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작운동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Jaw movement analysis in subjects with implant-supported prosthesis (임플랜트 보철 환자의 하악 운동에 관한 연구)

  • Kim, Yang-Soo;Kim, Yung-Soo;Kim, Chang-Whe;Kim, Yong-H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37 no.4
    • /
    • pp.399-415
    • /
    • 1999
  • 임플랜트 보철 환자의 하악 운동에 관한 연구를 위해 완전 고정성 보철 치료를 한 8명의 환자와 상하악 총의치를 장착한 8명의 환자, 그리고 5명의 자연치아 피검자를 대상으로 Sirognathograph(Siemens, Benshiem, Germany)와 BioPAK program(BioResearch, Milwaukee, U.S.A.)으로 한계운동과 당근시편에 대한 편측 저작운동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편측 저작 운동은 전두면에서의 저작운동의 높이와 폭, 전두면에서의 저작각도, 시상면에서의 절치기준점의 최대 이동거리, 시상면에서의 저작운동의 전후방 이동거리, 최대개구속도, 최대폐구속도의 기준점으로 각 저작주기의 성적을 평균처리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두면에서의 저작운동의 높이는 자연치, 총의치, 임플랜트 군간에 유의성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2. 전두면에서의 저작운동의 폭은 임플랜트 군이 자연치, 총의치 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작은 수치를 보였다(p<0.05). 3. 전두면에서의 저작각도 분석시 임플랜트 군과 자연치 군, 임플랜트 군과 총의치 군간에 유의성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4. 시상면에서의 절치기준점의 최대 이동거리 분석시 임플랜트 군과 자연치 군, 임플랜트 군과 총의치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5. 시상면에서의 전후방이동거리는 자연치 군이 임플랜트 군, 총의치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다(p<0.05). 6. 최대개구속도는 자연치 군이 총의치 군과 임플랜트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작은 수치를 보였다(p<0.05). 7. 최대폐구속도는 각 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8. 저작운동은 개인간의 차이가 커서 명확한 결론을 유추하기가 어려웠다.

  • PDF

Discussion of Neurologic Factor Influencing on Chewing Ability of Implant (임플란트 저작능에 영향을 주는 신경학적 원인에 대한 고찰)

  • Kim, Tae-Seon;Yoon, Jun-Ho;Kim, Sung-Hoi;Kim, Jee-Hwan;Shim, June-Sung;Lee, Jae-Hoon;Moon, Hong-Suk;Park, Young-Bum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8 no.3
    • /
    • pp.269-276
    • /
    • 2012
  • Many researches have been published about the numerous factors related to the chewing ability of implant prosthesis. Most respective studies have concluded that the chewing ability of implant prosthesis is mostly fine compared to other type of prosthesis. However, some patients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chewing ability of implant prosthesis. Therefore the neurologic factor, one of the factors related to dissatisfaction of chewing ability was reviewed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action of mastication. Data was searched using the keywords; 'implant chewing ability, masticatory ability' in Pubmed database and reviewed. Definitions of chewing ability, factors of chewing ability are reviewed and the neurologic factor, one of the factors influencing on chewing ability, is reviewed. Mechanoreceptor of Periodontal ligament(PDL) is providing the mastication information to brainstem. Due to the absence of mechanoreceptions of PDL in implant, masticatory ability is decreased especially when chewing hard food. Masticatory muscles and mechanoreceptor in TMD may compensate the lack of mechanoreceptor of PDL in implants. Furthermore sensitivity of nerve fiber around peri-implant tissues may support the mechanoreception and sensory reaction in the implant mastication. However,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prove the relationships between neurologic factors and mastication.

