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수지 제체

Search Result 7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ssessment of flood control effects considering reservoir dam heightening and operation methods (저수지 운영기법을 고려한 저수지 둑높이기에 따른 홍수조절 효과 분석)

  • Kim, Si Nae;Hwang, Soon Ho;Jun, Sang Min;Kim, Ji Hye;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58-258
    • /
    • 2020
  • 홍수기시 저수지 방류량으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구조적인 방법과 비구조적인 방법이 있으며, 구조적인 방법으로는 저수지 제체를 증고하는 등의 방법이 있고, 비구조적인 방법으로는 홍수 관리 수리시설물의 홍수기시 효율적인 운영 등이 있다. 그동안 둑높이기 저수지를 평가하는 다양한 연구에서는 제체의 증고를 통한 홍수조절능력 평가가 주를 이뤄왔으나 홍수기시 수공구조물의 운영방법별 홍수조절효과를 다각적으로 비교 연구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룡강 유역의 장성저수지를 대상으로 빈도별 홍수량을 산정하고, 둑높이기 전후의 수공구조물 운영 방법별 홍수조절능력을 평가하였으며, 효율적인 홍수조절방법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구인 장성저수지의 지배관측소인 광주관측소의 과거 기상자료를 수집하였으며 HEC-HMS (Hydrologic Modeling System)을 이용하여 50년, 100년, 200년 빈도 및 PMF 유입시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였다. 각 설계홍수량의 유입 시 저수지 운영 모의에는 HEC-5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5)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저수지 운영기법으로 Auto ROM 과 Rigid ROM 방식을 적용하였다. 또한 둑 높이기 전후 홍수조절능력 평가는 지체시간, 시간별 홍수위, 첨두홍수량, 홍수조절률 등 다양한 평가 지표를 고려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모의한 저수지 운영기법별 둑높이기 전 후의 홍수조절효과 평가를 통해 저수지의 최적 운영방안을 도출하고 둑높이기 저수지의 하류하천에 대한 치수계획의 수립 및 보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enerating and evaluating 10 min. flood operation data on Wangsin reservoir at typhoon Hinnamnor (태풍 힌남노에 따른 왕신저수지의 10분 단위 홍수운영자료 생산 및 평가)

  • Jaekyoung Noh;Jaenam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0-60
    • /
    • 2023
  • 태풍 힌남노에 경주에 위치한 총저수량 184만m3, 유역면적 22km2인 왕신저수지는 303m의 제체가 2시간여 동안 전면 월류하는 초유의 사태를 겪었다. 그때 다행히 저수지 수위는 10분 단위로 기록됐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제체 월류현상을 평가하기 위해 저수지 운영의 기본자료인 유입량, 저수량, 방류량 등을 10분 단위로 생산코자 했다. 방법은 인근에 위치하고 운영자료가 있는 총저수량 260만m3, 유역면적 3.7km2인 감포댐에 대해 유입량 모의방법을 검증하고, 왕신저수지에 그대로 적용하여 유입량을 모의하고, 물수지에 의해 방류량을 계산하는 것으로 했다. 모의결과는 저수량 오차로 신뢰도를 확인했다. 여기서 저수지 유입량은 ONE 모형을 이용하여 10분 단위로 생산했다. 2022년 9월 5일부터 6일까지 10분 단위로 모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포댐 유역은 강우량은 10분 최대 32.3mm, 총강우량 196.0mm였고, 유입량은 10분 최대 80.1m3/s, 총유입량 59만m3로 모의됐고, 신뢰도는 RMSE 2.120mm, NSE 0.947, R2는 0.94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저수량 모의 신뢰도도 RMSE 0.153m, NSE 0.993, R2는 0.997로 높았다. 둘째, 왕신저수지 유역은 강우량은 유역내에 위치한 환경부 관리의 화산리 관측소에서 10분 최대 21.0mm, 총강우량은 10시간 동안 422.0mm였고, 유입량은 10분 최대 716.5m3/s, 총유입량 904만m3로 모의됐고, 유출률은 95.7%로 강우량 거의가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왕신 저수지의 방류량은 10분 최대 610.8m3/s, 총방류량 848만m3로 계산됐고, 총유입량의 93.8%에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수지 물수지에 의해 10분 단위 모의 저수위의 신뢰도는 RMSE 0.117m, NSE 0.994, R2는 0.99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넷째, 왕신저수지의 제체고 EL.59.20m를 월류한 시간은 9월6일 5시50분부터 8시까지 2시간10분 동안였으며, 관측 저수위는 EL59.24m~EL.60.28m, 모의 저수위는 EL.59.31m~EL.60.29m로 나타났다. 월류되는 동안 총유입량은 544만m3, 총방류량은 527만m3로 나타나, 유입량의 96.8%가 월류되는 것으로 계산돼 저수지의 저류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유입량은 전기간의 60.2%, 방류량은 62.1%에 상당했다. 다섯째, 힌남노에 따른 왕신저수지의 홍수조절효과는 첨두유입량을 105.7m3/s 저감시켰고, 홍수량을 56만m3을 저류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 PDF

