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감 기술

Search Result 2,73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Land Use Planning Methods for Carbon Reduction of Transportation : A Case Study of Asan-Tangjeong District (교통부문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기법 개발 및 탄소저감 효과검증 : 아산탕정지구를 대상으로)

  • Lee, Woo-Min;Park, Hyo-Sook;Cheon, Choon-Keun;Lee, Ky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
    • /
    • pp.638-64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land use planning methods for carbon reduction of transportation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derived carbon reduction design elements, such as high-density suburb, mixed-use development, pedestrian network and community corridor, which can be applied in the land-use planning stage by examining previous research. The carbon reduction design elements utilized the actual site during the research process. The carbon reductions were estimated using VISUM. Consequently, when carbon reduction design is applied to the site, the carbon emissions declined in the year.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carbon reduction, approximately 450.7tCO2/yr was reduced.

Decision Making Methods for Types of Roadsid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and Its Application (도로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유형선정방법 개발 및 적용)

  • Cho, Hye Ji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7 no.4
    • /
    • pp.256-261
    • /
    • 2020
  • Roadsid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are classified as infiltration, vegetation, reservoir, and wetland types based on their respective pollution reduction mechanisms. However, without a detailed analysis of the road and traffic conditions it is very difficult for civil engineers to determine which category of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is best suited to their planning requirements. To address this issue, we propose a new decision-making method for the selection of roadsid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The principal factors informing the proposed decision-making methods are the road characteristics, including location, structure, number of lanes, and traffic volume.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new pollution reduction plans were developed, with their selection conditions and the corresponding applicable facilities establish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pollution reduction schemes was demonstrated for roads in Kyounggi-do, providing a valuable basis for future pollution reduction plans.

Comparative analysis of vegetation type LID's pollutant load reduction (식생형 LID 시설별 오염물질 유출저감효율 비교분석)

  • Gil, Kyungik;Kim, Su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09-209
    • /
    • 2020
  •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1990년대부터 2000년대 후반까지 국내의 도시면적은 696,239㎢ 증가했다. 도시지역에서의 불투수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25% ~ 80%로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한다. 따라서 도시면적이 증가하면 이는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이어지며 이로인한 지표유출로 오염물질의 유입이 늘어나게 되면, 수질오염중 비점오염원이 차지하는 비중의 증가한다. 비점오염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ID(Low Impact Develpment)시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7년간의 선행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LID 시설별 오염물질 저감효율을 비교분석하였다. 용인 삼계리에 위치한 식생수로 오염지표들의 유입, 유출EMC를 토대로 제거 효율에 대한 평가를 해보면 TSS는 46%, BOD는 48%, COD는 56%. TN은 42% 그리고 TP는 58%가 나왔다. 용인 해곡동에 위치한 식생여과대의 경우 TSS는 83%, BOD는 45%, COD는 43%, TN은 39%, 그리고 TP는 62%가 나왔다. 마지막으로 전주에 위치한 식생체류지의 경우 TSS는 100%, BOD는 75%, TOC는 62%, TN은 67% 그리고 TP는 83%가 나왔다.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효율성 평가를 해보면 먼저 식생수로의 경우 TP 저감 효율이 58%로 가장 높았으며 TN 저감 효율이 42%로 가장 낮았다. 식생여과대의 경우 TSS 저감 효율이 83%로 가장 높았으며 TN 저감 효율이 39%로 가장 낮았다. 마지막으로 식생체류지의 경우 TSS 저감 효율이 100%에 가까운 양질의 제거효율을 보여주었으며, TOC의 경우 67%로 제일 낮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위 결과를 토대로 판단을 해보면 식생체류지가 전반적으로 좋은 지표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상황에 양호한 제거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식생 LID시설은 자연친화적이며 강우유출과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장치형 LID시설에 비해 넓은 부지면적을 필요로 하므로 설치 지역의 특성에 맞게 LID 시설을 시공하는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해당 연구결과는 향후 식생형 LID시설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반영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