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 구매 의도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8초

HMR(Home Meal Replacement) 선택속성이 지각된 효용적 가치,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형 할인마트와 백화점 구매고객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elective Attributes of Home Meal Replacement on Perceived Utilitarian Value and Repurchase Intention: Focus on Consumers of Large Discount and Department Stores)

  • 서경화;최원식;이수범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934-947
    • /
    • 2011
  • 본 연구는 HMR의 선택 속성과 지각된 효용적 가치, 재구매 의도와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지각된 효용적 가치가 HMR 선택속성과 재구매 의도에와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검증함으로써 다른 선행연구들과 차별화 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에 대한 HMR 선택 속성(음식의 품질, 편의성, 포장, 직원 서비스)은 지각된 효용적 가치와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음식의 품질 요인은 지각된 효용적 가치와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2.874, p<0.01), 가설 1-1은 채택되었는데, 이는 HMR의 음식이 맛이 좋으며 신선한 재료를 사용하여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소비자의 지각된 효용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원인임을 재 입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HMR의 편의성에 대한 요인은 지각된 효용적 가치와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t=3.710, p<0.001) 가설 1-2도 채택되었으며, HMR의 최고 강점 중 하나인 편의성은 지각된 효용적 가치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져 향후 HMR 시장은 바쁜 현대인들로부터 지속적인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여 진다. 그리고 HMR의 포장 요인은 지각된 효용적 가치와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t=3.707, p<0.001) 가설 1-3도 채택되었으며, HMR 포장 용기가 위생적이고 보관 및 저장이 용이하며 포장 용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함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HMR을 판매하는 직원 서비스는 지각된 효용적 가치에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t=2.859, p<0.01) 가설 1-4도 채택되었다. 따라서 고객들의 HMR에 대한 지각된 효용적 가치는 음식의 품질, 편의성, 포장, 직원 서비스 등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음식의 내 외적 품질뿐만 아니라 직원의 무형적 서비스가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구매 행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핵심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는 Hong & Na(2007)의 연구에서 인터넷 의류상품의 제품속성은 모두 실용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밝힌 것과 유사한 결과를 얻은 것으로, 경영자는 HMR 제품의 내 외부 속성 및 서비스에 대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가설 2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효용적 가치는 재구매 의도에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t=5.933, p<0.001), 소비자가 지각하는 실용적 가치는 소비자 만족에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Choi & Park(2009)가 소비자들은 제공받은 혜택과 지불 비용을 동시에 평가하여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가치와 현재 거래관계에 대한 가치를 결정하게 되면서 소비자들의 지각된 서비스 가치가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와 동일하였다. 따라서 HMR의 지각된 효용적 가치는 향후 구매행동으로 이어져 지속적인 성장 발전의 가능성이 있음을 밝힌 것으로써 경영자는 시간, 돈, 노력에 비해 가치 상승을 시킬 수 있도록 상품개발에 보다 집중하고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HMR 소비자의 HMR 선택 속성과 재구매 의도와의 인과관계에서 지각된 효용적 가치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부분적 매개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완전하지는 않지만 HMR 선택속성은 지각된 효용가치에 의해 상당부분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Son BM(2011)가 관광지의 선택속성에 대한 선택가치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충성도로 연결되어 재방문으로 이어져 지각된 가치는 재방문으로의 매개 또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한 결과와 동일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HMR 선택 속성이 재구매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칠 것이라는 관점보다 효용적 가치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으며, HMR 선택속성이 높이 평가될수록 효용적 가치를 높게 인식하고, 재구매 의도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가설 검증을 위한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x^2$=213.078(df=112), RMR=0.093, GFI=0.902, NFI=0.895, CFI=0.945, RMSEA=0.062으로 나타나 HMR의 선택 속성, 지각된 효용적 가치, 재구매 의도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미래의 고객들은 여가를 즐기고 삶의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하게 될 것이고, 특히 음식을 만드는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들에 비해 효율성이 낮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면서, 편리하고 빠르게 조리할 수 있으며, 영양까지 겸비한 HMR 제품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보일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외식산업에서 지각된 효용적 가치 연구에서 점차 확대되고 있는 HMR 시장이라는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으며, 특히 HMR의 전반적인 시장이 아닌 한국음식의 HMR만을 대상으로 집중 연구함으로써 다른 연구들과 차별화를 두고자 하였다. 그 결과, 주목받고 있는 한국음식 HMR 제품에 대한 선택 속성들은 소비자들의 효용적 가치를 높게 인지할수록 재구매를 일으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힘으로써 향후 지속적인 발전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 하겠다. 최근 외식산업은 트렌드의 변화, 모방 또는 복제가 매우 빠르며, 특히 HMR 시장은 메뉴 개발에 대한 한계, 메뉴 안전성에 따른 불신과 메뉴 품질을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 지속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기가 매우 힘들다고 하겠다. 그러나 HMR 제품에 대하여 소비자들은 돈, 시간, 노력에 비하여 충분한 효용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지각함에 따라, 기업의 경영자는 고객들이 추구하는 HMR 선택 속성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를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효용적 가치를 통해 경쟁 기업과 차별화 할 수 있는 요인이 음식의 품질, 편의성, 포장, 직원 서비스라는 것을 우선으로 본다면 향후 프리미엄 메뉴 개발에 집중하여 경쟁기업과 차별화 하고, 우수한 영양을 갖춘 제품을 보다 쉽게 조리해서 먹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필요하겠다. 또한 포장 용기의 유해 물질 검출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 해소와 용기의 편이성을 위한 디자인 개발, 서비스 노하우 축적 등은 경쟁사보다 차별적이고 지속적인 경쟁우의를 차지할 수 있는 핵심요인으로써 기업이 가진 자원을 핵심역량으로 발전시키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HMR의 선택속성을 통하여 소비자들은 실용적 가치를 인지함으로써 지속적인 구매가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연구가 되었으나, 몇몇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서울 경인 지역의 대형할인마트와 백화점의 HMR 고객을 대상으로 전체를 대표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최근 활성화 되고 있는 인터넷 HMR 시장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HMR 구매에 있어 쾌락적 가치를 포함한 전반적인 가치 평가 연구도 부족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HMR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변화되는 외부 환경 변화와 경쟁기업과 차별화 할 수 있는 다각적인 전략 방안을 추가적으로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소셜 커머스의 소비자 지각된 위험과 구전 방향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onsumer Perceived Risks and Valence of Word of Mouth Information on Purchase Intention in Social Commerce)

