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수지운영

Search Result 58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Optimal Water Allocation Using Streamflow Network Model and Global Optimization Method (하천망 모형과 전역최적화기법을 이용한 저수지 용수의 최적 배분)

  • Kang, Min Goo;Park, Seung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292-29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단일목적 저수지와 다목적 댐의 최적운영을 위하여 전역최적해를 탐색하는 SCE-UA법을 사용하는 비선형계획법을 적용한 최적화 모형을 구성하고 과거 운영자료를 사용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다목적댐의 운영수위 상승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추가용수를 댐하류로 추가적으로 공급함에 따른 댐운영상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제시했다. 관개용 단일 목적 저수지의 유입량은 하천망 모형인 SSARR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관개용 단일 목적저수지의 용수배분을 최적화한 결과, 실측치와 최적방류량간의 상대오차가 $-2.6\~10.5\%$ 범위를 나타냈으며, 비교적 실측방류량과 유사한 형태로 용수를 공급하는 길과를 나타냈다. 다목적 저수지의 최적운영을 위해 발전량, 저수량 및 필요수량의 관계를 목적함수로하는 최적화 모형을 구성하여 섬진강댐의 최적운영에 적용하였다. 섬진강댐의 댐하류 방류량 증가에 따른 운영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댐하류 유지용수량을 0.17, 0.50, 0.70, 1.0, 1.5, $3.0m^3/sec$ 방류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최적운영한 길과, 댐하류 유지용수량이 $1.0m^3/sec$ 이하인 경우에 발전량이 실적평균발전량에 근접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용수공급량도 계획공급량인 377.4 백만 $m^3$ 보다 $28.9\~100.7$ 백만 $m^3$ 만큼 많은 양을 공급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 PDF

Inflow Forecasting for Reservoir Opera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with RDAPS (인공신경망과 RDAPS 자료를 이용한 유입량 예측)

  • Choi, Gi-An;Lee, Kyoung-Joo;Kim, Tae-So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3-26
    • /
    • 2009
  • 효과적인 저수지 운영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절차는 저수지 유입량을 적절하게 모의하는 것이다. 실시간 저수지 운영의 경우 기존의 물리적인 강우-유출현상에 기초한 수학적인 모형을 이용해서 유입량을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인공신경망과 같이 자료의 특성에 기반한 모형이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을 이용하여 실시간 저수지 운영을 위해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3시간 후, 6시간 후, 9시간 후, 12시간 후의 유입량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한강수계의 화천댐 유역으로 기상청 수치예보자료인 RDAPS(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자료 중에서 강우예측자료를 사용하였다. RDAPS 강우예측자료를 이용한 예측값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지점 강우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 지점 강우자료는 화천댐 유역에 있는 AWS, 기상청, 국토해양부의 지점자료을 이용하였다. RDAPS 강우예측값만을 이용한 유입량 예측결과가 과거 12시간 강우 누적값을 이용한 유입량 예측값과 비슷한 정확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자료의 효율적인 취득을 고려해야만 하는 실시간 운영의 경우, RDAPS 강우예측자료와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모형이 충분히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Reservoir Operation by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 during Flood Period (홍수기중 가변제한수위에 의한 저수지 운영)

  • Sim, Myeong-Pil;Gwon, O-Ik;Lee, Hwan-Gi
    • Water for future
    • /
    • v.28 no.6
    • /
    • pp.217-228
    • /
    • 1995
  • For optimal reservoir operation during flood period, a general and systematic policy is suggested to make balance of the conflicting purposes between water conservation and flood contr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cide the restricted water level of the reservoir during flood period specially to meet water demand in non-flood period. The optimal policy is derived by reallocation of storage capac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variable restricted water level(VRWL) and minimum required water level(MRWL) for shorter intervals. This study also suggests water level dconditions to secure conservation storage capacity at the end of the flood period estimated by reservoir operation study. This paper illustrates an application of the Daecheong Dam and Chungju Dam respectively during flood and the results are reviewed.

