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적외선 온도계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The Parallel Driving Characteristics of Piezoelectric Transformer (압전 변압기의 병렬 구동 특성)

  • Lee, J.S.;Hong, J.K.;Chai, H.I.;Yoon, M.S.;Jeong, S.H.;Lim, K.J.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c
    • /
    • pp.1584-158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압전 변압기의 병렬 구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병렬 구동을 함으로서 단일 구동시에 대해 $\sqrt{2}$정도의 출력 전압을 얻었다. 적외선 온도계를 이용하여 압전 변압기의 온도 상승률을 측정한 결과 단일 구동시보다 병렬 구동에 진동 손실 에너지의 감소를 얻을 수 있어 온도 상승률을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병렬로 구동함으로서 압전 변압기의 출력 임피던스를 감소시키므로 단일 구동시보다 최대 효율을 나타내는 부하 저항이 감소하였고 100[$k\Omega$]에서 91[%]정도를 나타내었다.

  • PDF

기판후면 온도 모니터링을 이용한 CIGS박막 하향 증착시스템 개발 및 그 소자로서의 특성 연구

  • Kim, Eun-Do;Cha, Su-Yeong;Mun, Il-Gwon;Hwang, Do-Won;Jo, Seong-Jin;Kim, Chung-Gi;Kim, Jong-Pil;Yun, J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443-443
    • /
    • 2014
  • CIS 박막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셀렌화(selenization)방식, MOCVD방식, 동시진공증발(co-evaporation)방식, 전착(electrodeposition)방식 등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CuInSe2 박막을 제조하는 경우 어떤 방법으로든 다원화합물의 조성 및 결정성을 조절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기판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도록 하고, 증발원을 가열하여 이에 내포된 물질(이원화합물 또는 단일원소)을 증발시켜 기판에 증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기판의 온도를 승온시키고 구리 이원화합물을 내포한 증발원을 가열해 물질을 증발시켜 기판에 증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기판에 박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기판의 대면적화로 인해 균일한 박막의 형성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중 15% 이상의 고효율을 보인 방법은 3-stage process를 이용한 동시진공증발방식으로, Cu, In, Ga, Se 등의 각 원소를 동시에 진공 증발시키면서 조성을 조절하여 태양전지에 적절한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Cu(In,Ga)Se2 (CIGS)박막을 증착시키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실험실에서 연구되고 있는 장비의 구조는 증발원이 아래에 장착되어서 상향 증착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장비는 하향 증발원이 측면에 장착되어서 하향 증착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증착되는 면방향으로, 적외선온도계(pyrometer)가 설치된 시창(viewport)의 오염 등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공정이 이루어지기 힘든 점을 개선하여 증착기판의 후면에 적외선 온도계를 설치하여 기판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공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향식 진공 증발원, 기판후면 온도모니터링모듈 등을 개발 장착하여, CIGS 박막을 제조하였으며, 버퍼층은 moving 스퍼터링법으로 ZnS를 증착하였고, 투명전극층은 PLD(Pulsed Laser Deposition)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가장 높은 광변환효율을 보인 Al/ZnO/CdS/Mo/SLG박막시료는 유효면적 $0.45cm^2$에 광변환효율 15.65 %, Jsc : $33.59mA/cm^2$, Voc : 0.64 V, FF : 73.09 %를 얻을 수 있었으며, CdS를 ZnS로 대체한 Al/ZnO/ZnS/Mo/SLG박막시료는 유효면적 $0.45cm^2$에 광변환효율 12.45 %, Jsc : $33.62mA/cm^2$, Voc : 0.59 V, FF : 62.35 %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f the Oven Dried Soil Weight Measurement Using Singularity Analysis (특이점 분석에 의한 노건조된 흙의 건조무게 측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Sukjoo Kim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4 no.3
    • /
    • pp.5-14
    • /
    • 2023
  • The dry unit weight of the soil can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oven dried soil. According to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F), oven dried soil at 110±5℃ continuously increases in weight when exposed to air. However, there is no regulation on the weight measurement time of oven dried soil,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dry weight. In this study, a method to easily determine the dry weight was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eight singularity that appears during weight measurement. The weight singularity represents the smallest value among the measured weights, and is the weight at which the effect of moisture absorption in the air of the sample is minimized.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a container was selected using a statistical analysis method, and a photograph of the soil samples were presented using an optical microscope.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weight singularity was measured using a non-contact infrared thermomet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eight singularity of six types of soil, including Jumunjin sand, Naeseong stream sand, Yecheon weathered granite soil, Jeju sand, Sabkha sand, and Ulleung sand, the weight singularity of oven dried sample appeared between 8 and 27 seconds after weight measurement, and the temperature ranged from 103.4 to 108.13℃. The weight decrease rate of the singularity was 0.0066 to 0.0085% depending on the soil samples.

