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적색 변이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2초

국내시판중인 완자제품의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Meat Ball Products in Korean Domestic Market)

  • 이주호;최정석;박기수;정준영;최양일;이재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5호
    • /
    • pp.461-466
    • /
    • 2013
  • 본 연구는 시중에서 유통 중인 완자제품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여 완자제품의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대형마트에서 시판되고 있는 5개의 제품을 회사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완자제품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함량은 53.92~63.45%, 단백질 함량은 24.36~27.00%, 지방 함량은 10.43~17.46%이었고, 회분 함량은 1.22~1.71%의 수준이었다. 품질특성에서 pH는 6.41~6.68의 범위였으며, 가열감량은 12.27~18.42% 수준이었다. 또한 제품 1개 당 무게는 11.72~27.68 g로 나타났다. 육색에서 명도는 52.69~74.98, 적색도에서도 2.45~6.09의 수준을 나타내었다. 완자제품의 조직 특성에서도 제품사이에 변이가 나타났는데, hardness는 T1이, cohesiveness는 T1과 T5가, chewiness는 T1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의 결과에서는 T1이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다즙성 짠맛, 풍미, 색깔, 외관 그리고 전체 기호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시중 완자제품들은 일반성분, 가열감량, 육색 및 조직특성에서 변이가 나타내었는데, 이는 원료 배합비, 첨가제 및 성형 크기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피클제조를 위한 취청오이의 염농도에 따른 염장중 이화학적 특성 (Effects of Various Salt Concentrations on Physicochermical Properties of Brined Cucumbers for Pickle Process)

  • 박용곤;박미원;최인욱;최희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26-530
    • /
    • 2003
  • 각기 다른 염농도에서 염장한 오이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염장시 첨가되는 염농도가 높을수록 수축현상이 심하였으며, 오이의 염농도는 염장 30일경에 30%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이론치와 유사한 농도를 나타내었다. pH의 경우 25%처리구는 염장 120일까지 감소 경향을 보인 반면 30%처리구는 60일이후부터 거의 변화가 없었다. 오이 표면의 녹색도는 염장 10일까지는 모든 처리구에서 녹색(-1.33~-2.87)이 유지되었으나 염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적색으로 변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염농도가 낮을수록 심하였다. 황색도는 염농도가 낮은 15% 첨가구가 염장 전기간에 걸쳐 가장 높은 황색도(6.15~12.52)를 보였다. Isopropyl alcohol 추출색소액 중 생오이의 색소추출액은 439, 473, 632 nm에서 피크를 나타낸 반면 염장오이는 염장초기 첨가된 염농도에 관계없이 생오이 색소추출액과는 다른 흡광도 변화를 나타내어 410, 505, 538, 607, 565 nm에서 새로운 피크를 형성하였다. 경도는 염농도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울금 농축액을 첨가한 불고기 소스의 개발 (Development of Bulgogi Sauce Added with Concentrated Curcuma longa L.)

  • 박성원;변광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3-158
    • /
    • 2014
  • 본 연구는 울금 농축액을 첨가한 불고기 소스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불고기 소스의 울금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불고기 소스의 울금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도(명도; L, 적색도; a, 황색도; b)도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울금 농축액 첨가 불고기 소스의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울금 농축액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 시료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관능평가에서는 울금 농축액 10% 첨가 소스가 맛 기호도 측면에서 가장 우수했던 반면, 전반적인 기호도 측면에서는 울금 농축액 20% 첨가 소스가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울금 농축액 20% 첨가 쇠고기 구이가 관능 기호도 측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으로써, 불고기 소스의 관능적 기호성을 위해서는 울금 농축액 20%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로즈마리 분말 첨가가 스폰지 케이크의 저장 중 색과 관능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semary Powder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olor of Sponge Cake during Storage)

  • 강병선;문성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5
    • /
    • 2010
  • 로즈마리 분말의 최적 첨가량을 찾기 위하여 항산화 효과와 항균력이 있는 건강기능성의 생리활성 소재인 로즈마리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스폰지 케이크의 색도와 관능적 특성을 보았다. 스폰지 케이크에 로즈마리 분말의 첨가량은 0, 0.1, 0.3, 0.5 및 0.7%(w/w)로 하였고, $20^{\circC$에서 3일간 저장하면서 색도, 기호도와 강도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로즈마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값)와 황색도(b값)는 낮아졌으나 적색도(a값)는 증가하여 첨가량에 따라 스폰지 케이크의 색이 어두워지며 적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호도 특성 결과 로즈마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색, 단맛, 외관에 대한 기호도는 감소하였으나, 기공성은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즈마리 분말 0.1% 첨가구가 외관, crust와 crumb의 색, 향기, 단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아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강도 특성 결과 로즈마리 분말 0.7% 첨가구에서 색과 냄새의 강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맛의 강도는 낮아졌다.

