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류효과

Search Result 39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tudy on Increase of Flood Reduction Effect of Washlands according to Type and Characteristics of Diverting Spillway (취수부 형식 및 제원 변화에 따른 강변저류지의 홍수저감효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Baek, Chun-Woo;Kim, Do-Hyeon;Roh, Hui-Sung;Ahn, Ta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10-1514
    • /
    • 2010
  • 강변저류지는 홍수터, 하천연안 저지대 농경지 등을 이용하여 기존 제방의 일부 구간에 취수부를 설치하고 계획홍수 초과 또는 일정 수위 이상 발생 시 이를 일시 저류함으로써 하류의 홍수량을 경감시키는 소규모 수공구조물이다. 이러한 강변저류지와 같은 소규모 수공구조물의 홍수조절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저류용량이 있으나, off-line 형식을 강변저류지에 적용할 경우 저류용량 이외에도, 취수부의 형식(월류제, 수문)과 취수부의 제원(월류고, 월류폭 등)은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저류용량변화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변화에 초점을 맞춰 수행된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취수부형식과 취수부 제원 변화에 따른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and Analysis on the Effects of Flood Damage Mitigation according to Installation on Deep Underground Rainwater Tunnel (대규모 터널형 빗물저류배수시설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저감 효과 평가 및 분석)

  • Myung Hoon Lee;Jun Han Bae;Jun Bae Hong;Soo Jin Moon;Ji Hyeok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65-365
    • /
    • 2023
  • 우리나라는 지리, 지형 및 기상특성으로 인해 집중호우와 태풍 등으로 자연재해 피해를 입고 있으며, 재해예방사업의 일환으로 1998년부터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을 통해 자연재해로부터 침수, 유실, 붕괴위험 등 피해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서울특별시는 도시화로 인한 우수침투 가능지역 감소와 유역경사 부족에 따른 충분한 관거 경사확보의 어려움으로 저지대에 노면수가 집중되면서 대규모 침수피해(2010. 09, 2011. 07)가 발생되었으며, 신월·신정지구 및 화곡2지구가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로 선정(2011. 04), 침수방지를 위한 대책으로 국내 최초의 대규모 터널형 빗물저류배수시설(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을 준공(2020. 05)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 설치에 따른 상습침수구역의 사업 전·후 침수피해 저감효과 검증을 위해 도시유출모형을 구축하여 서울시 방재성능목표 확보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기존 설계 당시 서울시 방재성능목표(30년 빈도, 95mm/hr)는 확보되었으나 이를 초과하는 강우(2010. 09, 98.5mm/hr)가 발생함에 따라 수행된 추가 분석(100mm/hr) 결과, 유역의 침수 완전해소를 위해서는 빗물저류배수시설과 더불어 국부적인 간선관거 개량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출모형 구축 시 최근 개선된 하수관로, 지형특성, 홍수량산정표준침(2019, 환경부)등에 따른 수리·수문특성을 반영하고, 신일펌프장(간이)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현재 기준에서의 침수피해 저감 효과를 면밀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서울시 방재성능목표 뿐만 아니라 100mm/hr에도 침수가 완전 해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월빗물저류배수터널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효과 평가 및 분석결과를 통해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해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역안전·환경효과, 주민만족도 등 다양한 항목에 대하여 상습침수구역 내 주민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신월빗물저류배수터널에 대한 만족도가 충분히 제고된 만큼 향후 시설의 기능적, 운영적 측면에서의 유지관리가 잘 이루어진다면 침수로부터 안전한 도시를 구현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alculation of the Appropriate Size of Gutter Storage System to Reduce Urban Inundation (내수침수 저감을 위한 측구 저류조의 적정규모 산정)

  • Lee, Sung Ho;Lee, Jae Joon;Park, Hee Seob;Lee, Hoo 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59-359
    • /
    • 2022
  • 빈번하게 발생되는 설계빈도 이상의 국지성 호우로 도시지역의 침수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고 특히 저지대의 경우 우수의 집중 및 하수관거의 통수능 부족으로 인한 우수의 배수 불량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침수피해의 규모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매년 반복되는 피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국가 및 지자체에서는 노후관거 개량 및 통수능 확보를 위한 하수관거 신설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으나 하수관거 개량 및 신설 또는 지하저류조 설치와 같은 사업들은 많은 예산이 필요하여 지자체의 규모에 따라 예산확보가 어려울 수 있고 해당 사업을 완료하기 위한 사업기간이 오래 걸리므로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침수저감을 위한 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사업에 비해 예산이 적게 소모되며, 큰 설치부지를 요구하지 않는 유출저감시설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부의 노면수를 배수하기 위한 시설인 측구를 우수의 저류를 위한 저류조로 활용한 측구 저류조 개념을 이용하여 도시지역에서 침수저감을 위한 적정규모 산정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빈도 30년의 강우를 적용하여 일반적인 지하저류조를 설치하였을 경우와 측구 저류조를 설치하였을 때의 침수저감효과를 비교하고 지하저류조와 비슷한 저감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적정규모 산정과 측구 저류조의 배치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Water cycle evaluation of Bioretention based on hydrologic model (수문모형을 기반으로 한 식생저류지 물순환 평가)

