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 Title/Summary/Keyword: 적용률

Search Result 6,30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Endpoint Detection in the Car Noise Environment for Speech Recognition (음성인식을 위한 자동차 소음환경에서의 끝점 검출)

  • 서동권;신원호;양태영;김원구;윤대희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1
    • /
    • pp.76-79
    • /
    • 1998
  • 소음이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에너지 파라메터만으로도 정확한 끝점 검출을 수 행할 수 있으나 신호대 잡음비가 0dB에 가까운 자동차 환경에서는 끝점 검출이 거의 불가 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소음 환경에서 음성 구간 검출을 위하여 단구간 영교차율과 2∼4kHz의 주파수 영역 에너지를 사용한 끝점 검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과 기 존의 방법의 성능을 DTW를 이용한 단독음 인식 시스템에 적용하여 인식률로 비교하였으 며 제안된 음성 구간 검출 방법을 적용한 경우가 보다 좋은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 PDF

분별학습에 기반한 전화 숫자음 음성인식

  • Han, Mun-S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v.5 no.2
    • /
    • pp.7-17
    • /
    • 2001
  • 음성인식 시스템이 있어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Hidden Markov Model(HMM)은 확률 모델을 기반한 것으로 데이터에 대한 통계처리를 학습과정으로 하고 있다. 한국어 연속 숫자음에 대한 음성인식은 고립 숫자음 인식과는 달리 충분한 학습데이터만으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가져오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는 연속 숫자음 음성인식에 잇어서 비슷하게 발음되는 숫자음과 같은 숫자에 대해 다양하게 발음되는 숫자음에 대해 HMM의 한계를 제시하고 그 해결채으로 Discriminant 학습의 적용방법을 제시한다. 연속 숫자음의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있어서 인식률 낮은 부분에 Discriminant 학습을 적용하여 인식률을 대폭 향상시킨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 PDF

The Combined AMC-MIMO System with Optimal Turbo Coded V-BLAST Technique to Improve Throughput and SNR (전송률 향상 및 SNR 개선을 위한 최적의 터보 부호화된 V-BLAST 기법을 적용한 AMC-MIMO 결합시스템)

  • Ryoo, Sang-Jin;Lee, Kyung-Hwan;Choi, Kwang-Wook;Lee, Keun-Hong;Hwang, In-Tae;Kim, Cheol-Su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8 no.4
    • /
    • pp.61-70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observe the Adaptive Modulation system with optimal Turbo Coded V-BLAST(Vertical-Bell-lab Layered Space-Time) technique that is applied the extrinsic information from MAP Decoder in decoding Algorithm of V-BLAST: ordering and slicing. And comparing the proposed system with the Adaptive Modulation system using conventional Turbo Coded V-BLAST technique that is simply combined V-BLAST with Turbo Coding scheme, we observe how much throughput performance and SNR has been improved. In addi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using STD(Selection Transmit Diversity) scheme results in on improved result, By using simulation and comparing to conventional Turbo Coded V-BLAST technique with the Adaptive Modulation systems, the optimal Turbo Coded V-BLAST technique with the Adaptive Modulation systems has SNR gain over all SNR range and better throughput gain that is about 350Kbps in 11dB SNR range. Also,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Turbo Coded V-BLAST technique using 2 transmit and 2 receive antennas, the proposed system with STD scheme show that the improvement of maximum throughput is about 1.77Mbps in the same SNR range and the SNR gain is about 5.88dB to satisfy 4Mbps throughput performance.

  • PDF

Responsiveness-Enhancing Scheme for ABR Rate Control Algorithms in Wireless ATM Networks (무선 ATM 망에서의 ABR 전송률 제어 알고리즘 응답성 개선 방안)

  • Min, Koo;Choi, Myung-Whan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27 no.3
    • /
    • pp.370-380
    • /
    • 2000
  • Asynchronous Transfer Model(ATM)에 기반한 광대역 멀티미디어 통신망에서 best effort 형태의 서비스 지원을 위해 Available Bit Rate(ABR) 서비스가 사용되고 있다. 이미 제안된 많은 수의 ABR 전송률제어 알고리즘들은 정확하게 적정전송률을 계산하는 알고리즘(exact fair rate calculation algorithm)과 적정전송률의 근사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approximate fair rate calculation algorithm)의 두 분류로 크게 구분 될 수 있다. 정확하게 적정전송률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은 공정성과 응답성(responsiveness)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무선ATM 환경 하에서는 무선링크의 가용대역폭이 무선채널의 오류특성으로 인해 시변(time-varying)하므로, 정확하게 적정전송률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은 무선ATM 환경에 적용되기 어려우며 따라서 적정전송률의 근사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이 대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적정전송률의 근사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들의 응답성이 상대적으로 뒤떨어지는 특성으로 인해 가용대역폭이 시변하는 경우 알고리즘 성능의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적정전송률의 근사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들을 위한 응답성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 응답성이 개선된 적정전송률의 근사치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의 한 예로 응답성이 개선된 EDMRCA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제시하는 알고리즘이 EDMRCA보다 응답성 측면에서 상당히 개선되었음을 보인다.

