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소득층노인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7초

노인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분석 (Impact on Income Inequality of Income Sources in the Elderly)

  • 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91-600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빈곤의 심화와 함께 노인 소득불평등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공적소득, 시장소득, 가족 소득 등 주요 노인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노인 간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소득원별 불평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지니계수를 산출한 결과 전체소득 0.4809, 공적소득 0.4701, 시장소득 0.6735, 가족소득 0.1855로 나타났다. 한국 노인의 소득집단에 따른 소득원별 불평등 정도는 시장소득이 가장 크고 전체소득, 공적 소득도 매우 큰 것이다. 둘째, 노인 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소득에서 공적소득, 가족소득, 시장소득을 각각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를 산출한 결과 전체소득에서 공적소득을 제외한 지니계수 0.4864, 가족소득을 제외한 지니계수 0.5784, 시장소득을 제외한 지니계수 0.3609로 나타났다. 전체소득에서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가 전체소득 지니계수보다 약간 증가한 공적소득은 노인 소득불평등 완화효과가 매우 미미한 반면에 전체소득에서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가 전체소득 지니계수보다 매우 커진 가족소득은 노인 소득불평등 완화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제외한 소득의 지니계수가 전체 소득 지니계수보다 크게 낮아진 시장소득은 노인 소득불평등의 큰 원인이었다. 현재의 노인 소득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노인의 시장소득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

소득계층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 불평등 측정: EQ-5D 척도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y of the Aged Applied to EQ-5D)

  • 김진구
    • 한국노년학
    • /
    • 제32권3호
    • /
    • pp.759-776
    • /
    • 2012
  • 본 연구는 EQ-5D를 이용하여 소득계층에 따른 노인들의 건강불평등을 측정하였다. 특히 건강불평등의 다양한 측면을 파악하기 위하여 집중지수를 EQ-5D의 하위차원 및 노인들의 하위집단에 따라 분해(decomposition)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자료가 사용되었으며 이중 60세 이상인 자를 노인으로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EQ-5D 집중지수는 .0254를 기록하였다. 이는 고소득층에 유리한 불평등이 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EQ-5D를 구성하는 모든 하위차원 즉,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 불안/우울, 기능악화 등에서도 불건강이 저소득층에 집중되어 나타났다. 둘째, EQ-5D 집중지수를 가장 많이 설명하는 하위차원은 운동능력으로 EQ-5D 집중지수의 35.8%를 설명하였다. 그 다음으로 통증 및 불편(17.7%), 기능악화(17.7%), 일상관리(14.6%) 등의 순으로 설명력이 높다. 이러한 결과는 전 연령층을 분석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대조를 이루는데, 선행연구들에서 기여도가 매우 낮았던 운동능력(3.9%)이 크게 상승한 반면 불안/우울의 기여도는 약화되었다. 셋째, 성별, 지역, 배우자 유무에 따라 EQ-5D 집중지수를 분해한 결과 세 집단이 집중지수를 설명하는 정도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세 집단은 각각 건강형평성의 1/10정도를 설명하였다. 넷째, EQ-5D 집중지수를 하위집단에 따라 분해한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도시지역보다는 농어촌지역이, 그리고 배우자가 있는 노인보다는 없는 노인의 내부불평등이 더 크게 나타났다. 내부 불평등이 큰 세 집단의 경우 모두 EQ-5D 평균값도 낮았는데, 이는 저소득 여성노인일수록, 농어촌지역 저소득 노인일수록, 배우자가 없는 저소득 노인일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떨어짐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하위집단의 내부불평등이 집중지수를 설명하는 정도는 여성노인집단, 도시지역 노인집단, 배우자가 있는 노인집단이 크게 나타났다.

서울지역 저소득층 여성의 비만 및 영양소 섭취 부족과 관련된 사회경제적 요인 (Socioeconomic Factors Relating to Obesity and Inadequate Nutrient Intake in Women in Low Income Families Residing in Seoul)