  • PDF

Decision Suport System for Real-Time Reservoir Operation during Flood Period (홍수시 실시간 저수지 운영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 Sim, Sun-Bo;Kim, Seon-G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5
    • /
    • pp.431-439
    • /
    • 1997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decision support system (DSS) for the real time reservoir operation that aims to maximize the flood control effect. In the decision support system, model base and real time data processing subsystem are included along with the graphical user interface(GUI) that is able to visualize the forecasted runoff hydrographs at the flood control points and reservoir water levels resulting from the model run as well as the current hydrologic status. The system was verified through the pseudo real time applications to the Taechong reservoir operation with the historical flood events of the Kum river basin occurred in July, 1987 and August, 1995, Decision making processes were performed using the developed system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real operations at that time. The reservoir operation using the pseudo real time application of DSS were simulated by the flood runoff simulation model, that shows the reservoir operation by DSS were successful in flood control for the lower Kum River.

  • PDF

A Study on Hydrologic Variation Analysis for Agricultural Reservoir Using SLURP Model (농업용 저수지 운영을 고려한 SLURP 모형의 수문학적 거동 분석)

  • Park, Min-Ji;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4-20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SLURP 모형을 이용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수문학적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안성천 유역내 공도수위관측소 지점의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유역내 고삼 및 금광 농업용 저수지를 고려하여 두 저수지 지점 및 공도 지점에서 저수지의 고려시 및 미고려시에 대한 각각의 하천유출 거동을 분석하였다. 우선 공도수위관측소의 9개년$(1998{\sim}2006)$ 동안의 일별 하천 유출량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1999, 2002, 2004)과 검증(1998, 2006)을 실시한 결과, 보정과 검증기간의 Nash-Sutcliffe 모델효율계수는 각각 $0.70{\sim}0.82\;%,\;0.56{\sim}0.61\;%$이었다. 금광 및 고삼 저수지지점에서는 저수지 고려 및 미고려시 유출율의 차이는 2개년에 대하여 각각 $10.5{\sim}31.1\;%$의 차이를 보였다. 한편 공도지점에서의 하천유출량은 3.7 %, 7.2 %의 차이를 보여 두 저수지 유역에서 발생한 유역 유출량이 저수지 운영에 의하여 저류 및 방류시키는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Improvement for Reservoir Operation Module of Flood Forecasting-Warning Systems in Han River (한강 홍수예경보시스템의 저수지 운영모듈 개선)

  • Kwon, Oh-Ig;Kim, Sung;Shim, Myung-P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2 no.6
    • /
    • pp.685-695
    • /
    • 1999
  • On the premise of flood control procedure, flood forecasting-warning, system(FFWS) is one of actions for disaster prevention. It makes public announcements for flood situations timely in order to mitigate damage from floodings. Multi-purpose dam which has flood control stora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river basin at flood time. In FFWS, it is reservoir operation module that is related to reservoir operation of multi-purpose dam. This study considers the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in reservoir operation module of FFWS in Han River and improves reservoir operation module under limited research scope. As results, additional reservoir operation modules such as Technical ROM(Reservoir Operation Method) and ARD(Approved Release Discharge) ROM were built in FFWS. Using these newly built reservoir operation modules.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will plan and work for flood control and flood forecasting. Firstly, it may plan for flood control by Technical ROM which is deterministic simulation model, and work for final flood control and flood forecasting by ARD ROM according to approved release discharge afterward.

  • PDF

Monthly Oerating Rules Considering Reliability Levels for Multipurpose Reservoir Systems (신뢰도를 고려한 다목적 저수지의 월별 운영율)

  • Lee, Hui-Seong;Sim, Sun-Bo;Go, Seok-Gu
    • Water for future
    • /
    • v.25 no.1
    • /
    • pp.75-82
    • /
    • 1992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of developing reservoir operating rules which can consider the reliability levels incorporated with the discharge policy. The operating rule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gression and risk analysis of the optimally operated results by using the long term historical and generated reservoir inflows. The methodology was applied to the operation of the Chungju reservoir system which is consisted of two reservoirs and powerplants, and monthly operation rules were developed. Simulation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developed operating rules can not only significantly improve the output from the existing system but also improve the reliability incorporated with the output.

