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탄소제품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Corrosion Inhibitor Test Method in Acqueous Solutions (부식억제제의 부식억제능 측정법에 대한 연구)

  • 원덕수;김영근;이성민;고영태;박용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9.05a
    • /
    • pp.45-45
    • /
    • 1999
  • 일반 구조용 탄소강은 수용액 중에 노출될 때 부식에 의한 손상을 받기 쉽다. 부식의 양지를 위한 방법으로 사용 매체 중에 부식억제제를 첨가하여 탄소강의 부식속도를 낮추는 방법은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부식억제제는 부식억제의 원리에 따라 양극부식억제제, 음극부식억제제 그리 고 이들의 혼합부삭억 세제 둥 여러 종류가 목적에 따라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부식억제제의 성능 평가에는 무게감량볍, 표면분석법, 분극거동측정, 부석전위, 선 형분극법에 의한 부식속도 측정 등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 중에서 전기화학적 평가볍 은 부삭억제제의 작용 기구 규명 등을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제품의 개발 단계에서 실질적인 평가법으로 갈리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무게 감량법인데 이 방법은 전면부식에 의한 금 속 손실량을 측정하여 부식억제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냐 실제로 부삭억제제가 사용되고 있는 환경에서의 부식양상을 판찰하여보면 전면부식에 의한 손상보다는 국부부식에 의한 손상이 보다 치명적언 경우를 종종 목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존의 무게감량법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부부식을 보다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새로운 시험법을 도 입 상용 부식억제제의 종류별로 비교하였다. 부식억제제로는 수용액 중의 부식억제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Nalco 39L과 본 연구실에서 SK해미칼과 공동 개발한 GH-110 등에 대하여 MCA(Multiple Crevice Assembly)를 이용 틈부식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박막화된 전기저항형 부석속도 측정 센서를 틈부식 형태의 부식측정 에 적용하는 연구를 행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재갚는 천연가스의 감압 온도보상용으로 운전하는 가스히터의 주 구성 재료인 저탄소강을 사용하였으며 열화된 부식억제제 용액으로 사용기간이 서로 다른 수용액들에 대하여 평가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다양한 부식억 제 제 수용액을 비교한 결과 MCA(Multiple Crevice Assembly)를 이용한 틈부식 억제능 시험은 실제 현장 사험 결과와 어느 정도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새로운 틈부식 저항성 측정법으로 시도한 철박막을 이용 틈부식 측정법은 육안 검사를 실시하지 않고도 틈부식의 전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C-27NiCr and WC-10Co4Cr coated Al bronze (WC-27NiCr과 WC-10Co4Cr로 코팅된 동합금의 전기화학적 특성)

