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경도

Search Result 195, Processing Time 0.05 seconds

저경도 할로겐프리 난연 재료 특성 연구

  • Yang, Jong-Seok;Choi, Eun-Ho;Lee, Si-Eun;Bae, Hye-Yeon;Jeon, Geun-Bae;Seong, Baeng-Nyong;Park, Do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6a
    • /
    • pp.75-75
    • /
    • 2010
  • 기존 할로겐프리 제품은 PVC와 비교하여 유연성이 크게 떨어져 PVC 사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쉽게 대체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할로겐프리 재료만 사용하여 고난연성, 예를 들면 UL 1581 에 따른 VW-1 규정을 충족하는 고난연성을 가지면서도 경도가 낮아(경도 70수준, Shore A) 재질의 유연성이 확보된 고분자 재료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실험 결과로부터 인장강도 11[Mpa], 신장율 720[%], 가열후 인장강도 잔율 90[%], 가열후 신장잔율 88[%], 산소지수 38.0, 수직난연시험 합격, 경도(Shore A) 70, 백화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등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ow Hardness Rubber Bearing (저경도 고무받침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정길영;하동호;박건록;권형오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6 no.4
    • /
    • pp.39-49
    • /
    • 2002
  •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RB(rubber bearing) were studied by various prototype tests on RB with low hardness rubber. The characteristics of RB were tested on displacements, repeated cycles, frequencies, vertical pressures, temperature, vertical stiffness and the capability of shear deformation. The prototype test showed that the displacement and vertical pressures were the most governing factors influencing on characteristics of RB. The effective stiffness and equivalent damping of RB showed small increment in high frequency range. After the repeated cyclic test with 50's cycles, the effective stiffness and equivalent damping of RB were almost constant compared with those of the 1st cycles due to low hysteretic damping. The shear modulus of RB was reduced after large deformation, and this value of RB was partly recovered after 40 days. Finally, the shear failure test of RB was conducted, the prototype was failed over 490% of shear strain, and real size RB was failed over 430% of shear strain.

Synthesizing and mechanical properties evaluation of nano-multilyaered Carbon and BN film (카본 및 보론질화막의 나노다층박막 합성 및 기계적 물성 평가)

  • Na, Jong-Ju;Mun, Jang-Won;Lee, I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04a
    • /
    • pp.33-34
    • /
    • 2007
  • 카본과 BN의 합성조건을 제어하여 고경도 상과 저경도 상을 다층박막화하기 위하여 시편에 인가하는 바이어스 전압을 조절하여 박막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다층박막은 카본의 경우 흑연상을 많이 함유한 단일층 박막과 유사한 경도와 탄성계수를 보였으나 마찰계수는 $2{\sim}3$배 개선되었다. BN의 경우에도 2층박막화된 박막에서 FTIR분석 결과로는 50%이상의 c-BN이 합성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모특성도 c-BN박막과 유사하였다.

  • PDF

Presumption on Wear life of TiN Film (TiN 경질박막의 마모 수명 예측에 관한 연구)

