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 모형

Search Result 64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Hydraulic Stability and Wave Transmit Property of Stacked Geotextile Tube by Hydraulic Model Test (수리모형시험을 통한 다단식 지오텍스타일 튜브의 안정성 및 파랑 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 Oh Young In;Shin Eun Chul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1 no.2
    • /
    • pp.57-65
    • /
    • 2005
  • Geotextile have been used for the past 30 years for various types of containers, such as small sandbag, 3-D fabric forms and aggregate filled gabion etc. While they are mainly used for flood and water control, they are also used against beach erosion fir shore protection. Especially, large-sized geotextile tube structures are used in various innovative coastal systems involving breakwaters. This paper presents the hydrodynamic behavior of geotextile tubes based on the results of hydraulic model tests. These tube are generally about 1.0 m to 2.0 m in diameter, thou띤 they can be sized for any application. The tubes can be used solely, or stacked to add greater height and usability. Stacked geotextile tubes will be created by adding the height necessary for some breakwaters and embankment, therefore increasing the usability of geotextile tubes. The hydraulic model test was conducted as structural condition and wave conditions. Structural condition is installation direction to the wave (perpendicular and 45$^{circ}$$), and wave condition is varied with the significant wave height ranging from 3.0 m to 6.0 m. Compared with previous test result, the stacked geotextile tube is more stable against wave attack than single tube. Also, the case of none-water depth above crest is more stable than 0.5H of water depth above crest. The incline installed stacked tube is more effective for wave adsorption.

A Study on Drop Shaft Bottom of Maximum Pressure of the Deep Tunnel by Stilling Basin of Depth (대심도 터널의 수직 유입구 감세지 깊이에 따른 바닥면 최대압력 비교 연구)

  • OH, Jun Oh;Park, Jae Hyeon;Park, Chang 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4-74
    • /
    • 2015
  • 최근 홍수의 특성과 피해 양상은 과거와는 다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급격한 도시화로 인하여 기존 하천유역의 저류 능력이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미 외국에서는 대심도 터널을 활용한 홍수재해 관리방안이 오래전부터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대심도 터널의 유입구, 수직갱, 감세지, 배수터널과 같은 시설물 중 대심도 터널 설계 시 수직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량의 에너지를 완화하고 효과적으로 배수 할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감세지의 효율적인 깊이 산정을 위하여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모형은 Froude 상사법칙을 사용하여 원형의 1/18크기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감세지 모형의 깊이는 0.278 m(원형 5.0 m), 0.417 m(원형 7.5 m)이며, 각 감세지 깊이별 수직 유입구 3개소(저지수직구1, 저지수직구2, 고지수직구) 및 5가지의 유량 CASE에 대하여 감세지 바닥면 압력을 비교?분석 하였다. 수직 유입구 3개소의 설계조건에 따른 감세지 깊이별 바닥면 압력 분포 평가를 실시한 결과 저지수직구1의 감세지 깊이 0.278 m(원형 5.0m)에서는 최대 압력이 4번 지점에서 $0.075kg/cm^2$(원형 1.30 MPa)이 측정 되었으며, 0.417 m(원형 7.5m)에서는 최대 압력이 1번지점에서 $0.089kg/cm^2$(원형 1.54MPa)이 측정되었다. 또한 저지수직구2의 감세지 깊이 0.278 m(원형 5.0 m)에서는 최대 압력이 1번 지점에서 $0.074kg/cm^2$(원형 1.28 MPa)이 측정 되었으며, 0.417 m(원형 7.5 m)에서는 최대 압력이 2번지점에서 $0.088kg/cm^2$(원형 1.52 MPa)이 측정되었다. 고지수직구의 감세지 깊이 0.278 m(원형 5.0 m)에서는 최대 압력이 3번 지점에서 $0.082kg/cm^2$(원형 1.42 MPa)이 측정 되었으며, 0.417 m(원형 7.5 m)에서는 최대 압력이 1번지점에서 $0.092kg/cm^2$(원형 1.59 MPa)이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수리모형실험의 결과 저유량에서 고유량으로 갈수록 최대압력지점은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수직 유입구의 설계조건에 따른 수직갱에서의 회전수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적절한 감세지 깊이 산정을 위해서 대심도터널의 수직 유입구(유입구형태, 수직갱)의 평가가 함께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Around Culvert According to Blocked Area (차단면적 변화에 따른 암거주변 흐름특성 실험연구)