  • 심이석;이형재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3-93
    • /
    • 2013
  • This paper is a research on perceived risk of social commerce which has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uses a 3-dimension concept of perceived risk and then, deals with influencing a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o search other influential variable to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adds a variable with expected moderating effect. This study proposes several hypothesis and processes an experiment to test and attest these hypothesi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 that perceived risk in social commerce has on purchase intention. By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ll dimensions of perceived risk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proves moderating roles of valence of WOM Information on purchase intention. Additional manageri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마늘장아찌의 상품 속성이 고객 만족 및 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부산지역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Pickled Garlic's Attributes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purchase - Focused on the Housewives in Pusan -)

  • 김경환;김영훈;조용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8-68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pickled garlic's attributes and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attributes,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purchas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study were used.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A maj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preferred pickled garlic with soy sauce. And they were down on the lack of variety in pickled garlic products and garlic recipes. The nutrition facts and the value of producer of pickled garlic were verified to examine the effects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purchase.

  • PDF

구매 후 부조화에 대한 시정과 고객 재구매(재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rection of Postpurchase Dissonance and Intention of Customer Repurchase)

  • 이동휘;김성환;문승제
    • 산업융합연구
    • /
    • 제1권2호
    • /
    • pp.53-67
    • /
    • 2003
  • This paper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customer repurchase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rrection of postpurchase dissonance and intention of customer repurchase. Previous studies have broadly specul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sity of dissatisfaction and repurchase; few empirical results have, however, been reported. This study is based on a convenience sample of 257individuals who reported intensity of dissatisfaction and type of responses to dissatisfying retailing service situations. The results of an empirical study, the relationship is found between correction of postpurchase dissonance and intention of customer repurchase. And it examines the relatively important marketing factors influencing customer repurchase.

