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현(3d)

Search Result 71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3D Audio Rendering Method based on 3D Video Information for 3DTV (3DTV 향 3D 영상 정보를 이용한 3D 오디오 원근감 재현 기술)

  • Kim, Sunmin;Lee, Young Woo;Kim, SeungHun;Lee, Seu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204-20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3DTV 의 입체감 향상을 위한 3D 음향의 원근감 재현 기술을 제안한다. 먼저, 3D 영상 객체의 깊이를 추출하고 영상 객체의 깊이에 따라 오디오 객체의 거리감을 조절한다. 오디오 거리감 재현을 위해 필요한 오디오 깊이 인자는 3D 영상의 좌/우 이미지의 차이 정보로부터 오디오에 맞도록 비선형 변환을 통해 구해진다. 3D 오디오 재현 알고리즘은 기존의 서라운드 입체음향 기술과 원근감 재현 기술로 구성된다. 원근감 재현 기술은 추정된 오디오 깊이 인자에 따라 신호크기, 초기 반사음, 근거리 머리전달함수, 위상 제어를 통해서 구현된다. 특히, 3D 영상 객체가 화면 앞으로 튀어 나올 때 소리도 튀어나오도록 함으로써 3D 영상 객체와 연동되는 입체 음향을 효과를 통해 3D 방송 시청 시 오디오/비디오 입체감을 향상시켜준다. 상용화된 3DTV 를 활용하여 음질 평가 전문가들의 주관 청취 평가를 통해 제안한 원근감 재현 기술이 3D 방송 시청에 적합함을 검증한다.

  • PDF

Construction of 3D Spatial Information of Vertical Structure by Combining UAS and Terrestrial LiDAR (UAS와 지상 LiDAR 조합에 의한 수직 구조물의 3차원 공간정보 구축)

  • Kang, Joon-Oh;Lee, Yong-Chang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9 no.2
    • /
    • pp.57-66
    • /
    • 2019
  • Recently, as a part of the prod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by smart cities, three-dimensional reproduction of structures for reverse engineering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particular, terrestrial LiDAR is mainly used for 3D reproduction of structures, and 3D reproduction research by UA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both technologies produce blind spots due to the shooting angle. This study deals with vertical structures. 3D model implemented through SfM-based image analysis technology using UAS and reproducibility and effectiveness of 3D models by terrestrial LiDAR-based laser scanning are examined. In addition, two 3D models are merged and reviewed to complement the blind spot. For this purpose, UAS based image is acquired for artificial rock wall, VCP and check point are set through GNSS equipment and total station, and 3D model of structure is reproduced by using SfM based image analysis technology. In addition, Through 3D LiDAR scanning, the 3D point cloud of the structure was acquired, and the accuracy of reproduction and completeness of the 3D model based on the checkpoint were compared and reviewed with the UAS-based image analysis results. In particular, accuracy and realistic reproducibility were verified through a combination of point cloud constructed from UAS and terrestrial LiDAR. The results show that UAS - based image analysis is superior in accuracy and 3D model completeness and It is confirmed that accuracy improves with the combination of two method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UAS and terrestrial LiDAR laser scanning combination can complement and reproduce precise three-dimensional model of vertical structure, so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safety diagnosis and maintenance management.

Reproducing water flow using 3D game engine (3D게임엔진을 이용한 물 흐름 재현)

  • Woochul Kang;Eun-kyung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32-432
    • /
    • 202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의 안동하천연구센터(Andong River Experiment Center, REC)는 다양한 하천 관련 실규모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3개의 수로를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목적인 실증 실험 계측 결과를 기반으로 3D 게임엔진을 이용하여 물 흐름을 재현하기 위해 A1 수로를 대상구간으로 설정하였다. 실증 실험의 경우 2개의 수문 개도율 조건에서 ADV와 ADCP를 활용하여 계측된 유량 및 유속 결과들을 비교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영상 데이터로 부터 표면유속(LS-PIV)을 산정하였다. 3D 게임 엔진은 렌더링 엔진, 물리 엔진, 오디오 엔진, UI 시스템, 게임플레이 프레임워크 등이 잘 융합된 소스코드들과 개발자들이 이용하기 쉬운 방식으로 변환된 툴(tool)로 제공하여 현실 세계를 가상 세계에 시각화하여 구현하는데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흐름 재현이 가능한 수리/수문 모델링의 경우 특정한 목적으로만 이용가능하고 연산에 소용되는 시간 때문에 실시간 흐름재현이 어렵지만, 3D 게임엔진을 이용하는 경우 다양한 목적과 여러 분야와의 고려가 동시에 가능하며 연산의 단순화를 통해 실시간 흐름 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리얼 엔진의 Niagara Fluids와 Fluid flux 툴들을 활용하여 하천실증실험 시설 일부 구간에 대해 물 흐름을 재현하였다. 먼저 하천실험실증시설을 드론과 RTK-GPS를 이용하여 촬영된 결과를 정합하여 3D 게임엔진 기반 흐름 재현을 위한 지형 기초 자료를 구축하였다. 지형 계측 결과를 기반으로 A1 수로 전체 구간을 대상구간으로 설정한 이후 수문 조절을 통해 흐름 조건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실제 흐름에 대한 계측 결과를 기반으로 재현된 흐름을 대상으로 material 값의 조정(방향 X, Y값을 RGB값으로 변환한 뒤 벡터 길이 값으로 환산)을 통해 0~100 사이 값을 이용하여 유속을 표현하였다. 최근 가상공간 (i.e. 디지털트윈) 관련 시장 성장이 매우 빠르고 다양한 사업에서 해당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물 흐름의 디지털 트윈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3D 게임 엔진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만 실제 하천의 적용과 하천관리를 위한 실용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Comparison of Virtual 3D Tree Modelling Using Photogrammetry Software and Laser Scanning Technology (레이저스캐닝과 포토그래메트리 소프트웨어 기술을 이용한 조경 수목 3D모델링 재현 특성 비교)

