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량과 유량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인과지도의 시뮬레이션 방법론:NUMBER

  • 김동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0.02a
    • /
    • pp.39-60
    • /
    • 2000
  •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은 시스템의 인과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인과지도 분석과 인과 구조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저량/유량 모텔링으로 이분화 된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에서 인과지도는 저량/유량 모델링의 기반이 되어 왔다. 그러나 인과지도가 지나치게 추상화되어 있는 경우, 인과지도로부터 저량/유량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었다. 특히 정책결정자의 주관을 표현한 인지지도를 저량/유량 모델로 전환하는 데에는 연구자의 주관이 첨가됨으로써 인지지도의 특성을 상실시킬 위험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인지지도 또는 추상적인 인과지도를 저량/유량 모델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써 NUMBER(Normalized Unit Modelling By Elementary Relationships)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NUMBER 방법을 활용하여 김대중 대통령의 금융위기 극복 정책에 관한 인지지도를 저량/유량 모델로 전환하여 시뮬레이션 하여 봄으로써, 연구자의 주관을 최소화하면서 정책결정자의 인지지도나 추상적인 인과지도를 간편하게 저량/유량 모델로 전환시켜 그 동태적 행태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Causal Loops and Stock-Flow Models of Project Delay Confronted with Location of Locally Unwanted Facilities (비선호시설 입지에 관한 프로젝트 지체의 인과구조와 유량-저량 묘형)

  • Lee, Man-Hyung;Choi, Nam-Hee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 /
    • v.7 no.1
    • /
    • pp.91-11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factor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delay of public projects, usually going beyond the planned deadline and budget. From a series of System Dynamics simulation works applied to the Cheongju Cremation Project, the research finds that the negative externalities originated from the adjacent location of the LULU(locally unwanted land use) facilities have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 on dynamic perceptions of key stakeholders, typically resulting in project delay. As shown repeated experiments, the proposed negotiation-based models would produce relatively higher planning performance level than the typical approaches hinged on the administrative-expediency tactics. Even though the former may require mor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the very beginning stage, as they have to deal with diverse grievances raised by major stake-holders, most of them would bound for strengthening reinforcing loops within the complex structure. These results also imply that negotiation or consensus-building approaches would enhance mutual agreement among stake-holders, upgrading the overall quality of project management.

  • PDF

인과관계에 관한 구조추론과 강도추론의 관련성

  • 김동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3.02a
    • /
    • pp.57-64
    • /
    • 2003
  • 시스템 다이내믹스는 인과지도(Causal map)를 통한 시스템 이해를 그 출발점으로 한다. 특히 시스템 사고(systems thinking)는 저량-유량 흐름도를 통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지 않고서 인과지도 분석만을 통한 시스템의 이해를 시도한다. 그러나 과연 인파지도만을 가지고 시스템을 동태적 변화를 이해/예측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는 낙관적 전망과 부정적 전망이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과지도 구축을 통하여 시스템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인지적 편향(bias)이 개입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만일 심리적 편향이 존재한다면. 시스템 사고는 오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오류의 존재를 탐색함으로써 시스템 사고의 제한정과 그 극복방안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중략)

  • PDF

An Improvement of Coherence and Validity between CLD and SFD of System Dynamics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CLD와 SFD의 일관성 및 타당성 개선에 관한 연구)

  • Jung, Jae Un;Kim, Hyun S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6
    • /
    • pp.69-77
    • /
    • 2014
  • System Dynamics(SD) is one of the complexity theories that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computer-aided simulation methodology to analyze a dynamic problem and to develop a policy(strategy) in social science. Though there are properly unproven cases in research models which were developed in various fields by SD methodology during the last five decades, they are utilized as models to represent SD sub-theori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targeted the population dynamics model which was frequently utilized to explain SD fundamentals and it proved errors of reasoning a structure of the existing causal and dominant feedback loop. Consequently, we presented a strategy to strengthen the coherence between CLD(causal loop diagram) and SFD(stocks-and-flows diagram) for improving validity of the existing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existing SD and to the reinforcement of validation for policy research models of SD.