  • 정기훈;이영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04a
    • /
    • pp.41-46
    • /
    • 1997
  • TiN 코팅은 마모에 대한 저항성 및 고체 윤활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내마모성 및 저마찰이 요구되는 절삭공구나 피스톤 베어링 및 각종 축계의 코팅막으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재료의 경도와 인성은 서로 상반 관계를 갖고 있어 공학적으로 경도와 인성을 모두 요구하는 표면을 얻기 위해 연질 모재 위의 세라믹 코팅은 그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장 각광받는 표면처리 방법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TiN과 같은 경질 박막의 공학적 적용시 가장 요구되는 마모수명은 모재의 조도나 경도, 증착 방법, 접촉 상태, 코팅막의 두께 및 마모의 발생 기구 등에 따라 마찰 및 마모 메커니즘의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예측이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고, 아직까지 이러한 마모수명 비교 평가방법에 대한 기준 설정 및 정량적 정립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재의 경도, 조도, 코팅 두께가 다른 TiN 경질 박막에 압입시험과 스크래치시험시 발생되는 균열 발생 메커니즘과 미끄럼 시험시 발생되는 마모 메커니즘의 연계성을 밝히고 압입 및 스크래치 시험시 코팅막이 손상되는 임계하중과 미끄럼 시험시 접촉하중 변화에 따른 마모수명의 정량적 연관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Properties of Hydrogenated a-C and a-CN thin films Prepared b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PCVD법에 의한 a-C:H 및 a-CN:H 박막의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 Kim, Dae-Uk;Lee, Gyeong-Hwang;Park, Jong-Won;Park, Gw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0-111
    • /
    • 2011
  • 비정질 탄소계 박막은 높은 경도, 내마모성, 내화학성 및 전기저항특성을 갖는 박막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 응용 및 적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탄소계 박막은 자동차 및 기계 산업분야에 있어서 우수한 물리적 특성인 고경도 및 저마찰 특성을 이용한 금속 표면의 기능성 부여를 목적으로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사출금형 표면의 고경도 저마찰화를 목적으로 비정질 탄소계 박막을 사출금형 소재 (KP4)에 제작하고, 이들 코팅막에 대한 경도, 밀착력, 마찰계수 등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탄소계 코팅막 제작 공정 조건이 코팅막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The Study of Low Temperature Screen Plasma Nitriding Process on Chromium-Molybdenum Steel (스크린플라즈마 공정기술에 의한 저합금 금형강의 질화거동)

  • Kim, Sang-Gwon;Yeo, Guk-Hyeon;Lee, Jae-Hun;Kong, Jung-Hyun;Okumiya, Masahir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1a
    • /
    • pp.294-295
    • /
    • 2014
  • 스크린 플라즈마 기술은 저온에서 가열과 동시에 플라즈마에 의한 확산층을 형성할 수 있는 매우 큰 장점을 가진 기술이다. 특히 저합금강의 내부 경도 저하를 최소화 한 상태에서 표면경도를 올려 플라스틱 금형강 등에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Low Hardness High Damping Rubber Bearings (저경도 고감쇠 고무받침의 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인자 평가)

  • Choi, Se-Woon;Lim, Hong-Joon;Cho, Hyun-Jin;Park, Kun-Nok;Oh, Ju;Jung, Hie-Young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12 no.3
    • /
    • pp.11-20
    • /
    • 2008
  •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low hardness high damping rubber bearings(HDRB) were studied through various prototype tests. The low hardness HDRB were tested to evaluate vertical stiffness, shear stiffness, equivalent damping ratio, various dependencies of shear properties, ultimate shear properties and other factors. The prototype tes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ISO 22762-1,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ISO 22762-3. The results of the prototype test showed that shear strain and temperature were the factors that most greatly influenced shear stiffness, and that compressive stress was the factor that most greatly influenced the equivalent damping ratio. The frequency dependence test of shear properties showed that two general tendencies of frequency dependence could be observed. At frequencies over 0.1Hz, the changes in shear properties were small. However, at frequencies under 0.1Hz, the changes in shear properties rapidly decreased. The creep test and the ultimate shear test were also performed, and both of them satisfied the requirements of ISO 22762-3.