  • Kim, Min-Seong;Park, Jae-Cheol;Jang, Seok-Gi;Kim, Seo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5a
    • /
    • pp.80-80
    • /
    • 2011
  • 세계 기후 변화와 불안정한 유가 변화에 대응하고 국내산업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해양에너지 중에서 조류발전은 대규모 댐을 건설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특히 날씨 변화나 계절에 관계가 없고, 발전량이 예측 가능하므로 신뢰성 있는 에너지원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조류발전기 블레이드에 폴리머계 복합재료와 스테인리스강이 대부분인데, 이 재료는 특정 회사에서만 제작 가능하며, 충격에 약하고, 균열전파 속도가 빠르며, 대단히 고가이며,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조류발전에 사용되는 블레이드는 가혹한 부식, 캐비테이션 그리고 침식환경에 노출되어 있어 내구성이 우수한 제품개발이 대단히 중요하며, 조류발전 블레이드를 동합금으로 제작시, 내식성이 뛰어나며 구리의 특성상 해양생물 서식을 방지할 수 있고, 내캐비테이션 특성, 내구성, 가공성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동합금에 WC-27NiCr와 WC-10Co4Cr를 초고속 화염용사(HVOF)를 이용하여 코팅층의 캐비테이션 특성 및 전기화학적 거동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류발전용 블레이드의 재료로 사용하려는 동합금에 WC-27NiCr와 WC-10Co4Cr이 용사코팅된 시험편을 사용하였다. 다채널 부식시험기인 WonA-tech WMPG-1000을 이용하여, 자연전위를 측정하였으며, 분극실험은 자체 제작한 홀더를 사용하여 $0.3318cm^2$를 노출 시켜 실험하였다. 기준전극은 은/염화은 전극을, 대극은 백금 전극을 사용하였다. 양분극과 음분극 실험을 통해 개로전위에서의 부식거동을 확인하였고, 정전위 실험도 실시하였다. 실험 종료 후 3D현미경 및 전자주사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코팅층 표면의 손상거동을 관찰하였다. 캐비테이션 실험은 ASTM-G32 규정에 의거하여 압전효과를 용한 진동발생 장치(RB 111-CE)를 사용하였다. 수조는 전기화학적 부식의 영향을 고려하여 아크릴로 제작하였고, 시험편은 실험장비에 맞게 파인커팅머신을 이용하여 $20mm{\times}20mm$로 절단하여 사용하였으며 혼과 대향하도록 하여 1mm 간격을 두어 실험하였다. 실험 실시 전, 미소전자저울을 사용하여 무게감소량을 측정하였으며 표면관찰을 통하여 캐비테이션 거동을 관찰하였다.

  • PDF

Research of Effective Method for Pellet Using Jubak (주박을 활용한 펠릿화의 효율적인 방법 연구)

  • Kim, Dae-Nyeon;Lee, Jung-Bok;Kim, Deok-Hy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47-247
    • /
    • 2010
  • 본 연구는 주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전분발효 부산물을 펠릿(pellet)연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인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술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박을 펠릿화하고 재생청정에너지인 폐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술을 정제하고 남은 지게미를 주박(酒粕, 술지게미)이라 하고 흔히 부드러운 것을 단단하게 뭉친 알갱이를 펠릿이라 한다. 현재 펠릿화는 폐목재를 분쇄후 성형, 가공하여 목재펠릿을 만들어 상용화하고 있다. 목재펠릿은 성형, 가공하는데 비용이 주박보다 많이 들고 열량도 더 낮음을 확인하였다. 목재소에서 나온 나무(톱밥)와 주박을 열량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로 나무는 약 1850 Kcal이고 주박은 약 1989 Kcal가 측정되었다. 나무는 일반 목재소 세 곳에서 채취한 것이고 주박은 막걸리, 약주 및 청주의 술지게미를 실험에 사용한다. 주류업체에서도 술을 정제하고 남은 주박을 처리하는데 많은 곤란과 비용이 든다. 또한 주박을 해양에 투척하여 처리해 왔으나 2012년부터 해양투기가 금지되어 더욱 처리에 곤란을 겪게 된다. 최근 주박을 토양개량제(비료)로 개발하여 사용하기도 하나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장점은 농산물을 재배해서 주류제조시 발생되는 주박을 펠릿화하여 연료로 사용하고 남은 재를 토양개량제로 사용하는 장점이 있다. 제품의 전체 라이프 사이클을 통해 환경으로 방출되는 모든 것을 가능한 한 0(zero)으로 하는 활동인 제로-이미션(zero-emision)이 된다. 이는 단순히 배출량만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폐기물을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한다는 측면이 가장 큰 이점이 된다. 주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주박을 종류별로 주박과 목재를 섞는 방법으로 열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열량이 높은 순서로 막걸리 주박과 약주 주박의 비율을 1:1, 1:0.5, 1:0.2, 두 번째 막걸리 주박과 청주 주박의 비율을 1:1, 1:0.5, 1:0.2, 세 번째 막걸리 주박과 나무 톱밥의 비율을 1:1, 1:0.5, 1:0.2로 섞어서 열량을 측정하였다. 열량이 높은 순서는 세 번째(2015Kcal), 두 번째(1995Kcal), 첫 번째(1868Kcal)의 순이었다. 가장 열량이 높은 막걸리 주박과 나무 톱밥을 섞은 것이 가장 효율성이 높다. 주박 펠릿의 장점은 친환경적인 소재이고 지속적으로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더욱이 주박 펠릿은 발열량이 높고 다른 바이오매스 원료에 비해 청정하다는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사용에 소요되는 유지 관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자동화가 가능하여 사용에 편리하다. 가격면에서 화석연료에 비해 안정적이고 체적 또한 작아 이송의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펠릿의 경우는 목재펠릿이 제품화되어 있지만 주박을 이용하여 제품의 펠릿화를 통한 연료원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전 세계 전무한 상태로 폐자원을 재사용하는 효율성이 제시된다. 향후 과제로 주박을 이용한 펠릿 연료원의 기술이 개발되고 기계적인 시스템을 개발하면 저탄소 녹색성장 신재생에너지 연료의 획기적인 미래형 에너지시스템이 될 것이다.