  • PDF

Storage Rate Estimation of Irrigation Reservoir by Long term Rainfall-Runoff Modeling (장기유출모의를 통한 농업용저수지 저수율 예측)

  • Park, Jong-Pyo;Jeong, Soon-Chan;Yu, Chang-Hwan;Won, Cha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21-326
    • /
    • 2012
  • 장기유출모형을 이용하여 농업용저수지 유입량을 예측하고 농업용수 필요수량 및 홍수기 저수지 홍수조절을 통한 방류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기간에 대한 농업용저수지 저수율을 계산하였다. 계산결과와 실측 저수율 데이터의 비교 검증을 통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유역은 담양댐 지점이며 유역면적은 $47.2km^2$ 이며 주 하천 연장은 12.0km 이다. 담양댐은 저수용량에 비하여 유역면적이 작기 때문에 댐 계획 당시 순창군 구림면에 유역면적 $18.4km^2$ 인 2개의 보를 축조하여 유역변경방식으로 간접유역 유출량을 비관개기 및 홍수시에 도수하며 최대 도수량은 $10m^3/s$이다. 장기유출모의는 한국수자원공사(2001)에서 수행한 전역최적화기법인 콤플렉스 혼합진화기법을 통하여 추정된 나주지점의 모형보정 성과를 활용하였으며 모의기간은 1981-2010년(30년)이다. 장기유출모의 결과 담양댐 유역의 평균 유출율은 67% 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농업용수 필요수량은 한국농촌공사에서 산정한 연도별 필요수량 산정결과를 이용하여 실측 농업용수 월별 방류량 자료를 기준으로 관개개간인 4월 21일-9월 20일(163일)동안 월별로 분배하여 적용하였다. 홍수조절은 기존 댐 상시만수위, 홍수기제한수위 데이터를 근거로 운영하였다. 일별저수지 운영모형은 미공병단의 HEC-5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한국농어촌공사 농촌용수종합 정보시스템(RAMIS)의 댐 일별 저수율 현황과 기존저수지 일별 저수지 모의운영결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모형수행결과 실측저수율과 모형수행결과의 상관계수는 0.93 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장기유출모의 결과와 연계하여 농업용수, 하천유지용수, 홍수조절을 고려한 저수지 운영을 통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농업용저수지 저수율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농업용저수지의 장기적인 용수수급현황을 예측하여 효율적인 용수공급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ystem States for the Preemptive Goal Programming (우선순위 목적 프로그래밍을 위한 저수지운영율 개발 및 적용)

  • Cheong, Tae-Sung;Kang, Shin-Uk;Hwang, Man-Ha;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49-2053
    • /
    • 2007
  • KModSim은 수자원배분에 관련된 물리적, 수문학적, 제도적, 그리고 행정적인 요구들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디자인된 범용 우선순위 목적 선형최적화 모형으로써 자연유3tt입량과 기득 수리권 혹은 기득 저류권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저수권 사이의 조화운영이 가능하다. KModSim은 목적함수에 관련된 제약조건의 유연한 설정과 변경이 가능하며, 기존의 최적화 방법과 다르게 유역통합모의에 관련한 모형변수가 모형내에서 자동적으로 생성되도록 프로그램화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내 수자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과거운영자료를 토대로 저수지운영율을 개발하고 시스템단계(system states)를 이용하여 KModSim 네트워크에 운영율을 적용하였다. 금강유역에서 개발한 운영율을 적용하고 모의한 결과 개발된 운영율은 실제저류량을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운영율 및 시스템단계 방법은 다중목적 우선순위 선형최적화 모형을 이용하여 유역의 다양한 수자원운영모의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the Optimal Joint Operation System for Geumgang (추계학적 특성을 고려한 금강수계 최적 연계운영 시스템 개발)

  • Eum, Hyung-il;Lee, Eun Goo;Kim, Young-Oh;Ko, Ik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272-276
    • /
    • 2004
  • 이수기와 같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저수지운영을 해야 하는 관리자는 해당 기간동안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전략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미래 유입량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최적화 모형에 근거한 운영률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의 이수기를 대상으로 추계학적 최적화 기법인 표본 추계학적 동적계획법(Sampling Stochastic Dynamic Programming)을 적용하여 최적 연계운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형은 상용프로그램인 CSUDP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과거자료를 이용한 SSDP/Hist모형과 앙상블 유량예측(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을 이용한 SSDP/ESP모형을 개발하여 두 모형의 장${\cdot}$단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발전부분은 두 모형이 비슷하였으나 용수공급 측면에서는 SSDP/ESP가 SSDP/Hist 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