  • Kim, Sung Joong;Yeo, Hong Koo;Kang, Jun Gu;Jung, Do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67-467
    • /
    • 2016
  • 암거는 일반적으로 용수나 배수용의 수로가 도로, 철도, 제방 등의 아래에 매설 된 수로를 지칭한다. 이러한 암거는 산업발전으로 사회기반시설의 신설 및 확충, 재정비 등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기후로 인한 재해가 급증하면서 이러한 시설물에 대한 안정성 및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소하천은 집수면적 및 유로연장이 짧고 하상경사가 급하기 때문에 홍수에 취약하다. 즉, 빨라진 유속으로 인해 구조물 주변의 세굴에 의한 유실, 토사유출로 인한 하상퇴적, 부유물로 인한 차단으로 인해 통수에 지장을 받아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암거시설물 피해는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사회기반시설 파괴로 도시기능이 마비되고 인근 주변지역에 침수로 인한 재산 및 인명피해까지 발생시킬 수 있는 피해 잠재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피해에 대한 예방대책은 유지관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대부분의 지침 등에 소개된 내용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암거를 대상으로 암거의 폐색으로 인해 암거주변에서 변화되는 흐름특성을 축소모형을 통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암거 축소모형실험은 1.5m 폭을 갖는 직선수로에서 수행하였으며, 암거모형은 도로암거표준도(2008)를 참조하여 $3m{\times}3m$ 수로암거를 대상으로 1/10 축소모형을 제작하였다. 암거유입부 퇴적으로 인한 암거의 차단률(차단면적/암거단면적)은 차단이 발생하지 않는 0% 조건에서부터 10%, 20%, 30%, 40%, 50% 조건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차단에 따른 암거 상류단의 수위는 차단이 없는 암거의 경우에 비해 차단율이 높아질수록 암거유입부 수위는 20.4% ~ 82.7%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거의 차단률이 40% 이상일 경우 높아진 수위로 인해 암거통로의 윗상면부까지 다다르고 있으며 50%일 경우 암거를 통과하는 흐름이 자유수면흐름이 아닌 오리피스 흐름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거유입부 차단으로 인한 암거주변의 최대유속은 암거 직하류부에서 주로 발생하여 암거 유출부에서의 최대유속은 차단율이 증가할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암거 유출부에서의 유속은 차단전의 조건(0%) 대비 4.2% ~ 35.5% 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고려하였을 때 대부분 산지부에서 설치되는 암거의 경우 유속이 불가피하게 증가하게 됨으로 유속에 따른 유속조절방안(차단 및 우회시설) 및 세굴대책을 세워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and Establishment of Corresponding Criterion for Municipalities of Flood Damage Reduction (지자체 중심의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홍수대응기준 수립 및 활용)