A STUDY ON THE EFFECTS OF CHEWING PATTERNS TO OCCLUSAL CONTACT POINTS AND CHEWING EFFICIENCY (저작 형태가 교합 접촉및 저작 능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ho, Li-La;Kim, Kwang-Nam;Chang, Ik-Tae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33 no.2
    • /
    • pp.269-280
    • /
    • 1995
  • 저작은 교합과 악운동 뿐만 아리라 근신경계, 고위 중추까지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기능적 행위이다. 교합 양상은 다양하게 저작 형태에 영향을 끼치며 저작 효율에도 관여한다. 저작 형태는 다양한 모양을 가지나 두가지 전형적인 군 즉, 전방에서 관찰시 그 양상이 수직적이며 chopping운동을 닮은 군과 저작 형태가 주로 측방으로 이루어지며 grinding을 하는 군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작 형태의 치아가 교합접촉 및 저작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하악운동궤적기록기를 이용하여 정상교합을 가진 치과대학생중 전형적인 2가지 저작형태를 보이는 각 10명씩을 피검자로 선택하였다. 3가지 하악위 즉, 중심위, 작업측 비작업측에서의 교합접촉을 고무형 교합인기재로 기록하여 천공부의 직경이 1mm이하면 1점, 1-2mm또는 직선상이면 2점, 2mm이상이면 3점으로 평가하여 각 점수의 합으로 좌우 소구치 및 대구치의 접촉 지수를 측정하였다. 저작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땅콩 3g(${\pm}0.01g$)을 20회 저작하게 한 후 3회 입을 헹구어 뱉게 하였다. 체눈 크기가 각 0.425, 0.60, 0.85, 2.0, 4.0인 체에 거른 후 $65^{\circ}C$로 오븐에서 세시간 말려 무게를 측정하고 중심 크기$(M_{50})$과 저작효율치(R)를 계산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hopping형은 grinding형에 비해 중심위에서 더 넓은 교합접촉을 보였다(P<0.01). 2. Grinding형은 chopping형에 비해 측방위에서 더 넓은 교합접촉을 보였다(P<0.01). 3. Chopping형은 중심크기($(M_{50})$)과 저작효율치(R)로 비교하였을 때 더 좋은 저작 효율을 보였다(P<0.01).

  • PDF

Support System for Authoring Personal Exercise Prescription (개인 맞춤 운동처방 저작 지원 시스템)

  • Yang, Nak-Yong;Cho, Hye-Won;Lee, You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81-1483
    • /
    • 2007
  • 최근 건강증진 및 치료를 위한 방법으로 운동이 주목을 받고 있다.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각각의 개인 특성에 맞는 맞춤형 운동처방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 운동처방사의 부족과 운동처방을 위한 시스템의 부재로 많은 사람들은 운동의 효과를 정확하게 얻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건강검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여러 분야의 운동관련 자료들을 쉽고 빠르게 개인 맞춤 운동처방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처방 전문가가 양질의 운동처방을 적은 노력과 시간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운동처방 저작을 위한 지원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Chewing Movement in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저작운동형태의 비교)

  • SUNG, Kee-Hyuk;SUNG, Jae-Hyu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7 no.5 s.64
    • /
    • pp.801-813
    • /
    • 1997
  • A comparative study was made on the chewing movements of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m malocclusion. Thirty normal occlusion subjects and twenty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were given chewing gums for the study : using BioPAK system, the chewing movement on the frontal plane was recorded and analyzed. With a typical chewing path chosen representing each subject, chewing width, opening distance, opening and closing angles, maximum opening and closing velocities were observed. Seven characteristic pattern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types of chewing path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 1. Compared with the normal occlusion group,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showed more varied and vertical chewing patterns. 2. In comparision of chewing widths, skeletal class m malocclusion group showed narrower path than the normal occlusion group(p<0.01). 3. In opening distanc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appeared shorter than the normal occlusion group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4. In opening and closing angles,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showed more acute angles than the normal occlusion group(p<0.01). 5. In maximum opening and closing velocities,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was slower than the normal occlusion group but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6. In the classification of chewing movement pattern, the normal occlusion group had Type II as the highest rate at 73.4% ;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the highest rate was Type III at 35.0%, followed by Type II at 30.0% 7. In the classification of chewing movement pattern, Type IV(chopping type)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showed a higher rate with 25.0% over 3.3% of normal occlusion group.

  • PDF

The Effects of Bilateral Chewing Exercise on Occlusion Force and Masseter Muscle Thickness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양측저작 운동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교합력과 깨물근에 미치는 효과)

  • Hong, Jun-Yong;Jung, Young-Jin;Kim, Min-Ji;Hwang, Se-Hyun;Park, Ji-Su;Lee, Gi-Hyoun;Kim, Tae-Hoon;Jung, Nam-Hae;Yoon, Tae-Hyung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10 no.1
    • /
    • pp.31-38
    • /
    • 2020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lateral chewing exercise applied for 6 weeks on occlusion force and masseter muscle thickness in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Methods : This study recruited 25 community residents. All participants performed bilateral chewing exercise using equipment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oral chewing exercise. The chewing exercise was divided into isometric and isotonic type and applied for about 20 minutes a day, five times a week for six weeks. For the evaluation, the masseter muscle thickness and the maximum occlusion force were measured three times at three week intervals using a portable ultrasound instrument and an occlusion force gauge. Results :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masseter muscle thickness, baseline, 3 weeks later, and 6 weeks later referred to 7.51±0.43, 7.63±0.44, and 7.83±0.46, respectively (F=3.819, p<.05). The post hoc test resulted in a significance between baseline and 6 weeks later (p=0.023). Similarly,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occlusion force, baseline, 3 weeks later, and 6 weeks later referred to 265±9.22, 268±9.57, and 271.59±10.16, respectively (F=3.031, p<.05). The post hoc test resulted in a significance between baseline and 6 weeks later (p=0.048).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at bilateral chewing exercise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masseter muscle thickness and occlusion force in the elderly. Therefore, bilateral chewing exercise can be applied as a therapeutic exercise method for improving oral function.

