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수지 용량 재할당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ffects on Conservation and Flood Control Systems According In Normal Water Level Change from Daechung Multi-Purpose Reservoir (대청 다목적댐의 상시만수위 변경에 따른 이수 및 치수 영향 검토)

  • Yi, Jae-Eung;Kwon, Dong-S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1 s.174
    • /
    • pp.1-10
    • /
    • 2007
  • Reallocation procedure of multipurpose reservoir storage capacity between flood control and conservation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secure more water resources. Storage reallocation is an adaptive management mechanism for converting existing normal pool level of reservoirs to more beneficial uses without requirement for physical altera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 reservoir storage reallocation methodology that allows increased water supply storage without minimizing adverse impacts on flood control. The methodology consists of flood control reservoir simulation for inflows with various return periods, flow routing from reservoir to a potential damage site, analyzing river carrying capacity, and reservoir yields estimation for reallocated storages. For the flood control model, a simulation model called Rigid ROM(Reservoir Operation Method) and HEC-5 are used. The approach is illustrated by applying it to two reservoirs system in Geum River basin. Especially with and without new project conditions are considered to analyze trade-offs between competing objectives.

Storage Reallocation for Daechung Multipurpose Reservoir (대청댐 용량 재할당에 대한 연구)

  • Yi, Jae-Eung;Kwon, D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304-30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의 대청다목적댐을 대상으로 대청댐의 제한수위를 변화시켜 가며 대청댐의 홍수조절과 용수공급능력을 판단하였다. 이를 위하여 홍수기 저수지 모의운영 방법 중 Rigid ROM 기법을 수정$\cdot$보완하여 개발한 모의기법을 이용하여 빈도별 홍수유입량에 대해 홍수기 저수지 운영을 실시하였다. 모의운영에 의해 얻은 방류량을 대청댐으로부터 공주지점까지 홍수추적함으로써 공주지점의 최대홍수량을 산정하였다. 산출된 공주지점 최대홍수량을 토대로 대청댐 제한수위의 변화와 빈도별 유입 홍수량의 함수로써 공주지점의 최대홍수량 관계식을 유도하고, 이 관계식을 이용하여 합리적인 대청댐 재할당 수위 및 대청댐 홍수조절 능력을 산정하였다. 또한 대청댐의 상시만수위를 변화시키면서 신뢰도 $95\%$를 만족시키는 용수공급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홍수조절 측면에서 대청댐의 상시만수위를 78m로 재할당시에 24시간 지속기간을 갖는 300년 빈도 홍수에도 홍수조절이 가능하므로 대청댐의 용량 재할당량은 78m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78m로 재할당 했을 시 이수측면에서 신뢰도 $95\%$를 만족시키는 용수공급량은 기존의 상시만수위 76.5m로 운영했을 시와 비교하여 약 $3\%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 Study for Storage Reallocation of Multipurpose Reservoir(II) - Conservation Storage Analysis (다목적댐 용량 재할당에 대한 연구(II)- 이수용량 분석)

  • Yi, Jae-Eung;Kwon, Yong-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4
    • /
    • pp.283-292
    • /
    • 2004
  • In the past, it was unnecessary to consider the reallocation of reservoir storage because new reservoir construction was relatively not difficult. However, it became necessary since it is so difficult to construct new reservoirs in these days. In this study, the change of the water supply capability is evaluated through conservation storage drawdown frequency analysis, hydropower analysis,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analyses for Geum River basin.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water supply capability of Daechung reservoir can be increased by reallocating flood control storage to conservation storage.

A Study for Storage Reallocation of Multipurpose Reservoir(I) - Flood Control Storage Analysis (다목적댐 용량 재할당에 대한 연구(I)- 치수용량 분석)

  • Yi, Jae-Eung;Kwon, Yong-Ik;Yoon, Young-Nam;Ahn, Tae-J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4
    • /
    • pp.273-281
    • /
    • 2004
  • Generally, reservoir storage is allocated according to planned purposes established before construction and operating policies are established through release control. The established reservoir allocation is hardly changed unless the special cases such as raising dam or changed purposes occur It Is, however, likely that public needs and objectives can be changed as time go on, the study for multipurpose reservoir storage reallocation is performed as an alternative to reflect these. In this study, flood control analysis is performed for several alternatives of reallocation for the Daechung multi-purpose reservoir in Geum river.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flood control capability is not decreased compared to single operation of Daechung reservoir for the same flood condition even if conservation level of Daechung multi-purpose reservoir is increased.

Reservoir Operation by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during Flood Period (홍수기중 가변제한수위에 의한 저수지 운영)

  • Sim, Myeong-Pil;Gwon, O-Ik;Lee, Hwan-Gi
    • Water for future
    • /
    • v.28 no.6
    • /
    • pp.217-228
    • /
    • 1995
  • For optimal reservoir operation during flood period, a general and systematic policy is suggested to make balance of the conflicting purposes between water conservation and flood contr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cide the restricted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during flood period specially to meet water demand in non-flood period. The optimal policy is derived by reallocation of storage capac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VRWL) and minimum required water level(MRWL) for shorter intervals. This study also suggests water level dconditions to secure conservation storage capacity at the end of the flood period estimated by reservoir operation study. This paper illustrates an application of the Daecheong Dam and Chungju Dam respectively during flood and the results are reviewed.

  • PDF

Analysis of flood control effect by applying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on rehabilitated agricultural reservoir (둑높이기 저수지의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 적용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분석)

  • Ryu, Jeong Hoon;Song, Jung Hun;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9-369
    • /
    • 2017
  • 농업용저수지는 이수 목적으로 비홍수기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용수 확보를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편, 농업용저수지가 홍수조절능력 또한 지니고 있음이 다수의 연구를 통해 제기되고 있으며, 이에 치수 목적으로 홍수기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치수 대책 또한 수립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 농업용저수지의 홍수기 운영은 제한수위 방식을 기준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예비방류를 허용하는 조합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운영 방식은 홍수기 이후 상시만수위로 복귀하지 못하면 해당 년도 잔여 비홍수기 혹은 다음 년도 영농 시작 시기의 농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홍수기 농업용저수지의 운영은 홍수조절과 함께 상시만수 위로의 복귀를 동시에 고려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VRWL) 방식은 홍수 발생빈도와 규모를 고려하여 단위기간별 (일별 혹은 순별) 제한수위를 차등 부여하는 방식으로, 한정된 저수공간의 효율적 재할당에 따라 이수와 치수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저수지를 대상으로 저수지 유입량 빈도해석을 수행하고 순별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를 산정한 후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 적용에 따른 홍수조절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110개 둑높이기 농업용저수지 중 가능최대홍수량 대상저수지 (유역면적 2,500 ha 이상, 총 저수량 500만 톤 이상) 12개소로 선정하였고, 저수지별 기상자료와 지형자료를 구축하였다. 저수지 유입량 모의를 위하여 장기유출량 산정 모형인 TANK를 이용하였으며, 구축된 저수지 유입량 자료를 토대로 순별 유입량 빈도해석을 수행하고 홍수기 저수지 유입량의 이론적 확률분포형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확률분포형을 토대로 초과확률 10%에 따른 순별 저수지 수위로서 가변 홍수기 제한수위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가변홍수기 제한수위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홍수조절용량을 산정하였고, 유역비 홍수량을 지표로 하여 홍수조절능력을 평가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는 둑높이기 농업용저수지의 홍수기 제한수위 설정 및 관리, 운영 지침 개선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