  • PDF

PM컨설턴트 리더십역량이 컨설팅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M Consultant Leadership Capability on Consulting Repurchase Intention)

  • 이양우;홍우형;김상봉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63-176
    • /
    • 2019
  • 본 연구는 PM컨설턴트 리더십역량이 컨설팅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중소기업CEO의 참여도가 컨설팅 재구매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컨설팅을 수진한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설문데이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통해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확보하였으며, 동일방법 편의를 통해 일관성을 확보하였고,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즉 컨설팅 재구매에 있어서 PM컨설턴트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경영자의 참여도에 따라 재구매 의도가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여 재구매에 있어서 경영자의 관심의 정도에 따라 경영자가 느끼는 성과가 다르고 또한 재구매로 이어지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PM은 수시로 경영자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보고 및 또는 참여를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컨설팅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 중 PM의 리더십 역할과 경영자의 참여도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하여 한정하여 연구하여 재구매의도 전체로 일반화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PM의 역량과 함께 경영자의 참여도 매우 중요하다는 결과를 통해 PM의 리더십이 어떠한 방향으로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변인을 확장하여 어떠한 변인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지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패션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에서 지각된 정보의 양이 소비자 위험지각 및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ived amount of information in a fashion crowdfunding project on perceived risk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 이은정;심우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365-374
    • /
    • 2021
  • 최근 크라우드 펀딩 시장의 높은 성장률과 장점으로 인해 브랜드와 기업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패션 비즈니스에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크라우드펀딩 상황에서 서포터가 실제 제품을 받기 전에 전액을 지불해야 하며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은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크라우드펀딩의 인지된 위험을 높이거나 억제하는 플랫폼 환경, 소비자 개인 특성, 또는 프로젝트의 구성 요인에 대한 심화된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크라우드펀딩에서 인지된 위험과 소비자 태도에 대한 과거 문헌은 확장되었지만 패션 제품과 같은 경험재 소비와 관련된 맥락에서 플랫폼과 프로젝트의 특성에 관해 다룬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에서 제공되는 지각된 정보의 양이 지각된 위험과 프로젝트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총240명의 한국인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본 연구의 실험을 위해 가상의 패션제품 크라우드펀딩 페이지를 자극물으로 설정하였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패션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에 대한 지각된 정보의 양이 많은 상황에서 적은 상황에 비해 응답자들의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의도가 높았다. 또한 지각된 정보의 양은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각된 위험은 참여의도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위험은 지각된 정보의 양과 프로젝트 참여의도 사이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학술적 실무적 의의 및 연구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제품보증의 유형이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제품유형과 제조업체 기업윤리 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Product Warranty Types on Consumers' Product Attitudes -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Types and Manufacturer's Business Ethical Levels -)

  • 오구연;권익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93-112
    • /
    • 2009
  • 본 연구는 제품보증의 유형인 명시적 보증과 묵시적 보증이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제품보증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탐색하여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주시험 효과가 제품유형(탐색재 vs 경험재) 및 제조업체의 기업윤리 수준(고윤리 vs 저윤리)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상호작용 효과의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태도는 제품보증이 명시적일 때가 묵시적일 때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제품보증의 유형에 따른 주시험 효과는 해당 제품이 탐색재일 때보다 경험재일 때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제조업체의 기업윤리 수준이 높을 때보다 낮게 인식할 때가 더 크게 나타났다. 다만, 이러한 조절효과는 두 가지 종속변수 중 제품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고 구매의도에서만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 PDF

외국인의 한식당에 대한 가격민감성 분석 (Analysis of Foreign Customers' Price Sensitivity on Korean Traditional Restaurants Using Price Sensitivity Measurement)

