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압

Search Result 1,328, Processing Time 0.064 seconds

Study of the Application of PTC elements for Low Voltage Circuit Breakers (PTC 소자의 저압차단기 적용에 관한 연구)

  • Kang, J.S.;Lee, B.W.;Choe, W.J.;Oh, I.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c
    • /
    • pp.1339-1340
    • /
    • 2006
  • 일반적으로 저압계통의 고장전류를 차단하기 위해서, 기중차단기(LVPCB, ACB), 배선용차단기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저압차단기는 저압계통의 고장전류를 차단할 수 있으나, 고장전류를 효과적으로 제한하지 못하며, 차단기 내부의 아킹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므로, 저압차단기는 물론 주변 전력기기에 전기적/열적/기계적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또한 지속적인 부하의 증가로 인해 저압계통의 단락전류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저압계통은 물론 고압계통에서도 고장전류를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한 및 차단을 할 수 있는 한류형 차단기가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온도계수(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가지는 소자를 이용하여 저압계통에 적용가능한 한류소자를 개발하였으며, 기존 차단기에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하여 저압계통의 고장전류를 매우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한 및 차단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저압계통의 차단보호 협조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한류형 차단기를 제안하였다. 한류소자를 전력기기에 적용하는 방법은 크게 기존 차단기와 직렬로 연결되는 방식과 기존 차단기를 수정하여 차단기 내부의 접점과 비직렬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분 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직렬방식/비직렬방식으로 기존 차단기에 한류소자를 적용항에 있어서 대응가능한 대전류 PTC소자를 개발하였으며, 또한 각 방안에 대한 시제품을 제작하여 제한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Analysis of Electric Potential Distribution due to Condition of Grounding Environment (접지환경 조건에 따른 지중함의 전위분포 해석)

  • Kim, Chong-Min;Bang, Sun-Bae;Han, Woon-Ki;Kim, Han-Sang;Shim, Keon-B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2074-207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침수된 저압 지중함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전 사고시 지중함내의 접지조건이 주변의 대지전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저압 지중함 실증실험장을 설계 구축하였으며 3가지 접지조건의 경우에 대해 대지전위 측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case 1과 case2와 같은 실증실험을 통해 저압 지중함에 설치되어 있는 접지선은 저압 지중함에서 대지전위 분포에 거의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case 3과 같은 실증실험을 통해 저압 지중함 철재틀에 접지단자를 본딩 할 경우 저압 지중함 주변의 대지전위 상승이 거의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저압 지중함 철재틀에 접지단자를 본딩 할 경우 혹시 발생될 수 있는 지중함의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Standards for measuring insulating distances of low voltage equipments (저압기기의 절연거리 측정에 관한 규격 고찰)

  • Ahn, Sang-Pil;Park, Nam-Ok;Park, Seong-Hoon;Kim, Chul-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691-692
    • /
    • 2008
  • 저압기기는 사용자의 조작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서 항상 안전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제품규격에서도 안전에 관련된 시험 요구사항 개발이 최근 들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절연과 관련된 시험 요구사항 중 기본 절연거리에 대한 규정은 저압기기의 역사와 같이 해왔으며, 매우 중요한 요구조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저압기기의 소형화와 전자부품화에 따라 절연거리의 측정에 관련된 규칙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화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차단기류 제품규격을 중심으로 하여 절연거리 측정과 관련된 시험규격 및 방법을 고찰해 보고, 실제 진행된 국제비교숙련도 시험의 개요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정리된 규칙들은 연구원들이 대부분의 저압기기의 절연거리 측정에 공통적으로 적용하여 저압기기 개발 시 유용하게 활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tudy of the Application of PTC elements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소형 배선용차단기에 PTC 소자 적용에 관한 연구)

  • Kim, K.S.;Lee, S.S.;Lim, K.J.;Kang, S.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376-377
    • /
    • 2008
  • 저압계동의 고장전류를 차단하기 위해서, 기중차단기(ACB), 배선용차단기(MCCB)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저압차단기는 저압계통의 고장전류를 차단할 수 있으나, 고장전류를 효과적으로 제한하지 못하며, 차단기 내부의 아킹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므로, 저압차단기는 물론 주변 전력기기에 전기적/열적/기계적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또한 지속적인 부하의 증가로 인해 저압계통의 단락전류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므로 저압계통은 물론 고압계통에서도 고장전류를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한 및 차단을 할 수 있는 한류형 차단기가 제안되고 있다. 저압계통의 경우, 정온도계수(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특성을 가지는 한류소자를 기존 차단기에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하여 저압계동의 고장전류를 매우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한 및 차단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온도계수 특성을 가지는 소자를 이용하여 소형 저압차단기의 차단용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PTC elements for limiting short circuit current in low voltage power systems (저압계통의 단락전류 제한을 위한 PTC 소자 개발)

  • Kang, J.S.;Lee, B.W.;Oh, I.S.;Kwon, Y.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1a
    • /
    • pp.18-20
    • /
    • 2005
  • 일반적으로 저압계통의 고장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차단기의 차단원리는 주로 역전압발생법올 이용하고 있다. 역전압발생법은 효과적으로 저압계통의 고장전류를 차단할 수 있으나, 제한된 한류성능과 긴 아킹 시간은 차단기는 물론 주변 전력기기에 전기적/열적/기계적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국내외 업체는 고장전류를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한 및 차단을 할 수 있는 한류형 차단기를 제안하고 있는 실정이다. 저압계통의 경우, 정온도계수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특성을 가지는 한류소자를 기존 차단기에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하여 저압계통의 고장전류를 매우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한 및 차단하는 추세에 있으며, 또한 PTC 한류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저압계통의 차단보호협조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고자 하고 있다. PTC 한류소자는 소자는 열팽창이 큰 비전도성 성분과 열팽창이 작은 전도성 성분이 혼합되어 구성되며, 소자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전도성 성분이 상대적으로 큰 부피 팽창을 하여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PTC 소자를 전력계통에 적용함으로써 고장전류에 따른 줄열에 의한 저항증가로 고장전류를 제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배터리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수지 및 카본블랙으로 구성된 폴리머 PTC 한류소자를 이용하여, 기존의 저전력 배터리 보호 폴리머 PTC 소자로부터, 저압계통의 단락사고시 발생하는 단락전류를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대전력 폴리머 PTC 소자를 개발하였다.

