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탄소 발전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TANDARDS OUTLOOK 해외 기술표준동향 - 중(中), 저탄소경제의 발전방향과 대책 논의

  • Ryu, Ha-Na
    • The Monthly Technology and Standards
    • /
    • s.119
    • /
    • pp.44-45
    • /
    • 2012
  • 중국품질인증센터(CQC)가 주최한 '저탄소경제 인증 서밋'이 지난 해 11월 25일 베이징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회의의 3대 주제는 '저탄소경제의 시장 메커니즘과 발전정책',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는 에너지전략', '저탄소경제에서 저탄소 인증 및 표준화의 역할'이다.

  • PDF

Recent Trends of Power System in Low-Carbon (저탄소 전력시스템의 기술동향)

  • Yu, Chul-R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11a
    • /
    • pp.50-51
    • /
    • 2010
  • 저탄소전력시스템에서 자연에너지의 유효이용과 전력의 안정공급이 요구되고 있다. 저탄소 전력시스템을 조성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하나 그 중에서 발전 시에 온실효과 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원자력이나 태양광발전 등 저탄소 전력시스템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다.

  • PDF

저탄소녹색성장론에 나타난 이명박정부의 국가-시장-사회관계

  • Lee, Yeon-Ho
    • Korean Journal of Legislative Studies
    • /
    • v.16 no.2
    • /
    • pp.67-99
    • /
    • 2010
  • 본 연구는 저탄소녹색성장전략의 분석을 통해 이명박 정부 하에서의 국가-시장-사회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이명박 정부의 정치경제발전모델이 자유주의적임을 부정하기는 어렵지만 순수하게 신자유주의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부분적으로 중상주의적 요소가 강하게 남아 있다. 아울러 국가와 시장간의 관계는 원칙적으로는 서로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객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녹색산업분야에서는 친산업·친기업적 요소가 강하게 존재하고 있다. 국가-사회관계는 갈등적이고 배제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명 박정부의 민주주의모델은 법적·제도적인 것이고 참여민주주의적 모델과는 거리를 두고 있다. 결국 사회배제적이고 친산업/친기업적 속성을 내포하는 한 시민사회세력의 반발에 직면하여 지속가능하지 못하게 되는 한계에 봉착하게 될 개연성이 높다.

기획특집 - 미래형 도시, 꿈꾸는 탄소 제로도시 개발

  • 환경보전협회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389
    • /
    • pp.8-24
    • /
    • 2010
  • 도시생활과 관련된 교통 주택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43%를 차지하고 있어 도시에서의 온실가스 저감대책 마련이 시급하며, 저탄소 녹색성장의 시대적 요구에 따라 기후변화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저탄소 녹색도시'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축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기능을 확충하면서 자연과 공생하는 도시를 말한다. 최근의 '저탄소 녹색도시'는 기존의 녹색도시와 또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자원순환과 신재생에너지원의 도입을 주장하고, 탄소상쇄를 위한 에너지 및 자원절감 전략을 중요시 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주거단지내 소비되는 난방과 전력은 단지내에서 생산되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고 있으며, 모든 주택의 지붕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단지 내 열병합 자가발전소에서 산업폐기물을 소각하여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제로 에너지(Zero Energy)를 실현하고 있다. 선진국 뿐 아니라 전 세계의 이목이 '저탄소 녹색도시'에 집중되고 있으며 저탄소 녹색도시를 조성해야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의무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20년 그린홈 100만호 보급을 목표로 주택분야 보급가능 신재생 에너지원을 태양열, 지열, 소형풍력, 연료전지 등으로 다양화하여 안정적 보급 기반을 확보해 가고 있다. 녹색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저탄소 주택, 저탄소 에너지, 녹색교통, 생태녹지, 물 및 자원순환등 핵심요소들의 적용방안이 검토되어져야 한다. 이에 본지에서는 "저탄소 녹색도시의 해외사례와 국내 적용방향", "그린홈 100만호 보급사업 그간 성과와 발전방향", "온라인 전지자동차의 기술 개발 동향"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