  • 황지윤;류성엽;유한경;박희정;김화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2호
    • /
    • pp.171-18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도시 저소득층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 및 영양소 섭취 부족과 관련된 사회경제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했다. 대상자는 저소득층 가구를 대상으로 한 무료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여성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41{\sim}87$세 125명의 여성이었다. 대상자들의 72%가 초등학교 이하의 교육, 70%가 50만원 미만의 수입, 68%가 집을 소유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을 65세 미만, 이상으로 나누어 봤을 때 65세 미만군의 비만유병율은 BMI (${\geq}\;25kg/m^2$) 기준으로 44%, WHR (${\geq}$ 0.85) 기준으로 48%, 허리둘레 (${\geq}$ 80 cm) 기준으로 50%이었다. 65세 이상군에서 는 이보다 높아 BMI (${\geq}\;25\;kg/m^2$) 기준 57%, WHR (${\geq}$ 0.85) 기준 81%, 허리둘레 (${\geq}$ 80 cm) 기준으로 79%였다. 대상자는 주로 채소류, 곡류, 과일류를 많이 섭취했다. 모든 대상자에서 열량 및 영양소 섭취 상태는 대체적으로 불량했고 특히 65세 이상 노인에서 더욱 불량한 것으로 나타나 여자노인에서 EAR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비율은 철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에서 50% 이상이었다. 대부분의 대상자들의 영양소 섭취량은 RI 수준에 미치지 못했고 그러한 사람의 비율은 65세 미만의 경우 단백질과 Vitamin $B_6$ 제외한 65세 이상에서는 모든 영양소에서 50% 이상이었다. 65세 미만에서는 비만 및 영양불량과 사회경제적 지표와의 관련성이 없었다. 그러나 65세 이상에서 비만의 경우 수입과 영양불량의 경우 학력과 집소유 여부와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65세 이상에서 연령을 보정한 후에,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비만 및 영양부족의 위험도를 살펴본 결과, BMI 기준 비만의 위험도 (OR = 12.601; 95% CI = 2.338-67.911)와 WC 기준 복부 비만의 위험도(OR = 4.778; 95% CI = 1.103-20.696)는 월평균 가구 수입 50만원 미만인 군에서 그 이상인 군보다 높았다. 영양섭취불량의 경우,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 (무학)에게서 Vitamin A (OR = 4.555; 95% CI = 1.491-13.914)를 EAR보다 적게 섭취할 위험이 높았고 자기 집을 소유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 단백질 (OR = 3.660; 95% CI = 1.118-11.981), 인 (OR = 3.428; 95% CI = 1.157-10.158), 철분 (OR = 3.765; 95% CI = 1.205-11.766)섭취가 EAR보다 부족할 위험이 집을 소유한 사람들보다 높았다. 저소득층 노인여성에서 사회경제적 수준은 비만 (소득수준) 및 영양불량 [교육수준 (Vitamin A), 자가집 소유 여부(단백질, 인, 철)] 위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여성들의 비만 및 영양불량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의 노후소득보장의 현황과 법적 개선과제 (Present Situation of Old-Age Income Security and Tasks for the Legal Improvement)

  • 노재철;고준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16-127
    • /
    • 2013
  • 우리나라도 대부분의 국가와 마찬가지로 직접적인 소득보장정책의 일환으로 사회보험방식에 의한 국민연금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도의 미비 또는 공적연금의 본질적 한계로 인하여, 고령자에게 실질적인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기 위한 최저생활의 보장"에는 미흡한 실정이고, 노인의 빈곤율은 OECD 국가들 중 1위이고, 공적연금의 사각지대도 매우 크다. 향후 저출산과 고령화가 더욱 진전될 경우 고령 저소득층의 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폭발할 우려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노인의 노후소득보장에 관한 실태와 현황 분석과 현행 노인소득보장 법체계를 검토하고, 그 문제점을 도출해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저소득층 노인의 유헬스 서비스 이용경험 (Low-income Elders' Experiences in Using u-Health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s)

  • 최한나;김정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70-28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low-income elders' experiences of community-based u-Health services. Method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11 participant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hree themes and eight sub-themes emerg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hree main themes were 'recovered confidence and health condition,' 'trial and error in change,' and 'hope.'The eight sub-themes were 'the burden and efforts to overcome it in using bio-signal device,' 'ambivalence due to changing lifestyle,' 'increase of care time, decrease of pressure', 'conflict under environmental constraints,' 'difficulty in prioritizing health management,' 'discouragement in handling new devices,' 'desire not to be a burden to their children-gradual fulfillment of learning needs,' and 'long for broadening coverage range of service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low-income elders among the participants have different needs in using u-Health services. Therefore,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give personalized education to deal with their conflicts and requirements, especially emotional and environmental support in order for them to successfully accept the u-Health services for self-care.