Measurement of temperature profile in molter metal using a cod camera (ccd 카메라를 이용한 금속 용융면의 온도분포측정)

  • 노시표;정의창;임창환;김철중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2 no.1
    • /
    • pp.64-69
    • /
    • 2003
  • Using a high fewer electron beam gun (max. power 20 kW), Gadolinium (Gd, atomic number 64) metal was melted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melted surface was measured. With proper optical filters and the adjustment of aperture of lens, the radiation of melted surface was received by a ccd camera and its signal transferred to a computer. The real time monitoring of melted surface with a variation of electron beam Power was Possible and stable operation of electron beam was achieved. It was found that the max. temperature measured by a ccd camera with an assumption of blackbody radiation of melted Gd surface and adaption of Planet's law was above 100~$200^{\circ}C$ compared to that measured by a pyrometer in the same e-beam power.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High Temperature Creep Tester for Thin Film Specimens (박막시험편용 고온 크리프 시험기의 설계 및 제작)

  • Ko, Gyoung-Dek;Lee, Sang-Shin;Kang, Ki-Ju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1 no.2 s.257
    • /
    • pp.253-259
    • /
    • 2007
  • A new material tester has been developed to measure mechanical properties of thin film specimens at high temperature. It is useful for observing oxide film growth or local deformation on the surface, and for measuring creep strength.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ester is as follows; First, high temperature is achieved by Joule heating generated by electricity passing through the specimen, which does not need to enclose the specimen by a furnace or a heating chamber. The exposed specimen enables one to observe the surface during the test. Because the overall size of the test rig is compact, the whole test rig can be placed in a chamber for environmental controlled tests. The loading device is from a level scales. Not only static load with fixed counter weight, but also variable load by moving counter weight controlled remotely can be applied for an ordinary creep test and creep-fatigue test, respectively. The detail of the construction, operation principle, and the specification are described. And also, an example of test result obtained using the creep tester is presented.

Microwave Sintering Behavior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BaTiO$_3$ Ceramics (BaTiO$_3$ 세라믹의 마이크로파 소성 및 전기적 특성)

  • Bai, Kang;Kim, Ho-Gi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5 no.11
    • /
    • pp.1203-1211
    • /
    • 1998
  • The microwave sintered BaTiO3 samples were obtained by using the microwave sintering device which can precisely control the sintering temperature and the sinter time by using IR optical thermometer and PID temperature controller. During microwave sinte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samples were mesur-ed by the optical fiber thermometer to compare the sintering behaviors between microwave- and con-ventionally sintered ones. The former showed the faster rate of grain growth with sintering time and the larger grain size than the latter. Also they showed the similar pattern of dielectric properties with tem-perature changes from 2$0^{\circ}C$ to 16$0^{\circ}C$.

  • PDF

Effects of Thermocouple Junction Shape on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rmopile (열전대 접합모양이 써모파일의 출력특성에 미치는 영향)

  • Yoo, Kum-Pyo;Choi, Woo-Suk;Kim, Je-Sung;Yi, Seung-Hwan;Kwon, Kwang-Ho;Min, Nam-K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c
    • /
    • pp.1639-1640
    • /
    • 2006
  • MEMS형 써모파일은 온도계, 유속, 가스, 칼로리미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대부분의 MEMS형 써모파일에서는 습식 이방성 에칭방식으로 다이어프램을 제작하고, 막의 구성은 산화막/질화막/산화막 혹은 산화막/질화막의 적층으로 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XeF_2$시스템을 사용해 전면으로부터 에칭하여 저응력 질화막을 다이어프램을 제작하였고, 열전대 물질로는 poly-Si과 Al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열전쌍은 열접점에서 Al 패턴시, 사각형의 오픈 면적을 두어 접합된 모양을 달리하여 설계 제작하였다. 소자의 크기는 $2{\times}2mm^2$이고, 능동영역은 $400{\times}400{\mu}m^2$이다. 써모파일의 출력은 적외선 램프의 전력이 3W($80^{\circ}C$)일 때, 오픈된 면적이 증가할수록 출력이 증가하였으며, 오픈된 면적이 $300{\mu}m^2$ 일때의 출력은 약1mV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으로부터 계산된 오픈된 면적에 따른 출력비는 약 $0.3nV/{\mu}m^2$이다.