A STUDY ON THE EFFECTS OF CHEWING PATTERNS TO OCCLUSAL WEAR (저작형태가 교합면 마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Seong-Kyun;Kim, Kwang-Nam;Chang, Ik-Tae;Heo, Seong-Jo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34 no.1
    • /
    • pp.15-30
    • /
    • 1996
  • 저작은 치아, 악골, 저작근 뿐만 아니라 근 신경계, 고위 중추까지 복합적으로 관여되는 기능적 행위이다. 저작 형태는 다양한 모양을 가지나 두 가지 전형적인 군, 즉, 전방에서 관찰 시 그 양상이 수직적이며 절단 (chopping) 운동을 하는 군과 주로 측방으로 이루어지며 연마 (grinding)를 하는 군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작 형태의 차이가 교합면 마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두개 하악 관절과 저작 습관에 이상이 없으며 교합면에 수복물이 없는 치과 대학생으로 하악 운동 궤적 기록기를 이용하여 상기의 전형적인 2가지 저작 형태를 보이는 각 15명씩을 피검자로 선택하였다. 각 피검자에 대한 임상 검사를 통해 ordinal scale로 교합면 마모의 등급을 조사하여, 평균 치아 마모도와 부위에 따른 치아 마모도를 비교 조사하였다. 각 피검자에 대한 인상 채득 후 모형을 제작하고 arbitrary scale로 교합면 마모의 등급을 조사하여, 평균 치아 마모도와 부위에 따른 치아 마모도를 비교 조사하고 저작측과 비저작측 마모를 비교 조사하였으며 수평 마모면과 수직 마모면을 비교 조사하였다. 1. 평균 치아 마모도는 ordinal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절단형과 연마형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p >0.05) 2. 부위에 따른 치아의 마모도는 ordinal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절단형과 연마형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p >0.05) 3. 평균 치아 마모도는 arbitrary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절단형에 비교하여 연마형에서 높은 마모도를 보였다.(p<0.05). 4. 절단형에 비교하여 연마형은 arbitrary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구치부에서는 높은 마모도를 보였으며 전치부에서는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p<0.05) 5. 구치 평균 치아 마모도와 부위에 따른 치아의 마모도는 균형측에서 절단형과 연마형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6. 전치 평균 치아 마모도와 부위에 따른 치아의 마모도는 수평 마모면과 수직 마모면 비교시, 절단형과 연마형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 PDF

교합과 저작근 활동

  • Kim, Jung-Su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5 no.10 s.221
    • /
    • pp.913-916
    • /
    • 1987
  • 저작운동을 중추신경계와 말초조직의 작용에의해 일생동안 학습과 적응의 가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저작의 양상은 유치가 구강내에 맹출되면서 이루어지며, 상하악 치아의 접촉, 점막과 혀 및 치아상호간에 일어나는 접촉과 치근막의 고유수용기와 악관절 수용기등에 의해 조정되어 최종적으로 에너지소비가 적고 동통이나 불편함이 없이 최대의 효율을 나타내는 양상으로 된다. 그러나 원활한 저작과 하악은동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저작근, 악관절, 상하악 치아의 교합등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만일 외상에 의해 악관절의 기능장애가 오면 저작근활동이 변화하고 이에따라 교합장애를 야기한다. 또한 치아를 상실하거나 대합치아간의 조기접촉이 있으면 교합장애가 원인이 되어 근육활동이 변화와 악관절 기능장애를 초래한다. 그리고 때로는 지나친 근육의 활동(이갈이, 지속적 긴장성 수축)에 의해 지나친 치아의 마모로인한 교합장애나 악관절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하악의 기능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합의 형태학적 관계와 더불어 저작계의 기능적인 면도 고려하여 그 상호관계를 검토하여야 하며 본문에서는 교합에 관련된 저작근의 작용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교합장애와 근육활동장애의 연관성에 관해 고찰코자 한다.

  • PDF

저자 인터뷰-"국외한인사회와 민족운동"의 저자 윤병석교수

  • Choe, Tae-Wo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83
    • /
    • pp.12-12
    • /
    • 1991
  • 민족운동사의 골간을 이루는 항일독립운동을 보다 폭넓게 규명하기 위한 이 책은 서북간도와 만주, 연해주, 미주지역을 중심한 나라 밖 독립운동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해외한인사회의 성립과 이를 거점으로 한 조국광복항쟁의 의의를 정립, 민족독립운동사연구를 집적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은 저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