  • PDF

The Survey and Analysis of Technology Level on Korea's Key Green Technologies and its Implications (우리나라의 중점녹색기술수준 조사.분석 및 시사점)

  • Hong, Mi-Young;Hwang, KiHa;Hong, Jung Suk;Lee, Kyong-Jae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6 no.2
    • /
    • pp.476-505
    • /
    • 2013
  • Korea government has established and pursued green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as the core of green growth, for example, withdrawal of 27 key green technologies through 'gree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rehensive plan ('09.1)' since 'low carbon green growth' was proposed as a new national development paradigm.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Delphi survey of technology levels of 131 strategic product and service technologies derived from 27 key green technologies, utilizing large-scale group of green technology experts. The survey of technology level among main five nations resulted in the world's leading nation (US) versus EU (99.4%), Japan (95.3%), Korea (77.7%), China (67.1%) and Korea was ranked fourth. The technology gap between the world's leading nation (US) and Korea is 4.1 years behind EU (3.9 years) and Japan(3.1 years), but 2.1 years earlier than China. For our nation, key green technologies with high technology level are 'improved light water reactor (90.1%)', 'silicon-based solar cell (85.0%)', 'high-efficiency low-emission car (84.5%)' in order. Depending on the investment type of key green technologies, technology level is represented as short-term (85.0%), mid-term (77.3%) and long-term (71.1%) in order, indicating that lower technology level requires mid-to long-term investment and that the investment type is set appropriate.

  • PDF

Experimental Evaluation of Hydrate Form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imestone Calcined Clay Cement (LC3) According to Calcination Temperature of Low-Quality Kaolin Clay in Korea (국산 저품질 고령토의 소성온도에 따른 석회석 소성점토 시멘트(LC3)의 수화물 생성 및 기계적 특성 평가)

  • Moon, Jae-Geun;Her, Sung-Wun;Cho, Seong-Min;Bae, Su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10 no.3
    • /
    • pp.252-260
    • /
    • 2022
  • In Korea, low-quality kaolin has significantly greater reserves and superior economic efficiency than high-purity kaolin. However, the utilization is low because it does not match the demand conditions of the market, and it is difficult to find a suitable source of dem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possibility and optimal calcination temperature of domestic low-quality kaolin that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limestone plastic clay cement (LC3). Isothermal calorimetry, X-ray diffraction analysis,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compressive strength 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hydrate gener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C3 paste according to calcination temperatures (600 ℃, 700 ℃, 800 ℃, 900 ℃). As a result, although 50 % of the clinker was replaced, the domestic low-quality kaolin clay produced calboaluminate hydrate and C(A)SH from the 3rd day of hydration, showing almost equal or higher strength to OPC, and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strength depending on the firing temperature.