  • PDF

사학연금 사망률 전망 방법에 관한 연구

  • U, Hae-Bong;Baek, Hye-Yeon;Go, Gyeong-Pyo;An, Hyeong-Seok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2
    • /
    • pp.181-206
    • /
    • 2017
  • 출산율 하락과 기대여명 증가에 따라 인구구조의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득보장이나 건강보장과 같은 사회보장제도의 장기 재정 불안정과 관련된 사회적 우려가 높다. 여러 세대를 거쳐 사회보장제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도의 장기적 재정 상태에 대한 정확한 전망이 요청된다. 재정 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장기 재정 안정화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전제 조건이며, 정확한 재정 상태에 대한 평가 없이 재정 안정화를 위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본 연구는 사학연금의 장기 재정 전망에 필요한 사망률 전망 방법을 검토함으로써 사학연금 장기 재정 전망 작업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연앙인구 및 사망 건수 자료가 제한적인 동시에 단기 시계열 자료만이 존재하는 사학연금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을 반영한 사망률 전망 모형을 구축하고 있다. 사학연금 남성 사망률 전망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은 목표 집단의 사망력 패턴과 밀접히 연관된 준거 집단을 통합적으로 모형화하는 정합적 사망률 모형(coherent mortality model)이다. 반면 관측된 사망 건수가 매우 제한적인 관계로 사학연금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사망률을 전망하기 쉽지 않은 여성 사망률의 경우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서 전망된 성별 사망확률 격차가 사학연금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사학연금 여성 사망률을 전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Prediction of the Static Deflection Profiles on Suspension Bridge by Using FBG Strain Sensors (FBG 변형률센서를 이용한 현수교의 정적 처짐형상 추정)

  • Cho, Nam-So;Kim, Nam-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5A
    • /
    • pp.699-707
    • /
    • 2008
  • For most structural evaluation of bridge integrity, it is very important to measure the geometric profile, which is a major factor representing the global behavior of civil structures, especially bridges. In the past, because of the lack of appropriate methods to measure the deflection profile of bridges on site, the measurement of deflection has been restricted to just a few discrete points along the bridge, and the measuring points have been limited to the locations installed with displacement transducers. Thus, some methods for predicting the static deflection by using fiber optic strain sensors has been applied to simply supported bridges. In this study, a method of estimating the static deflection profile by using strains measured from suspension bridges was proposed. Based on the classical deflection theory of suspension bridges, an equation of deflection profile was derived and applied to obtain the actual deflection profile on Namhae suspension bridge. Field load tests were carried out to measure strains from FBG strain sensors attached inside the stiffening girder of the bridge. The predicted deflection profiles were compared with both precise surveying data and numerical analysis results. Thus, it is found that the equation of predicting the deflection profiles propos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cable to suspension bridges and the FBG strain sensors could be reliable on acquiring the strain data from bridges on site.

A Study on the Change of Employment Rat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10 OECD Countries using PCSE analysis (OECD 10개국의 장애인 고용률의 변화에 대한 연구 : 패널수정 표준오차(PCSE) 분석의 활용)