  • 이민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4-13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한식당에 대한 외국인 고객의 가격민감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한식당 유형별로 가격민감성이 다르게 측정되어 가격이 각 외식업체의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과 가치를 특징짓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서로 다른 요구에 의해 준거 가격이 복잡해지며, 소비자의 구매 목적에 따라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외국인 국적별로 가격민감성을 비교한 결과, 각 세분 시장별로 가격민감성에 차이를 나타냈는데, 전반적으로 일본인이 다른 세분시장에 비해 가격에 민감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가격민감성측정 모델은 다른 타겟 시장의 민감성과 각각의 수용가격범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외식업체 운영자들은 어떤 시장이 얼마의 최소한의 가격으로 구매 행동을 하지 않으며, 어떤 시장에 그 가격에 맞는 가치를 제공하도록 노력을 기울일 것인지 파악해야 한다. 또한 가격과 품질사이의 단순한 상관관계에 의해서만 소비자들의 행동을 설명하기 엔 너무 많은 변수들과 상황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구매 동기,사회적 환경 등의 요인, 시간제한, 계절적 효과, 물리적 환경, 구매 주체, 분위기 등의 상황적 변수들이 가격 민감 행동과 상호 작용 가능한 잠재적 요인들이므로 가격민감성과의 상관관계 분석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가격은 동질적인 제품 또는 동질적인 상황에서 소비되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서는 그 중요성이 떨어지고, 브랜드가 품질의 지각과 가치의 지각, 그리고 구매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외식기업들은 궁극적으로 이러한 순간에 다른 브랜드와 차별화 될 수 있는 한식 브랜드 요인들을 강조하여 경쟁적인 이익과 이윤을 증가시켜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소비자의 기호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격과 가치 부여만이 고객 만족과 재 방문, 나아가 충성 고객을 이끌 수 있으며, 외식기업의 이를 활용한 가격전략 수립이 우선되어야 한다.

사고발성법과 언어분석을 활용한 TV 홈쇼핑 광고의 효과측정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Measurement of TV Home Shopping Advertising Using think aloud and linguistic Analysis)

  • 유연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797-80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TV홈쇼핑 광고를 시청하는 동안 일어나는 심리적 반응을 언어적 형태로 수집하고, 수집된 언어자료를 분석하여 광고효과의 측정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부와 여자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긍정평가 광고와 부정평가 광고를 시청하는 동안 나타난 심리적 반응을 사고발성법을 이용하여 언어자료의 형태로 수집하고, 자기보고식 측정으로 광고효과변인들과 광고반응 변인들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언어자료를 KLIWC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긍부정평가 광고 간의 차이와 자기보고식 변인들 간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검증결과, 긍정평가 광고와 부정평가 광고 간에 심리사회학적 변인뿐만 아니라 언어학적 변인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KLIWC의 다양한 변인들과 광고효과 변인들(구매자극도,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도) 그리고 광고반응 변인들 간에 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고발성법과 KLIWC의 언어분석을 이용하여 TV홈쇼핑 광고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과 심리적 반응 프로파일을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여 준다.

웹툰 PPL에 대한 제품유형과 웹툰 태도의 효과 연구 (Effects of Product Type and Webtoon Attitude in Webtoon PPL)

  • 김소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86-198
    • /
    • 2020
  • 본 연구는 제품유형, 웹툰에 대한 태도가 웹툰 PPL에 대한 소비자 반응 - PPL 침입성, PPL에 대한 태도, 브랜드 태도, 구전의도, 구매의도 - 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PPL 제시유형이 제품유형과 웹툰에 대한 태도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실용재보다 쾌락재일 경우, 웹툰 콘텐츠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 때보다 긍정적일 경우 PPL에 대한 소비자 반응이 긍정적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또한 웹툰에 대한 태도와 PPL 제시유형 간의 상호작용을 보여준다. 웹툰에 긍정적인 독자에게는 크리에이티브 배치가, 웹툰에 부정적인 독자에게는 온셋 배치가 더 효과적인 PPL 제시유형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