  • Park, Jae-M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2
    • /
    • pp.304-310
    • /
    • 2020
  • The technology in 3D modelling have advanced not only maps, heritages, constructions but also trees modelling. By laser scanning(Faro s350) and photogrammetry software(Pix4d) for 3D modelling, this study compared with real coniferous tree and both technology's results about characteristics of shape, texture, and dimensions. As a result, both technologies all showed high reproducibility. The scanning technique showed very good results in the reproduction about bark and leaves. Comparing the detailed dimensions on it, the error between the actual tree and modelling with scanning was 1.7~2.2%, and the scanning result was larger than the actual tree. The error between the actual tree and photogrammetry was only 0.2~0.5%, which was larger than the actual tree. On the other hand, the dark areas's modelling was not fully proce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research that can be used for tree DB on BIM for the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design and analysis with AR technology, historical tree and heritage also.

3D Quality Improvement Method for 3DTV using Color Compensation (색상 보정을 통한 3DTV의 입체영상 화질 개선 방법)

  • Jung, Kil-Soo;Kang, Min-Sung;Kim, Dong-Hyun;Sohn,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220-223
    • /
    • 2010
  • 최근 연이은 3D 영화의 성공에 힘입어 영화 산업계를 중심으로 3D 콘텐츠 생성이 늘고 있으며, 이를 가정 내에서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3DTV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3DTV의 특성 상 3D 재생 시 밝기 저하에 따른 색 재현 문제로 인하여 입체감과 공간감을 느끼는 대신 2D에서의 화려한 색감을 만끽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3D 시청 시에도 2D에서와 같은 색감을 최대한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3DTV를 활용하여 입력 RGB 영상에 대하여 2D와 3D 재생 시 재현되는 RGB intensity를 측정한 후 입출력에 따른 관계 모델링을 실시하였고, 모델링에 근거하여 3D 재생 시 2D 대비 보정되어야 할 색상 요소에 대한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매핑 테이블은 기존 3DTV 시스템의 출력부에 3D 색상 보정 모듈로써 추가하도록 하여 일반 2D 재생 시에는 입력영상이 바이패스(bypass)되도록 하고, 3D 재생 시에는 본 논문에 의한 3D 색상 보정용 매핑 테이블을 통해 색상 보정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3D 재생 시에도 2D에서 느낄 수 있는 색감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3D Reconstruction and Historical Evidence of Recumbent Buddha Based on Fusion of UAS, CRP and Terrestrial LiDAR (UAS, CRP 및 지상 LiDAR 융합기반 와형석조여래불의 3차원 재현과 고증 연구)

  • Oh, Seong-Jong;Lee, Yong-Chang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1 no.1
    • /
    • pp.111-124
    • /
    • 2021
  • Recently, Interest in the restoration and 3D reconstruction of cultural properties due to the fire of Notre Dame Cathedral on April 15, 2019 has been focused once again after the 2008 Sungnyemun fire incident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research to restore and reconstruct the actual measurement of cultural properties using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and conventional surveying, which were previously used, using various 3D reconstruction technologie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his study acquires data using unmanned aerial imagery of UAV(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has recently established itself as a core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xisting CRP(Closed Range Photogrammetry) and terrestrial LiDAR scanning for the Recumbent Buddha of Unju Temple. Then, the 3D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with three fusion models based on SfM(Structure-from-Motion), and the reproducibility and accuracy of the mode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using the best fusion model among the three models, the relationship with the Polar Star(Polaris)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al world coordinates of the Recumbent Buddha, which contains the astronomical history of Buddhism in the early 11th century Goryeo Dynasty. Through this study, not only the simple external 3D reconstruction of cultural properties, but also the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historical evidence according to the type and shape of the cultural properties was sought by confirming the historical evidence of the cultural properties in terms of spatial information.