  • PDF

Thermal Performance of PV Cells Exposed to Irradiation by a Parabolic Trough Concentrator (PTC형 태양열 집열기로 조사되는 PV cell의 열적 성능)

  • Hwang, Seon Yeob;Kang, Tae Gon;Boo, Joon H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68-6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PV cell이 직달 일사에 노출되는 경우와 집광된 태양광에 조사되는 경우의 성능을 비교하는 한편 집광기의 형태에 따른 열적 성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PV cell은 본질적으로 반도체의 특성을 가지므로 작동온도의 상승에 따라 성능이 저하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며, 태양조사의 강도 및 밀도 등 특성에 따라서도 성능의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능변화에 관련된 인자들과 그 영향의 크기에 대한 정량적인 기술자료가 부족하므로 설치와 이용에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인공태양 장치(solar simulator)를 이용하여 0.7에서 1.2 sun 범위의 태양 조사 환경에서 결정질 실리콘계 PV cell과 집광형 PV cell의 성능을 검토하였다. 집광에 사용한 PTC는 집광면적의 폭이 500 mm이며, 집광 조사면적이 최소 10 mm인 경우 이론적 최대 집광비가 50이었다. PTC의 축방향으로는 균일한 태양조사가 있게된다는 것을 가정하여 모델의 길이는 간편한 실험을 위해 150에서 500 mm의 범위에서 제작하였다. 수평으로 놓인 PTC의 상부 초점 위치로부터 집광면이 아래 쪽에 위치할수록 집광 조사 면적이 증가하므로 PV cell의 크기에 따라 PTC 초점의 위치로부터 거리를 결정하였다. 한편, PTC 자체의 성능도 촛점거리와 집광면 폭의 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가정 하에, 포물면의 최저 위치로부터 촛점거리는 각각 300, 400 및 500 mm가 되도록 세가지 형태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동일한 형태의 PTC에서 PV cell의 동일한 설치 위치에서도 최고 $110^{\circ}C$ 범위의 PV cell의 작동 (표면) 온도에 따른 성능의 차이를 관찰하기 위해 셀의 후면을 냉각시키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였다. PV cell의 표면 온도 측정을 위해서, 후면의 온도와 같이 광선 차단 효과의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열전대를 설치하였으며, 셀의 전면 온도 측정을 위해서는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계를 사용하였다. 냉각 방법으로는 공기를 이용한 자연대류와 액체를 사용하는 강제대류의 경우를 고려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계된 히트싱크를 설치하여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강제대류 냉각의 경우는 항온조를 사용하여 순환하는 냉각수의 유량과 공급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PV cell의 작동온도를 조절하고, 이에 따른 발전 성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실험 및 분석 결과는 PV cell의 설치 환경과 작동온도의 변화에 따라 그 성능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이용의 합리화를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Possibility and Accuracy of Extracting Room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Mid-Infrared Sensor Satellite Images (중적외선 센서 위성 영상의 상온 온도 정보 추출 가능성 및 정확도)

  • Choi, SeokWeon;Seo, DooChun;Lee, DongHan
    • Journal of Spa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 /
    • v.1 no.3
    • /
    • pp.356-363
    • /
    • 2021
  • It was common knowledge in textbooks that images acquired using mid-infrared ray were not suitable for measuring temperature near room temperature. But a recent satellite image using a mid-infrared sensor show the possibility that the result measured using the mid-infrared sensor can also measure the temperature near room temperature.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and accuracy of extraction room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satellite images with mid-infrared sensors are reviewed. The mid-infrared satellite image reviewed in this paper showed the temperature of room temperature well, and regarding the reliability as an absolute value of the measured temperature, the effect of the heat transfer amount due to the direct reflection of sunlight on the surface and the effect of the infrared absorption amount absorbed in the atmosphere can be seen as a relatively small or constant value. However, the problem of uncertainty in the radiation coefficient due to physical properties, which is the limit of the non-contact thermometer, remained a problem to be solved.

Surface and Chemical Properties of Surface-modified UHMWPE Powde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elf Curing PMMA Bone Cement Containing UHMWPE Powder I. Effect of MMA/Xylene Contents on Surface Modification of UHMWPE (표면개질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분말의 표면과 화학적 특성 및 이를 함유하는 상온 경화용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뼈 시멘트의 기계적 특성 I.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자일렌 함량에 따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표면 개질 효과)

  • 양대혁;윤관희;김순희;이종문;강길선
    • Polymer(Korea)
    • /
    • v.28 no.1
    • /
    • pp.77-85
    • /
    • 2004
  • It has been widely used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for the biomaterials due to it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biocompatibility. In the case of blend of UHMPE with another polymeric biomaterials, however, UHMWPE might have low blend compatibility due to surface inertness.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bone cement by means of the impregnation of UHMWPE powder, we developed the novel surface modification method by the mixture of methyl methacrylate (MMA) and xylene. We investigated the variation of composition of MMA/xylene. It was confirmed by the analysis of Fourier transform infrared-attenuated total reflectanc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and digital thermometer. The maximum mechanical strength of surface modified UHMWPE powder impregnated PMMA bone cement compound was observed the ratio of 1 : 1 (v/v%) MMA/xylene. Also its curing temperature decreased from 103 $^{\circ}C$ to 58 ∼ 73 $^{\circ}C$ The mechanism of surface modification of UHMWPE powder by the mixture of MMA/xylene has been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