도시 저소득층 노인들의 영양 및 건강상태 조사와 급식이 노인들의 영양 및 건강상태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 - I . 신체계측과 영양소 섭취량 -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from Low Income, Urban Area and Improving Effect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 I.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Nutrient Intakes -)

  • 손숙미;박양자;구재옥;모수미;윤혜영;승정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9-88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from low-income urban area and to investigate environmental and health risk factors that may influence to nutrient intakes. One hindered eighty three(males 53, females 130) healthy homestaying subjects aged over 65 years in Seoul were assessed with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dietary intake in August, 1994. HT and BW for females were decreased with aging. The proportion of hypertension was 36% with indite of $SBP{\;}(SBP{\;}{\gg}{\;}160mmHg)$ and 52% with indice of DBP $(DBP{\;}\gg{\;}97mmHg)$. Distribution of BMI, OR and PIBW indicated that BMI was more sensitive for identifying underweight whereas PIBW was more sensitive for identifying overweight. for group aged over 75, males had significantly lower intake of energy, protein, fat, calcium, iron, vitamin A and $\beta$ carotene compared to the group aged 67~74, while females had lower intake of calcium and vitamin A. Elderly group with smoking, less familly size and living alone had lower nutrient intakes. Blood pressure in the elderly subjects did not influence to nutrient intakes, except elderly with normal blood pressure were taking increased amount of thiamin and niacin.

  • PDF

저소득층 재가노인의 근골격계 만성통증과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and Depressio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Gender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이승희;양순옥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1-30
    • /
    • 201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and depressio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ccording to gender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9 elderly individuals who were receiving visiting nursing services from a public health center located in Gangwon-do.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March to April, 2008. SPSS/WIN 13.0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Depression and HRQo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ubject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depression, and HRQoL. In the male elderly, depress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HRQoL, while in the female elderly,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HRQoL.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was the variable with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for HRQoL in the female elderly. Therefore,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needs to be assessed and managed first in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HRQoL of the female elderly.

도시 저소득층 노인의 ADL, IADL 및 인지기능과의 관계 (A Study on ADL, IADL, and Cognitive Function of Low-income Community Dwelling Elderly)

  • 유문숙;김혜경;조은미;김용순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10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ADL, IADL and cognitive function of low-income elderly who are receiving the visiting nurse service in the community. Method: Study participant were 2,413 community-dwelling elderly who live in S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th Jan. to 28th Feb. 2006. The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was done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rough interviews by visiting nurses. Result: The average scores of ADL and IADL was respectively high, which indicates a relatively independent everyday life. However, the score of cognitive function was 21.87(normal range is over 23).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among ADL, IADL and cognitive function with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elder subjects who are women, old aged, and live alone should be watched carefully for the cognitive impairment.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apply early de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cognitive impaired people who live in the community.

  • PDF

달동네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노인의 건강과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광주광역시 발산마을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Health and Life of Low-income Seniors who live in Poverty Area in Metropolitan City)

  • 장동엽;신헌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9-94
    • /
    • 2017
  • Objectives : The elderly in South Korea are the poorest among OECD countries in 201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health and life of the low-income elderly living in vulnerable areas in a metropolitan city.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7 participants from October to November 2015 and analyzed through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for over 60 minutes in each person. Results : 7 categories were identified from 17 subcategories: "My life history: sick body," "Living with a sick body," "My poor but precious life," "A sense of distance from the hospital," "Narrowed area of my life," "Thankful for help," and "The village where I have lived my destiny." There is a lack of medical accessibility, mobility, and economic independence for low-income seniors. In addition, full-fledged redevelopment comes to them as violence. Conclusions : The health and life of the low-income elderly in vulnerable areas are products of many social factors, reaffirming the importance of social health.

대도시 저소득층 만성질환 노인을 위한 가정.방문간호 원가산정 - 환자 중증도 및 활동기준원가계산법(ABC) 적용 - (Estimation of Home-visiting Care Costs for Low-incom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a Metropolitan City Using the Severity Classification and ABC(active-based costing))

  • 강성례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8-130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of home-visiting nursing costs for low-incom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a metropolitan city using the severity classification and ABC(active-based costing). Methods: First, the HHC activity pool was established. The performance time of each nursing activity were estimated. Second, nursing resources(labor costs, operating costs, and traffic expenses) were analyzed and nursing cost per minute was calculated. And then the cost of each activity was estimated. Third, 202 visiting ca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 by their severity. And then nursing cost per visit according to their severity was estimated. Results: 59 nursing activities were included in HHC activity pool. The average working time of 59 nursing activity was 6.7minutes and nursing cost per minute was 489 won. According severity, nursing cost per visit were in class I, 54,296 (won), class II 83,124(won), and class III 93,455(w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