A Study on Forecasting of Inter-Korea Air Passenger Demand Using System Dynamics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남북한 항공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 JiHun Choi;Donguk Won;KyuWang K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30 no.4
    • /
    • pp.65-75
    • /
    • 2022
  • This study aims to forecast of Air Passenger Demand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using the system dynamics analysis methodology that is based on the system thinking. System dynamics is not only a tool that makes the systematic thought to a model but also a computer program-based analysis methodology that mathematically models the system varying according to time vari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based on the interrelation among variables and structured them by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aviation coop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ir passenger demand forecasting. In addition, based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is study also completed the causal loop diagram that forms a feedback loop, constructed the stock-flow diagram of Inter-Korean model using Vensim program. In this study, Air passenger demand was using by the simulation variable value into System Dynamics. This study was difficult to reflect the various variables constituting the North Korea environment, and there is a limit to the occurrence of events in North Korea.

Administrative Consolidation Modeling and Simulation Works between Cheongju and Cheongwon

  • Kim, Yeon-Sik;Hong, Sung-Ho;Seong, Tae-Young;Lee, Man-Hyung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 /
    • v.10 no.3
    • /
    • pp.81-104
    • /
    • 2009
  • 이 연구는 청주와 청원의 행정구역 통합에 따른 파급효과를 유량-저량 다이어그램 모형을 구축하여 분석하는 데에 역점을 두며, 제시한 모형은 행정구역 통합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청주와 청원의 역사적 배경에 토대를 두고, 도시를 구성하는 주요 지표의 인과관계에 기초한다. 첫째, 인구수 측면에서 통합이 이루어질 때의 인구가 분리되어 있을 때의 인구보다 상대적 많이 늘어난다. 분리된 상태에서도 청주와 청원의 인구는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나타내지만, 통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청원의 인구 유입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공무원 수의 측면에서는 통합이 이루어질 때에는 종전에 비해 다소 적은 수의 공무원이 근무하리라고 기대되지만, 그 차이는 미미 하리라고 예측된다. 셋째, 산업체 수와 종업원 수는 인구측면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유사한 형태를 나타냈다. 통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청주의 산업체수의 변화는 미미하지만, 청원은 산업체 수와 종업원 수에서의 변화가 분리 시나리오에서 보다 큰 증가세를 나타낸다. 넷째, 지방세 수입 측면에서는 통합과 분리 시나리오에 의한 결과 차이가 크지 않았는데, 이는 관련 법령 및 규정에서 통합과 분리에 따른 차이를 조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추세의 측면에서 청주는 지방세 수입 부분이 수렴되고 있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청원은 증가하는 구조를 나타내는데, 청원은 산업체 수와 토지가격의 상승에 따른 세금의 증가로 지방세 규모에서 청주와의 차이가 점차 줄어드리라고 예상한다. 다섯째, 사회기반시설 측면에서 상수도보급률과 도로연장 부문은 통합 시나리오와 분리 시나리오의 결과 차이가 크지는 않았으나, 구축 속도의 측면에서는 통합되는 경우가 청원 지역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친다. 왜냐하면 청주에서는 사회기반시설의 상당 부분이 이미 구축되어 있고, 통합 되는 경우에도 사회기반시설측면의 지역개발비가 상당 부분 청원 지역에 우선투자 되도록 통합시 이행결의문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만,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청원의 사회기반시설 구축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리라고 기대된다.

  • PDF

Simulating Carbon Storage Dynamics of Trees on the Artificial Ground (시뮬레이션을 통한 인공지반 교목의 탄소저장량 변화)

  • You, Soo-Jin;Song, Ki-Hwan;Park, Samuel;Kim, Se-Young;Chon, Jin-H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2
    • /
    • pp.11-22
    • /
    • 2017
  • To successfully create a low-carbon landscape in order to become a low-carbon ci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artificial greening's resources on a multi-scale. Additionally, the effects of carbon storage should be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and evaluate the changes in carbon storages of artificial ground trees using system dynamics throughout a long-term period. The process consisted of analyzing the dynamics of the multi-scale carbon cycle by using a casual loop diagram as well as simulating carbon storage changes in the green roof of the Gangnam-gu office building in 2008, 2018, 2028, and 2038.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usal loop diagram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bon storage of the artificial ground trees and the urban carbon cycle demonstrates that the carbon storage of the trees possess mutual cross-scale dynamics. Second, the main variables for the simulation model collected 'Biomass,' 'Carbon storage,' 'Dead organic matter,' and 'Carbon absorption,'and validated a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the value being ($R^2$=0.725, p<0.05). Third,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model, we found that the variation in ranking of tree species was changing over time.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specific species of tree-such as Acer palmatum var. amoenum, Pinus densiflora, and Betula platyphylla-are used to improve the carbon storage in the green roof of the Gangnam-gu office building. This study can help contribute to developing quantitative and scientific criteria when designing, managing, and developing programs on low-carbon landsca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