  • PDF

DSMC 방법을 이용한 극 저압 CCP 챔버 내의 유동 해석

  • Kim, Jin-Seok;Song, In-Cheol;Heo, Min-Yeong;Lee, Ho-Jun;Lee, H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532-532
    • /
    • 2013
  • 세계의 반도체, 의료, 금속, 섬유 등의 분야에서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서 나노 입자, High quality 박막 등에 대한 수요는 커져가고 있다. 이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극 저압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극 저압 기체 흐름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수 mTorr 이하의 압력에서는 유체 시뮬레이션으로 해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DSMC 방법을 이용하여 극 저압 CCP 챔버 내의 기체의 흐름을 해석하고 특성을 살펴보았다.

  • PDF

이동형 비접지식 저압발전기에서의 누전차단기의 동작특성에 관한 연구

  • 문종호;손기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53-156
    • /
    • 2003
  •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발전기는 220[V]용 소형발전기, 380[V]용, 440[V]의 저압형태의 발전기로, 이러한 저압용 발전기는 3.3[kV] 또는 6.6[kV]로 건물내부에 설치되어 정전시에 사용되는 비상용 발전기와는 달리 대형전력계통과는 분리되어 운용되는 독립전력계통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중략)

  • PDF

Voltage Analysis Method of Low-voltage Distribution System with Distributed Generation (분산전원이 도입된 저압배전계통의 전압해석빙법)

  • Kwon Hoon;Ma Dong Hwan;Ahn Sang Hyun;Kim Jae 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230-232
    • /
    • 2004
  • 발전사업자허가제의 대폭완화조짐과 구역전 기사업자의 전기판매허용관련법안예고 등으로 소규모 분산전원인 대체에너지전원(태양광)과 소형열병합발전설비가 배전계통에 보급가속화 될 전망이다 이와 같이 150kW이하의 소형분산전원이 저압(380V/220V) 배전선로에 도입될 경우 배전회사 내지 전력회사의 배전사업소에서는 전력품질유지상 전압변동문제 등의 사전도입검토를 수행하여야 하는데, 국내에는 아직 저압배전선에 대한 모델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최초로 분산전원이 도입된 저압배전계통 전압해석모델을 제시하고 부하가 없는 저압배전계통에서 주상변압기와 소형분산전원사이의 전압변동을 보고자 한다.

  • PDF

Study on the Harmonic Emission Limit for Low-Voltage Electrical Equipment (IEC 저압 전기기기 고조파 유출제한 기준 분석)

  • Kang, Moon-Ho;Park, Yong-Up;Song, Yang-Hya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390-391
    • /
    • 2008
  • 배전계통의 고조파(Harmonics) 방해현상은 배전계통에서 전압강하와 함께 순시전력의 품질저하로 나타나고 있어 전력회사 및 고객 모두에게 막대한 손실을 주고 있어 동 분야에 대한 기준 제정을 통한 적극적인 대책이 절실히 필요하다.[3][4] 최근 고조파로 인한 중성선 및 NGR(Neutral Ground Reactor) 과열, OCGR 오동작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수립이 요구되고 있으며, PL(Product Liability)법이 시행됨에 따라 전기품질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 마련이 요구된다.[5][6]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IEC 국제규격을 통해 규제기준치를 설정하고 저압 전기기기에서 발생되는 고조파를 규제하고 있으며, 국내의 저압 전기기기로부터 발생되는 고조파를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당 16A이하에 해당하는 IEC 고조파 유출제한 기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클래스 A등급의 저압 전기기기의 고조파 유출제한 기준은 저압계통의 기준 임피던스와 허용 최대전압을 바탕으로 계산되었으며, 기타 등급의 전기 기기들도 클래스 A의 유출제한 기준을 바탕으로 산출되었다.

  • PDF

Cause Analysis of abnormal in Low Pressure Turbine Casing in Thermal Power Plant (화력발전소 저압터빈 케이싱 이상진동 원인분석)

  • Koo, Jae Raeyang;Lee, Doo Young;Lee, Wook Ryun;Kim, Hee Soo;Kim, Dong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0a
    • /
    • pp.300-302
    • /
    • 2014
  • 발전기 출력의 약 60%을 담당하는 저압터빈의 케이싱은 복수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케이싱과 내부 케이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압터빈 케이싱은 사용연수의 증가에 다른 경년열화로 인하여 터빈 기초 지지대의 침하, 케이싱 볼트의 느슨해짐 등 외부의 여러 가지 환경변화에 의하여 고유진동수가 저하된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화력발전소 저압터빈 케이싱의 고유진동수 변화에 의하여 터빈 운전 주파수와 일치하는 공진현상이 발생하고 발전설비 운전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원인 분석과 최소한의 비용으로 공진현상을 저감하고 운전 신뢰성을 확보한 사례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