  • Kim, Jae Moon;Baek, Jong Seok;Jang, Young Su;Shin, Hyun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90-290
    • /
    • 2021
  • 급격한 도시화 및 기후변화로 인한 물순환체계가 왜곡됨에 따라 자연수재해 피해가 급증하고 있어 대응방안으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이 대두되고 있다. LID 요소 기술 중 하나인 식생저류지는 도시 유역내에서 발생하는 유출수를 저류 및 침투하여 우수유출수와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오염저감 효과를 지니고 있는 LID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저류지의 우수유출수의 정량적 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문해석 프로그램인 K-LIDM(Korea Low Impact Development Model)을 이용하여 유역 내 식생저류지 배열과 저류용량에 따른 유출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강우시나리오는 부산지점의 10년, 30년 발생빈도에 대하여 60분, 120분, 180분 확률강우시나리오를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모델링 분석결과 식생저류지 배치에 따라 5 ~ 15 % 이상의 유출저감효과가 산정되었으며, 식생저류지 저류용량에 따라 20 % 이상의 유출저감 효과가 산정되었다. 첨두유출 도달시간은 1.13 ~ 1.86배를 지연하는 결과가 산정되었다. 결과를 통해 식생저류지의 배열과 저류용량에 따라 유출량 저감효과와 첨두유출 도달시간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추후에 다른 매개변수인 식생저류지의 저류깊이, 지반의 침투능 및 유출부의 직경 등 여러 매개변수들을 고려한 연구를 수행한다면 식생저류지의 정량적 물순환 평가가 수행될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Flood-Control Effects of Side-weir Detention Basin Under Submerged flow (불완전 횡월류 흐름 발생시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 분석)

  • Kim, Seo-Jun;Kim, Sang-Hyeok;Byeon, Hyeon-Hyeok;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3-73
    • /
    • 2012
  • 강변저류지는 제방의 일부분을 낮추어 홍수량을 저류하는 방식으로 홍수기에는 홍수조절효과를 얻을 수 있고, 비홍수기에는 습지, 농경지, 생태공원 및 스포츠 시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 치수 구조물이다.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는 강변저류지 설치 전 후의 첨두 홍수량 또는 첨두 홍수위 차이로 정의할 수 있고, 이것의 정확한 산정을 위해서는 횡월류부 흐름형태에 따른 횡월류량 계산이 필요하다. 횡월류부의 흐름은 하도와 저류지의 수위에 따라 완전 횡월류 흐름과 불완전 횡월류 흐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완전 횡월류의 경우 위어의 형상과 하도의 흐름에 따라 하나의 유량계수가 결정되는 반면, 저류지의 수위가 월류턱 보다 높아 흐름에 저항을 주는 불완전 횡월류 흐름의 유량계수는 하도와 저류지의 수위변화에 따라 변화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부정류 수치모형인 HEC-RAS를 이용하여 완전 횡월류만 발생하는 경우와 불완전 횡월류도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강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 Sub-soil Storage System for Utilization Urban Instream Flow of Rainfall Runoff (우수유출수의 도시하천 유지유량 활용을 위한 지하저류시스템 개발)

  • Choi, Gye-Woon;Choi, Jong-Young;Kim, Suk-D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2
    • /
    • pp.163-172
    • /
    • 2004
  • In this paper, the sub-soil storage system for utilizing urban instream flow of rainfall runoff was developed and examined through experiments. The artificial rainfall facility and sub-soil storage were installed in the experimental area. The effect of the water qualify improvement and the storage effect were analyzed through the several experiments. Through the experiments of rainfall intensity variation, which are the rainfall intensity of 20mm/hr, 30mm/hr, 40mm/hr, 50mm/hr was indicated SS concentration can be reduction until 68%. Also, the ration of the storage volume is varied from 42.8%∼79.9% based on the rainfall intensity. The reduction rate of the BOD, CO $D_{Mn}$, SS, T-N, T-P was 30%, 42%, 68%, 39%, 26%. As the result, water quality of runoff and efficient of runoff reduction by the system are much improved. The rainfall runoff with the installation of sub-soil storage could be used for instream flow.