Numerical Simulation of Ship-induced Wave Using FLOW-$3D^{(R)}$ (FLOW-$3D^{(R)}$를 이용한 항주파 수치모의)

  • Kang, Young-Seung;Kim, Pyeong-Joong;Hyun, Sang-Kwon;Sung, Ha-K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0 no.3
    • /
    • pp.255-267
    • /
    • 2008
  • Using the commercial CFD code FLOW-$3D^{(R)}$ which has an implicit General Moving Object (GMO) method, the ship-induced wave has been simulated. In the implicit GMO method of the FLOW-$3D^{(R)}$, a rigid body's motion which is either user-prescribed (prescribed motion) or dynamically coupled to fluid flow (coupled motion) can be computed with six degrees of freedom (DOF). The simulated horizontal wave patterns are agree with the wave patterns represented by depth Froude number. The model has been well-simulated to generate the depth-dependent wave transformation in comparison of uniform depth case to complicated depth case. Additionally, it shows that ship-induced waves have been reasonably generated by two ships passing each other and by a ship moving in a curv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FLOW-$3D^{(R)}$ model calibrated with observed data should provide more accurate prediction for the ship-induced wave in a certain fairway or harbor.

Multi-joint Design and 3D Printing for the Linear Control for Character (캐릭터 선형 제어를 위한 다관절 구조 설계와 3D 프린팅)

  • Jeon, Seung-jin;Kim, B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6
    • /
    • 2017
  • 본 연구는 소형 캐릭터의 다양한 관절운동을 선형제어를 통해 재현하기 위한 다관절 구조를 논의한다. 최소 동력원으로 복수 관절부를 제어하여 다양한 동세를 표현하기 위해 개별 관절구조를 설계하고 3D 프린팅을 통해 제작한다. 형상 변형 및 다자유도 확보를 위한 볼 조인트 형식을 적용하여 캐릭터의 다양한 운동성을 논의한다. 3D 프린팅 적용 시 구동 특성을 재현하기 위해 구조별 설계와 소재별 프린팅 운영 특성을 기술함으로써 효과적인 관절구조 설계와 3D 프린팅의 연계 방법을 찾고자한다.

  • PDF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colors in 2D animation image : Focusing on the colors of short animation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on of three dimension space (2D 애니메이션 이미지의 색채 표현 연구 : 3차원적 공간 재현을 탈피한 단편 애니메이션의 색채를 중심으로)

  • Oh, Jin-Hee;Kim, Jea-Woong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16
    • /
    • pp.113-124
    • /
    • 2009
  •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n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colors of animation and live action film through the expressive colors of 2D animation as distinct from three dimension space. While live action film has an obvious object of representation, the image of 2D animation is a creature made by human without the process of mechanical representation. And this is revealed sharply in the expressive colors of 2D animation. Therefore the expressive colors of 2D animation are the important points in which the autonomous meaning of animation image is revealed.

  • PDF

Application of a large-scale climate ensemble simulation data to evaluate the scale of extreme rainfall: The case of 2018 Hiroshima extreme-scale rainfall event (극한 호우의 규모 평가를 위한 대규모 기후 앙상블 자료의 적용: 2018년 히로시마 극한 호우의 사례)

  • Kim, Youngkyu;Son, M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0-290
    • /
    • 2022
  • 본 연구는 대규모 기후 앙상블 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산정된 극한 강우량을 최근 발생한 극한 호우사상의 규모 평가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8 년 히로시마 호우사상은 지속시간 24 시간에서 재현기간 1,000 년에 상응하는 극한 규모를 나타냈기 때문에 짧은 기간동안 수집된 관측자료만으로 규모를 평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평가하고자 대규모 기후 앙상블 모의결과 기반의 d4PDF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는 3,000 개의 연 최대 강우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통계적 모형 및 가정 없이 비모수적으로 10 년부터 1,000 년의 재현기간을 나타내는 지속시간 24 시간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했다. 산정된 d4PDF 의 확률강우량은 관측강우량의 확률강우량과 비교하였으며, 관측기간에 가까운 50 년의 재현기간에서는 두 확률강우량의 차이가 3.53%였지만 관측기간 (33 년)과 재현기간 (100 년 이상)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오차가 10% 이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는 장기간 재현기간에서 관측강우량의 확률강우량은 불확실성을 내포하는 것을 의미한다. d4PDF 의 확률강우량에 대해서 2018 년 히로시마 호우사상은 300 년에 가까운 재현기간을 나타냈다. 미래 기후조건에서의 d4PDF 자료를 이용해 확률강우량을산정했으며, 현재 기후조건대비 미래 기후조건에서 10 년부터 1000 년의 재현기간을 나타내는 확률강우량은 모두 20% 이상으로 증가했다. 미래 기후조건의 확률강우량에 대해 2018 년 히로시마 호우사상은 100 년에 가까운 재현기간을 나타냈으며, 이는 미래 기후조건에서 히로시마 호우사상의 발생 확률이 0.33% (현재 기후)에서 1% (미래 기후)로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대규모 기후 앙상블 모의결과 기반의 d4PDF 는 현재 기후조건과 미래 기후조건하에서 극한 규모의 호우사상의 정량적인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