Development of 'Carbon Footprint' Concept and Its Utilization Prospects in the Agricultural and Forestry Sector ('탄소발자국' 개념의 발전 과정과 농림 부문에서의 활용 전망)

  • Choi, Sung-Won;Kim, Hakyoung;Kim, J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7 no.4
    • /
    • pp.358-383
    • /
    • 2015
  • The concept of 'carbon footprint' has been developed as a means of quantifying the specific emissions of the greenhouse gases (GHGs) that cause global warming. Although there are still neither clear definitions of the term nor rules for units or the scope of its estimation, it is broadly accepted that the carbon footprint is the total amount of GHGs, expressed as $CO_2$ equivalents, emitted into the atmosphere directly or indirectly at all processes of the production by an individual or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ISO/TS 14067, the carbon footprint of a product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units of activity of processes that emit GHGs by emission factor of the processes, and by summing them up. Based on this, 'carbon labelling' system has been implemented in various ways over the world to provide consumers the opportunities of comparison and choice, and to encourage voluntary activities of producers to reduce GHG emissions. In the agricultural sector, as a judgment basis to help purchaser with ethical consumption, 'low-carbon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certification' system is expected to have more utilization value. In this process, the 'cradle to gate' approach (which excludes stages for usage and disposal) is mainly used to set the boundaries of the life cycle assessment for agricultural products. The estimation of carbon footprint for the entire agricultural and forestry sector should take both removals and emissions into account in the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The carbon accumulation in the biomass of perennial trees in cropland should be considered also to reduce the total GHG emission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ower-based flux measurements can be used, which provide a direct quantification of $CO_2$ exchange during the entire life cycle. Carbon footprint information can be combined with other indicators to develop more holistic assessment indicators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and forestry ecosystems.

Trends and Interpretation of Life Cycle Assessment (LCA) for Carbon Footprinting of Fruit Products: Focused on Kiwifruits in Gyeongnam Region (과수의 탄소발자국 표지를 위한 LCA 동향 및 해석: 경남지역 참다래를 중심으로)

  • Deurer, Markus;Clothier, Brent;Huh, Keun-Young;Jun, Gee-Ill;Kim, In-Hea;Kim, Dae-Il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29 no.5
    • /
    • pp.389-406
    • /
    • 2011
  • As part of a feasibility study for introducing carbon labeling of fruit products in Korea, we explore the use of carbon footprints for Korean kiwifruit from Gyeongnam region as a case study. In Korea, the Korean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Institute (KEITI) is responsible for the carbon footprint labeling certification, and has two types of certification programs: one program focuses on climate change response (carbon footprint labeling analysis) and the other on low-carbon products (reduction of carbon footprints analysis). Currently agricultural products have not yet been included in the program. Carbon labeling could soon be a prerequisite for the international trading of agricultural products. In general the carbon footprints of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from New Zealand followed the methodology described in the ISO standards and conformed to the PAS 2050. The carbon footprint assessment focuses on a supply chain, and considers the foreground and the background systems. The basic scheme consists of four phases, which are the 'goal', 'scope', 'inventory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hases. In the case of the carbon footprint of New Zealand kiwifruit the study tried to understand each phase's contribution to total GHG emis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shipping, orchard, and coolstore operation are the main life cycle stages that contribute to the carbon footprint of the kiwifruit supply chain stretching from the orchard in New Zealand to the consumer in the UK. The carbon emission of long-distance transportation such as shipping can be a hot-spot of GHG emissions, but can be balanced out by minimizing the carbon footprint of other life cycle phases.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hat orchard and coolstore operations reduce the GHG-intensive inputs such as fuel or electricity to minimize GHG emissions and consequently facilitate the industry to compete in international markets. The carbon footprint labeling guided by international standards should be introduced for fruit products in Korea as soon as possible. The already established LCA methodology of NZ kiwifruit can be applied for fruit products as a cas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