Verification of Reinforcement with Grouting Materials in Reservoir Dike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저수지 제체 그라우팅 효과 검증)

  • Song, Sung-Ho;Yong, Hwan-Ho;Lee, Gyu-Sang;Woo, Myung-Ha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73-78
    • /
    • 2006
  • To verify reinforcing effect of grouting materials on the water leakage region in dike, we performed various hydraulic test and we also applied electric resistivity survey including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ERT) to see resistivity variation before and after grouting. As the results of dipole-dipole array survey along dike, resistivity distribution after grouting was without noticeable spatial variation. Long term resistivity monitoring results at dike with Schlumberger array electric resistivity survey showed that the decreasing region of apparent resistivity and one dimensional inversion results were the occupied region by grout after grouting. From the ERT using check holes to inspect the effect of grouting, we could find that the ERT is quite effective to evaluate spatially grout region in dike.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Overflow and Internal Erosion Protection Technology of a Reservoir (저수지 제체월류 및 내부침식 보호기술 모형실험 연구)

  • Jin, Ji-Huan;Lee, Tae-Ho;Yoo, Jeon-Yong;Im, Eun-Sang;Lee, Seung-Joo;Kim, Yong-Se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8 no.4
    • /
    • pp.181-191
    • /
    • 2019
  • Most of the reservoirs in South Korea are fill dam, and overflow and piping phenomena have been detected as the main causes of failure of fill dam. In this study, an operating ◯◯ reservoir located in Gongju-si is modeled in centrifuge model test to study the behavior of reservoir during water level rise and overflow conditions. In order to simulate seepage and overflow in the real reservoir, the model was constructed in 1/50 scale, and deteriorated and reinforced conduits were installed. After modeling the reinforced and deteriorated conditions of the conduits, LVDTs, pore pressure gauges were installed and centrifuge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with water level rise and overflow condi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reservoir behavior according to the reinforcement methods. The results of centrifuge model test in water level rise condition show that deteriorated conduit has adverse effects in the stability of the reservoir body, and the conduit which is reinforced by the inverse lining method has enhanced stability of the reservoir body. Moreover, installation of water spillway is seen to prevent the scour and erosion of the reservoir body. The study provides a basic data required for the reinforcement of conduit and water spillway in the reservo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afety Management Plan for Fill Dam During Water Level Fluctuation Using Numerical Analysis (수치해석을 이용한 수위변동시 필댐의 거동특성 및 안전관리방안)

  • Jung, Heedon;Kim, Yongseong;Lee, Moojae;Lee, Seungjoo;Tamang, Bibek;Heo, Joon;Ahn, S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20 no.1
    • /
    • pp.45-55
    • /
    • 2021
  • In this study,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l dam were analyzed during water level fluctuations through a numerical analysis model, and the reservoir safety management plan was prepared. The variation in plastic deviatoric strain, horizontal displacement, stress path, pore water pressure, etc., due to elevation of water level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shell and core were analyzed using numerical analysis software, viz. GTS NX and LIQCA. The analysis results manifest that as the water level in the dam body increases rapidly, the pore water pressure and displacement also increase quickly. It was found that the elevation of the water level causes an increase in pore water pressure in the dam body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 saturation of the dam body and decreased effective stress. It is considered that this type of dam behavior can be the cause of the reduction of strength and stiffness of the dam. Also, it is assumed that the accumulated plastic deviatoric strain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dam body caused by water infiltration causes an increase in displacement. Based 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results of analyses of the existing reservoir safety diagnosis techniques, an improvement plan for dam safety diagnosis and evaluation criteria was proposed, and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primary data while revising dam safety diagnosis guidelines.