폴리카보네이트 특성 향상을 위한 고기능성 다층 박막 제조

  • Kim, Seong-Min;Kim, Gyeong-Hun;Lee, Geun-Hyeok;An, Se-Hun;Im, Sang-Ho;Han, Se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275.2-275.2
    • /
    • 2014
  • 현재 자동차 분야에서 차량 경량화의 한 수단으로 자동차용 유리를 고강도 투명 플라스틱 소재인 Polycarbonate(PC)로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PC의 낮은 내마모 특성과 자외선에 의한 열화 및 변색 현상은 해결하여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에너지 소비 저감을 위하여 적외선 영역 반사율(reflectance)이 높은 저방사(low emissivity)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CP-assisted reactive magnetron sputtering 장비를 이용하여 투과율(transmittance)이 확보되고, 고경도 특성을 갖는 Al-Si-N와 300 nm 파장 이하의 자외선 차단 특성이 있는 SiN:H 그리고 저방사 특성을 위해 Al을 증착하였고, 박막의 증착 순서는 SiN:H 박막을 가장 아래에 증착하고 그 위에 Al/Al-Si-N 박막을 다층으로 형성하였다. 박막의 chemical state와 crystallinity를 확인하기 위하여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RD (X-ray Diffractio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Knoop ${\mu}$-hardness tester와 Taber tester를 이용하여 경도 및 내마모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작된 샘플의 Al-Si-N 박막 경도는 Si 비율에 따라 다른 경도 특성을 갖는데, 실제 Si/(Al+Si) 비율이 24%에서 최대 31 GPa의 경도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UV-Vi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250 nm~700 nm 파장의 투과율을 측정하였고, 자외선 영역의 경우 SiN:H 박막에 의해 300 nm 이하의 파장에서 2% 이하의 투과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2.5{\mu}m{\sim}15{\mu}m$ 파장의 반사율을 이용하여 방사율을 측정하였는데, 3*(Al/Al-Si-N) 구조의 다층 박막의 경우 방사율은 0.27로 측정되었다.

  • PDF

INFLUENCE OF LIGHT SOURCE AND CURING TIME ON SURFACE HARDNESS OF RESIN COMPOSITES (중합 광원과 중합 시간이 복합레진의 표면 경도에 미치는 영향)

  • Bae, Sang-Man;Lee, Kwang-Hee;Kim, Dae-Eup;Ahn, H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28 no.2
    • /
    • pp.199-206
    • /
    • 2001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compare the plasma arc light with the halogen light in compostie resin curing. Three composite resin materials(Z-100, 3M, USA; Tetric Ceram, Vivadent, Liechtenstein; SureFil, Dentsply, USA) were filled in the teflon molds (4mm in diameter and 2, 3, 4, 5mm in thickness) and cured with either the conventional low-intensity light curing unit with a halogen lamp (Optilux 360, Demetron, U.S.A.) for duration of 40 seconds or with the high-intensity light curing unit with a plasma arc lamp (Flipo, Lokki, France) for duration of 3, 6, and 9 seconds. The intensity of halogen light was about $370mW/cm^2$ and that of plasma light was about $1,900mW/cm^2$. After one week, the surface hardnesses of both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resin samples were measured with a microhardness tester(MXT70, Matsuzawa, Japa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ardness between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resin samples except the 2mm thickness samples cured by halogen light for 40s or by plasma light for 9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ardness values of the top surfaces of the thickness groups. The hardness values of the bottom surfaces decreased as the curing time decreased and as the thickness of resin samples increased, and the three kinds of resin composites showed similar patter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halogen light for 40 seconds might be able to cure greater depth of resin composites than the plasma light for 3, 6, or 9 seconds.

  • PDF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강의 신속질화 기술 개발

  • Park, Hyeon-Jun;Mun, Gyeong-Il;Park, Jo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282-282
    • /
    • 2012
  • 일반 금속은 부식에 약하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스테인레스 스틸은 내식성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고크로뮴을 포함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틸은 일반적으로 엔지니어링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틸은 낮은 표면 경도와 지지용량으로 인해 내마모특성이 필요한 제품에는 사용이 미약한 수준이다. 현재 이러한 내마모특성을 높이기위해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틸은 이온질화와 이온주입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표면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진공 하에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시편에 질화층과 Nitrogen Supersaturated Austenite층(S-phase)을 형성하여 경도와 인성을 향상시키고, 형성된 S-phase층의 두께에 따른 내식성, 내열성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스테인레스 계열 시편의 질화시 나타나는 CrN층과 비교하였다. 특성 확인을 위한 시편은 약 $400{\sim}500^{\circ}C$ 사이의 공정온도로 질소와 수소가스를 혼합하여 플라즈마를 형성하고 약 4시간동안의 공정을 통해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편의 경도와 조직, S-phase층의 두께를 분석하고 CrN층의 형성여부를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공정압력과 가스비의 변화에 따른 실험을 진행하여 질화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