of the Anyang stream - (하상복원공법개발 및 적용 - 안양천 시험구간 적용사례 -)

  • Lee, Sang-Mi;Lee, Du-Han;Lee, Sam-Hee;Choi, Ju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28-72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자연하상 복원을 위한 하상복원공법을 개발하여 시험구간에 적용하였다. 공법적용 대상 지역은 안양시역내의 안양천 일정구간으로 화창교로부터 상류방향으로 약 500m 거리에 웅덩이 수제공법이 적용되어 있으며, 그로부터 다시 상류방향으로 130m 떨어진 거리에 낮은 바닥막이 공법이 적용되어 있다. 낮은 바닥막이 공법의 경우 완만한 곡류사주의 직상류 부로서 강한 수류와 함께 빠른 유속이 형성될 경우 하상의 세굴이 예상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수로의 유하방향으로 완만한 호형으로 설치하였으며, 웅덩이형수제 공법은 완만한 곡류로 좌안 수충부가 형성되어 있어 물의 흐름방향과 유속을 제어하여 흐름에 의한 호안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현 위치를 선정 및 적용하였다. 첫 번째, 경관모니터링 결과 낮은 바닥막이 공법과 웅덩이 수제 공법을 적용한 구간에서 대규모 홍수 이후에도 저수로 호안과 하상의 안정성이 유지되었으며, 이는 공법 설치 전 후 하상 경관의 변화가 거의 없어 수리적 안정성 유지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웅덩이 수제 공법 설치 후, 미소서식처가 형성되면서 포식자인 왜가리, 백로류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어류서식처로서의 기능이 강화되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두 번째, 생태계 모니터링 결과 저서성 무척추동물의 경우 한국오수생물지수(KSI)는 낮은 바닥막이 공법을 적용하여 하상구조가 변화된 조사 지점 st.1의 환경상태가 "양호"에서 "최적"으로 변화하였기 때문에 공법 적용이 서식처 건강성 증진에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수질 모니터링 결과 용존산소의 경우 상부지점보다 하부지점이 낮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낮은 바닥막이 공법에 의한 용존산소 상승효과보다는 다양한 서식처의 제공이라는 측면이 보다 중요한 효과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공법의 실용화를 위한 적용 공법에 대한 생태계 모니터링 및 평가를 통하여 하천에서의 다양한 서식처(Habitat) 창출을 통해 수생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하천 하상공법에 대한 생태계의 조사 및 평가기법을 확보하여 연구성과를 다른 하천으로의 확대 적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pplicability Estimation of LID Techniques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 평가)

  • Yeon, Jong Sang;Kim, Eung Seok;Shin, Hyun Suk;Jang, You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4-444
    • /
    • 2015
  • 현제 도시유역의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유역 내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직접 유출량 증가, 지하수자원 고갈, 침투량 감소, 증발산량의 감소 등의 물 순환 체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도시 유역 내 물 순환 체계 변화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국가에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의 개발 및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LID는 분산형 빗물관리 시설로써 유역 내 소규모의 LID 요소기술을 대상유역에 적용하여 강우유출수를 저류, 체류, 방지 및 처리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LID는 궁극적 목표로 계획단계에서 개발이전의 수문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보전, 영향최소화, 유출이동시간 유지, 추가유출량 감소, 오염발지에 초점을 맞추어 계획된다. 현제 LID의 성능 및 적용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해되어지고 있으나, LID 요소기술별 시공 비용, 유지관리 비용, 강우유출수 저감효율,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적용위치 등의 다양한 인자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LID요소기술별 적용성 평가를 수행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 요소기술 중 나무화분 여과장치, 옥상녹화, 빗무정원, 투수성포장, 침투트렌치, 빗물통, 식생수로 등의 총 7가지 LID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시공비용, 유지관리비용, 강우유출수 저감효율,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적용위치 등의 촐 5가지 평가인자를 Entropy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인자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후 다기준의사결정 방법 중 PROMETHEE 방법을 이용하여 LID 요소기술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현제 PROMETHEE 방법을 이용하여 LID 요소기술별 우선순위를 산정한 결과 옥상녹화가 첫번째 우선순위로 분석되었으며, 침투트렌치, 나무화분여과장치, 투수성포장, 식생수로, 빗물통, 빗물정원 순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에 LID를 적용할 경우 옥상녹화, 침투트렌치, 나무화분 여과 장치 등의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 및 기대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의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으며, 국내 LID 요소기술 적용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지역별 신뢰도 높은 LID 요소기술 적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대상유역 내 시공된 LID 요소기술을 계측하여 비점오염원 및 우수유출수 저감효율, 시공 비용, 연간 유지관리 비용을 분석하여 평가를 수행되어 한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