NMF와 이미지 보정을 이용한 적조 이미지 인식 향상 (Enhancing Red Tide Image Recognition using NMF and Image Revision)

  • 박선;이성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31-336
    • /
    • 2012
  • 적조는 유해 조류의 이상 대량번식으로 바닷물의 색이 적색이나 황색으로 변하며, 어패류를 대량으로 집단 폐사시키는 등 바다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전 세계적인 자연현상이다. 국내에서는 90년대 이후로 어패류 양식장에 지속적인 피해를 입히고 있다. 적조 생물에 대한연구는 수산업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자동으로 적조 이미지를 인식하여서 유해적조를 판별하는 적조이미지 검색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에 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200여종의 적조 생물은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미지 인식을 위한 기준 특징을 추출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기존이 연구들은 몇 종류의 적조 생물만을 이미지 인식에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NMF(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비음수 행렬분해)와 이미지의 회전각 보정을 이용한 새로운 적조 이미지 인식 향상방법을 제안한다.

착색시간에 따른 칼라렌즈 색좌표 이동 (Color lens CIE L*a*b* coordination transfer by tinted time)

  • 정병만;박광호;김용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3-57
    • /
    • 2003
  • 5분 간격으로 착색시간을 증가시켜 R, G, Y, B칼라렌즈를 제작하였다. 색 좌표 분석은 분광측색계와 CIE $L^*a^*b^*$ color system를 사용하였다. 착색 시간에 따른 색좌표 이동 형태는 $b^*(Y-B)={\beta}a^*+{\alpha}$이며, 거의 선형적으로 변하였다. 적색의 경우 착색시간이 길수록 $G{\rightarrow}R$, $B{\rightarrow}Y$ 형태로 이동하고, Parameter ${\alpha}$, ${\beta}$ 값은 각각 -3.49, 0.90을 얻었다. 녹색의 경우 색좌표 이동은 $R{\rightarrow}G$, $B{\rightarrow}Y$ 형태이다. 10분의 착색 시간에서 가장 순수한 녹색 칼라를 얻었다. Parameter ${\alpha}$, ${\beta}$값은 각각 -0.72, -0.55을 얻었다. 황색과 청색의 경우 모두 착색 시간이 길수록 순수한 색이 된다. 황색에서 Parameter ${\alpha}$, ${\beta}$값은 각각 14.11, 1.58이고, 청색에서 Parameter ${\alpha}$, ${\beta}$값은 각각 -11.62, 1.30을 얻었다.

  • PDF

180℃와 200℃ 오일열처리 잣나무재의 재색변화 (The Color Change of Korean Pine Specimens Oil-Heat-Treated at 180 and 200℃)

  • 이원희;임호묵;강호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38-445
    • /
    • 2015
  • 유럽에서 개발된 여러 가지 열개질처리 방법 중 독일의 오일열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국산 잣나무 시편을 $180^{\circ}C$$200^{\circ}C$에서 열처리하였다. 또 같은 종류의 잣나무 시편을 $200^{\circ}C$에서 Thermowood열처리하였다. 열처리 시편의 표면을 자동대패로 대패한 후 1 mm와 4 mm 깊이의 재색을 색차계로 측정하였다. 열처리 시편 내층의 평균 백색도(L*)는 Oil-180 시편이 가장 높고, Oil-200 시편, Tmo-200 시편 순이다. 열처리에 의해 평균 적색도는 모든 시편이 증가하였으나 평균 황색도는 열처리 조건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였다. 무처리와 비교한 평균 색차값(${\Delta}E*$)은 Oil-200 시편과 Tmo-200 시편이 30.0 이상이나, Oil-180 시편은 18.4로 상대적으로 적게 변하였다. 열처리 시편 내층간의 평균 색차값 (${\Delta}E*$)은 6.0 이하로 세 열처리 조건 모두 시편 내층의 재색을 균일하게 변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고추의 ${\alpha}-glucosidase$ 저해제 고 활성 계통 선발 및 특성 평가 (Selection and Horticultural Characteristics Evalution of High ${\alpha}-Glucosidase$ Inhibitor in Pepper)