Reduction of Rainfall Runoff by Constructing Underground Storage Tank (지하저류조 신설에 따른 우수 유출량 저감)

  • Song, Chang Geun;Seo, Il Won;Jung, Young Ja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3
    • /
    • pp.927-935
    • /
    • 2013
  • In this study, reservoir routings for 1 hour-50 year precipitation frequency were carried out at the Engineering Water Fall and the Amphitheater located at the downstrea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am. Main analysis was focus on the following matters: (1) storage amount by the tank; (2) reduction of the outflow and the peak water surface elevation; (3) change of phase lag time; and (4) design of new boxes at the inlet and outlet of storage tank. As for the storage tank of $25,000m^3$ built in the Amphitheater area, the tank induced 49.43 % storage effect, 28 min. phase lag time, and reduced the peak outflow by 49.64 %. In addition, the peak water surface elevation was lowered by 35 cm compared with that of $15,000m^3$ storage tank. It is concluded that combined management of previous storage facility and new underground storage tank would control the excessive rainfall runoff efficiently.

An Experimental Study on Runoff Reducing Effect of Infiltration-Storage System due to Rainfall Intensity (강우강도에 따른 침투-저류시스템의 우수유출저감효과에 관한 실험 연구)

  • Song, Jai-Woo;Im, Jang-Hy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7 no.4
    • /
    • pp.85-95
    • /
    • 2007
  • The variation of hydraulic and hydrologic aspect of urban area according to the strongly seasonal variation of rainfall and the increment of urbanization has caused the runoff variation and increased the flood damage, and thus made a difficulty to manage water resources in urban area. Recently, as a part of efforts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 facilities for reducing runoff increasing due to urbanization have a tendency to install in our country. In this study, more effective Infiltration-Storage System(ISS) is proposed and its reducing effect is analyzed by hydraulic experimental study. The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runoff reduction facilities are examined as varying artificial rainfall and a material of infiltration layers being able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urban development.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infiltration rat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 infiltration rate in the lower part is larger than that of the upper part. Thus, the ISS is more available than existing runoff reduction facilities.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provided fundamental data for improvement of existing runoff reduction facilities and practical use of ISS.

A Study on the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a Storm Sewage by Detention Pond (저류지에 의한 우수의 수질개선 효과 연구)

  • Lee, Jong-Tae;Song, Chi-Heung;Gang, Tae-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3
    • /
    • pp.351-364
    • /
    • 2000
  • The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combined sewage by detention pond has been studied. It is convinced that the pollutant load and peak flow through the combined sewer by first rainfall and runoff can be decreased by detention pond sited at the outlet of small basin. Hydraulic modeling of detention panel was performed for two cases of sedimentation pond and gravel contact pond. It has been recognized that it is more efficient to reduce the pollutant of combined sewage when the combined sewage is released alter a fixed detention time in the detention pond than it is released continuously without detention time. The gravel contact detention pond shows higher pollutant removal rate than the sedimentation detention pond in all pollutants. When it comes to gravel contact detention pond, the gravel pond filled with crushed gravel has a higher pollutant removal rate than that filled with river gravel.

  • PDF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Crushed-Stone Detention Pond considering Rainfall Characteristics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쇄석저류지의 효율성 평가)

  • Kim, Kee-Wook;Kim, Kyoung-Jun;Park, Chang-Yeol;Yoon, Jung-Su;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285-1289
    • /
    • 2008
  • 최근 도시지역의 확대와 고밀도화에 따른 도시근교의 산림, 논밭, 녹지 등이 감소하고, 도로나 건축물 등의 증가로 인해 불투수 유역이 확대되어, 원래 그 토지가 유지하고 있던 보수 유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고 있다. 그 결과 강우 시 표면 유출량의 증가와 유출시간의 단축이 현저하게 되고, 도시하천이나 하수도 유하 능력을 넘는 홍수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빗물 침투량이 줄어들어, 용천수 고갈, 하천의 평상시 유량감소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유역 내에 저류시설과 침투시설 등 유출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시설의 활용방안이 꾸준히 모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배수 홍수분담시설 중 저류와 침투의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는 쇄석공극저류시설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쇄석저류지와 규모와 형태가 유사한 우수저류지와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인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두 시설이 같은 규모를 가진다고 가정할 때, 우수저류지가 쇄석저류지에 비하여 월등한 유출저감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