  • Lee, Soo-kyung;Lee, Sun-wo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8 no.1
    • /
    • pp.5-2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mployment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their employment rates. The subjects were 10 OECD counties of which policies are based on quotas or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The time-series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or 12 years from 2000 to 2011. A Panel-Corrected Standard Error(PCSE)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time-series cross-sectional data of this study. As a result, unemployment rates, proportion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public expenditures on disability and sickness benefits(in % GD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control variables, while the coverages of discrimination prohibition and the types of delivery system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mong the employment policy variables. The wider the coverages of discrimination prohibition are, the higher the employment rates of the disabled are. In addition, the employment rates of the disabled are higher in countries with specialized delivery system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than in countries with general delivery system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Runoff Characteristics Analysis in the ImJin-River Basin (2005년 임진강 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 Kim, Dong-Phil;Jung, Sung-Won;Lee, Seok-Ho;Lee, S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56-1761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진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5년에 발생한 유출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임진강 유역은 유역전체 면적중 2/3이상이 북한지역에 위치하고 있어서 전체적인 수문관측 자료를 수집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으나, 가용한 수문관측 자료 및 유량측정성과를 이용하여 5개 지점에 대한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임진강 유역에서는 30분 단위의 연속적인 우량 및 수위관측(건설교통부)을 하고 있으며, 기상청에서는 1시간 단위의 기상관측을 하고 있다. 우량 및 수위자료의 수집과 검토를 통하여 유역면적우량과 5개 수위관측소의 수위를 최종 확정하였다. 그리고 2005년에 측정한 유량측정성과를 통하여 유량측정성과에 대한 불확실도, 기본 수리특성 분석,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여 유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유량은 월별, 주요 호우사상별 유출률 분석을 통하여 합리적인 유출률 범위내에서 재 조정절차를 거쳐 최종 유량을 확정하였다. 산정된 유출률은 57.0%(영중)72.1%(적성)의 유출률을 보였으며, 2004년 임진강 유량측정용역 보고서의 유출률과 비교한 결과 일부지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진강 유역의 일부인 설마천 시험유역에서의 2005년 연간 유출률은 60.9%로 상기의 값은 매우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남북한 수문자료의 공유 및 기술적 교류, 유역 전체의 정밀한 수문관측 및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 생성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정확한 유출특성 거동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며, 효과적인 치수 및 이수계획의 수립 등 수자원 개발을 위한 기반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수리모형실험과 연계하여 댐 설계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투수성 포장과 지하수에 관련된 매개변수의 집적과 분석결과는 현장기술 적용 시 매개변수의 유용한 선택과 도시유역의 물 순환 건전화 대안기술 적용에 효과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첨두홍수량을 저류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넓은 저류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대등한 수위감소값의 홍수저감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On-Line 저류지 면적은 Off-Line 저류지에 비 두배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졌다.들에 관한 정보는 종종 현장관측에서 조차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질모형의 매개변수 중 특히 수리특성에 관련된 매개변수들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적용된 수질모형은 QualKo를 사용하였으며, 대상 하천은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시점 부근인 회천 합류 전부터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종점 부근인 밀양강 합류 전까지의 경남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 PDF

Improvement of Encoding Detection Algorithm for Multi-byte Encoded Data with Errors (오류가 발생한 멀티바이트 인코딩 데이터의 인코딩 기법 판별 알고리즘 개선)

  • Bae, Junwoo;Kim, Seonbeom;Park, Heeji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Next Generation Computing
    • /
    • v.13 no.2
    • /
    • pp.18-25
    • /
    • 2017
  • In computer science, an encoding is a standardization of converting information to one format for audio, video or text. Therefore, the encoding information of the data should be known to open and read it and there are algorithms detecting encoder of the data. However, some informations of data could be disappeared by packet loss when transmitted on network, especially, if the data is snatched by packet sniffing or eavesdropping from wireless communications. In this paper, we improve the performance of encoding detection algorithm of 'uchardet' program for multi-byte encoded data with errors based on bit-shift algorithm. To simulate the performance, we generated Korean and Japanese text data with errors that is removed some random bits at random positions. Then the detection algorithm are tested using the data and 'uchardet-bitshift'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uchardet'. When Korean texts are used, 'uchardet' could detect perfectly with ≤0.005% errors but it showed 0% detection rate with ≥1% errors while 'uchardet-bitshift' detected perfectly with ≤0.05% errors and it showed correct detection cases with ≥1% errors. Japanese texts with errors tend to report falsely as Chinese encoding because Japanese texts include lots of Chinese characters. As a results, we improved encoding detection algorithms by applying bit shift operation.

Fuzzy Neural Network Model Using Asymmetric Fuzzy Learning Rates (비대칭 퍼지 학습률을 이용한 퍼지 신경회로망 모델)

  • Kim Y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101-10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LVQ(Learning Vector Quantization)을 퍼지화한 새로운 퍼지 학습 법칙을 제안하였다. 퍼지 LVQ 학습 법칙 3은 기존의 학습률 대신에 퍼지 학습률을 사용하였는데, 기존의 LVQ와는 달리 비대칭인 학습률을 사용하였다. 기본의 LVQ에서는 분류가 맞거나 틀렸을 때 같은 학습률을 사용하고 부호만 달랐으나, 새로운 퍼지 학습 법칙에서는 분류가 맞거나 틀렸을 때 부호가 다를 뿐만 아니라 학습률도 다르다. 이 새로운 퍼지 학습 법칙을 무감독 신경회로망인 improved IAFC(Integrated Adaptive Fuzzy Clustering) 신경회로망에 적용하여 감독 신경회로망으로 변형하였다. Improved IAFC 신경회로망은 유연성이 있으면서도 안정성이 있다. 제안한 supervised IAFC 신경회로망 3의 성능과 오류 역전파 신경회로망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iris 데이터를 사용하였는데 Supervised IAFC 신경회로망 3가 오류 역전파 신경회로망보다 성능이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