A Rehabilit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 for Development of Water Resources (수자원 확보를 위한 농업용저수지의 재개발)

  • Choi, Won-Suk;Kang, Tae-Ho;Lee, Jeong-Tae;Choi, Byu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79-479
    • /
    • 2011
  • 전 세계는 현재 이상기후와 국지적인 돌발호우 및 가뭄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어서 지난 겨울에 많은 폭설로 여러 지역에서 도로단절, 농작물 피해 및 공공 시설물의 파괴 등 날로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지난 몇 해 전에도 강원도지역 가뭄으로 인한 식수 및 농업용수 부족으로 인근 지역의 식수원 및 농작물 피해를 겪어야만 했다. 이러한 수자원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대규모 저수지 및 랩을 신설하는 것이 가장 수자원확보에 용이한 방법이다 그러나, 대규모 저수지 및 댐을 건설할 수 있는 적지의 감소로 수자원확보가 예전보다 수월하지 않다. 이러한 대안으로 기존 수자원시설물의 개량 혹은 재개발로 수자원의 일부인 농업용수를 확보하는 경제적인 방안이 활용되고 있다. 농업용 저수지중 콘크리트 댐으로 구성된 제체 높이를 17.0m에서 3.1m 높여 20.1m로 증고하여, 환경용수를 포함한 유효저수량을 184만 $m^3$을 추가 확보하여 하류 수혜구역 485.9ha에 농업용수 공급 및 갈수기 하류하천의 환경용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경상북도 남동단에 형산강 지류에 위치한 OO 저수지는 기계천을 중심으로 형산강에 도달하며 동쪽으로는 포항시 신광변, 북쪽으로는 포항시 죽장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OO 저수지는 기존 저수지 콘크리트 범 상류면 보강 및 내측 덧쌓기, 하류면 보강 및 외측 덧 쌓기, 기존 저수지 하류에 신설탬을 설치하는 안으로 비교하여 결정하였으며, 저수지 제체 입지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비교 검토한 결과 콘크리트 댐 상류면에 보강 및 내측 덧쌓기 안이 가장 시공성에 있어 효율적이며 경제적이므로 선정하여 계획하였다.

  • PDF

Safety Index Evaluation from Resistivity Monitoring Data for a Reservoir Dyke (전기비저항 상시관측에 의한 제체 안전도 지수 산출)

  • Cho, In-Ky;Kang, Hyung-Jae;Lee, Byoung-Ho;Kim, Byoung-Ho;Yi, Sang-Sun;Park, Young-Gyu;Lee, Bo-Hyu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9 no.2
    • /
    • pp.155-162
    • /
    • 2006
  • An abnormal seepage flow, which is mainly caused by the piping, is one of the major reasons for embankment dam failure. A leakage detection is therefore a vital part of an embankment dam's monitoring. Resistivity method, which is an efficient tool to detect leakage zones, has been used all over the world for an embankment dam's monitoring. Although the resistivity method gives us very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leakage problem, there is no more quantitative interpretation than the low resistivity zones in the 2-dimensional resistivity section are regraded simply as the anomalous seepage zones. Recently, resistivity monitoring technique is applied for the detection of leakage zones. However, its interpretation still remains in the stage of presenting the resistivity ratio itself. An increased seepage flow increases a porosity and an increasing porosity decreases the dam's stability. Therefore, the porosity is one of the major factors for an embankment dam's stability. Based on Archie's experimental formula, we try to evaluate a porosity distribution from the resistivity data which is obtained on the dam's crest. We also attempt to represent a procedure to evaluate a safety index of the embankment dam from the resistivity monitoring data.

A Study on the Reinforcing Effect Analysis of Aging Reservoir Reinforced with Surface Stabilizer (표층안정재로 보강된 노후 저수지의 보강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Seonghun;Seo, Segwan;Cho, Daes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1 no.9
    • /
    • pp.5-14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reinforcement effect by conducting laboratory test, model test and program analysis to utilize the surface stabilizer used for the restoration work of collapsed slopes as a reinforcing material for aging reservoirs that exhibits a curing reaction similar to c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aboratory test, a model test and program analysis were performed by applying 9% of the mixing ratio. As a result, when the surface stabilizer was used in aging reservoir, it was found that the flow of water only occurred on part of the slope and underground in reservoir. And the water flow could be reduced inside the reservoir.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seepage discharge could be reduced by about 42% and the saturated area within the reservoir by about 73%, thereby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aged reservo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