  • 조명철;박동복;양은영;배도함;원세라;유왕균;이해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3-239
    • /
    • 2007
  • 혈당강하 기능성을 갖는 고추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수집 보존중인 고추 유전자원과 시판 품종들의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AGI)을 조사하고 원예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AGI 활성 저해율은 열매에서 최대 20.8배, 잎에서 최대 5.9배 차이가 있었다. AGI활성이 높은 계통을 선발하고자 평가된 유전자원 848점의 원예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과중은 $0.5{\sim}56.0g$, 과장은 $0.8{\sim}15.4cm$, 과경은 $0.5{\sim}6.3cm$로서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하배축 색은 녹색, 1/4 정도 보라색을 띠는 것, 1/2 정도의 보라색을 띠는 것, 전체가 보라색인 계통 및 기타 혼합된 것이 분포하였다. 엽장은 $3.1{\sim}5.0cm$, 엽폭은 $2.1{\sim}3.0cm$이었다. 청과색은 대부분 녹색이었고, 숙과색은 적색이었다. 열매에서 AGI 활성이 높은 선발 계통들의 원예적 특성에 있어서 착과 방향은 모두 하향이었고 청과색은 연녹색 1계통을 제외하고는 모두 녹색이었으며 숙과색은 적색이었다. AGI 활성이 높은 것으로 선발된 고추 의 과중은 $5.9{\sim}41.1g$, 과장은 $5.9{\sim}17.0cm$이었다. 잎에서 AGI 활성이 높은 것으로 선발된 계통들의 엽장과 엽폭은 각각 $5.8{\sim}29.7cm,\;3.9{\sim}8.7cm$이었다. 고추의 잎 및 열매에서 AGI의 활성 변이 폭은 매우 컸으며, 이 결과로부터 혈당 강하 기능성을 갖는 새로운 고추 품종 육성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재배연도에 따른 검정콩 종자의 안토시아닌 함량 및 색차변이 (Variation of Contents and Color Difference of Anthocyanin by Different Cultivation Year in Black Soybean Seed)

  • 주용하;박재훈;정명근;윤승길;정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507-511
    • /
    • 2004
  • 본 시험은 2001년부터 2002년까지 기능성 성분인 검정콩 안토시아닌에 대하여 종자내 개별색소 종류에 대한 검정과 함량 및 색차의 변이를 구명하여 특수콩 품종육성 및 재배 생리적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현재 국내에서 육성된 장려품종 및 재배품종인 검정콩1호, 검정콩2호, 검정올콩, 선흑콩, 흑청콩, 일품검정콩, 청자콩, 진주1호, 다원콩, 쥐눈이콩(G), 쥐눈이콩(Y), 검정콩3호, 검정콩4호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검정콩 13개 재배품종의 개별 안토시아닌 검정에서 검정콩1호와 선흑콩이 cyanidin-3-glucoside(C3G)만 검출되었으며, 흑청콩은 delphinidin-3-glucoside(D3G)와 C3G가 검출되었고, 나머지 품종들은 D3G, C3G, petunidin-3-glucoside(Pt3G)가 모두 검출되었다. 2. 공시된 검정콩 재배품종의 안토시아닌 함량의 범위는 D3G가 $0.55\~2.63mg/g,$ C3G가 $2.77\~8.38mg/g$, Pt3G가 $0.38\~5.66mg/g$ 및 total anthocyanin(TA)이 $3.32\~16.67mg/g$이었으며, 품종간 및 연차간에 변이를 보였다. 3. 안토시아닌의 색차의 범위는 명도(L)가 $34.09\~42.89$, 적색도(a)가 $12.77\~22.85$, 황색도(b)가 $5.36\~12.79$이었으며, 품종간 및 연차간에 변이를 보였다. 4. 안토시아닌은 D3G, C3G, Pt3G 및 TA 모두 상호간에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돈육 등심의 육색과 보수력 측정치 사이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Measurements of Color and Water-Holding Capacity in Pork Loin)

  • 문상훈;정진연;김갑돈;조인철;전진태;주선태;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4호
    • /
    • pp.329-336
    • /
    • 2009
  • 본 실험은 돈육의 육색과 보수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동일한 품종(Landrace $\times$ Jeju native black pig, $F_2$), 동일한 사양방법, 동일한 도축방법으로 생산된 419두의 등심을 시료로 이용하여 사후 24시간에 육색, 보수력, 일반성분 및 pH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측정치들은 큰 변이를 보여 시험군의 돈육질의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육색측정치 중 명도가 육즙손실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hue(h) 값과 황색도도 육즙손실과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하지만 적색도와 Chroma는 육즙손실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육즙손실을 추정하는데 CIE $L^*$, $a^*$, $b^*$ 체계보다 CIE $L^*$, $b^*$, h 체계가 더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명도 단독으로 육즙손실을 추정하면 정확도가 27% 밖에 되지 않아 보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hue 값과 황색도를 포함한 다중회귀 방정식을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pH도 명도와 육즙손실과 유의적으로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pH 단독으로 명도와 육즙손실을 추정하면 정확도가 각각 44% 및 17%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pH 단독으로 육색과 보수력을 동시에 고려하는 돈육질을 판단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사료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동일한 품종, 사양방법, 도축방법으로 생산된 돈육이라도 육색과 보수력의 큰 변이로 돈육질의 변이도 크게 나타나며, 비록 명도, 육즙손실 및 pH가 상호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더라도 단독으로 돈육질의 추정에 이용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