  • Kim, Mi Eun;Oh, Byoung Dong;Kim, Jin Woo;Chae, Mi Ae;Hong, Se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71-371
    • /
    • 2019
  • 우리나라는 홍수기(6~9월)에 집중되는 기상패턴과 하천 중하류부에 발달된 도시의 개발특성으로 인하여 가장 중요한 자연재해 중 하나로 홍수 및 도시침수가 거론되고 있다. 과거 집중호우로 침수 피해가 발생한 사례를 살펴보면, 피해가 발생하는 지역은 지방하천 및 소하천을 중심으로 형성된 도시지역이다. 중앙 지방 정부는 수차례 침수 피해를 겪으며 사후관리가 아닌 재난예방 및 사전관리 등의 방안 마련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의한 기상의 불확실성으로 치수 중심의 물관리 및 중 소하천의 하천 특성으로 여전히 홍수 발생에 대비할 수 있는 골든타임 확보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사전 예방적 차원에서의 홍수대응 방안으로 중 소하천을 담당하는 지자체 중심의 홍수피해 저감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 지자체를 대상으로 모니터링 대상 경계를 설정하여 우량 알람 기준을 예비알람, 주요 관측지점에 대해 강우에 따른 수위 상승 정도를 홍수대응 기준인 직접알람과 연계함으로써 예방적 재난대응 체계를 구축하였다. 모니터링 대상 지역은 해당 지자체를 포함하면서 유역 개념을 적용하여 만경강유역 전체로 설정하였다. 만경강 유역 내 유관기관(지자체, 환경부, K-water, 기상청 등)이 관할하는 우량국(41개소) 및 수위국(28개소), 저수용량이 30만톤 이상이 되는 농어촌공사 저수지(7개소)를 고려하여 홍수분석 모형(COSFIM)을 구축하였다. 해당 모형은 2018년 8월 호우사상에 대해 주요 수위관측 지점에서 $R^2$가 0.8 이상의 우수한 검증 결과를 보였다. 구축된 모형을 통해 예상강우량별 하천 내 수위지점별 최고수위, 최대유량, 도달시간 등 예상 조견표를 제시하여 호우 발생시 지자체 담당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또한 수위지점별 홍수대응 기준은 평시,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단계로 구분하여 담당자가 수위별 위험 정도를 인지할 수 있도록 지점별 도달되는 수위의 위험 정보를 알람기준으로 제시하였다. 홍수분석 모형은 상류에 위치한 주요시설물의 운영현황을 연계하고 있어 실제 강우 발생 시 기상예보를 고려하여 하천 내 수위관측 지점별 수위 상승 정도를 예상함으로써 사전에 홍수에 대비할 수 있는 단계별 시간 확보에 활용 가능하다. 향후 홍수대응기준은 하천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지속적인 보완이 필요하며 유관기관과의 수문자료 공유체계 확대로 예방적 차원의 홍수 대응 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nalysis of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Pier-Scour Depth Formula Using Hydraulic Experiment Data (수리모형실험 자료를 이용한 교각 세굴심 산정공식의 통계적 특성 분석)

  • Kim, Jong-Sub;Chang, Hyung-J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6
    • /
    • pp.349-356
    • /
    • 2021
  • Since the 1960s, traffic infrastructure, such as bridges, has increased rapidly in Korea as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rogressed due to economic growth. As the scale of the bridge becomes larger, stability analysis of the superstructure of the bridge is being conducted actively, but scour stability analysis for the substructure of the bridge has not been conducted sufficiently. This study is a basic investigation to prevent large-scale disasters caused by scouring in bridge piers. A simpl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scour depth calculated through seventeen scour depth calculation formulae, and the scour depth measured through hydraulic model experiments. As a result, the Coleman (1971) formula was the best method among the scour depth calculation formulae, and the Froehlich (1987) formula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calculating the scour depth. In addition, a review using a simple regression model confirmed that the scour depth calculation formulae of CSU (1993), Coleman (1971), and Froehlich (1987) can predict a similar scour depth by reflecting domestic stream characteristics. This study can calculate the scour depth reflect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Korea in future stream design.

Applying deep learning based super-resolution technique for high-resolution urban flood analysis (고해상도 도시 침수 해석을 위한 딥러닝 기반 초해상화 기술 적용)

  • Choi, Hyeonjin;Lee, Songhee;Woo, Hyuna;Kim, Minyoung;Noh, Seong J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10
    • /
    • pp.641-653
    • /
    • 2023
  • As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are causing unprecedented natural disasters in urban areas, it is crucial to have urban flood predictions with high fidelity and accuracy. However, conventional physically- and deep learning-based urban flood modeling methods have limitations that require a lot of computer resources or data for high-resolution flooding analysis. In this study, we propose and implement a method for improving the spatial resolution of urban flood analysis using a deep learning based super-resolution technique. The proposed approach converts low-resolution flood maps by physically based modeling into the high-resolution using a super-resolution deep learning model trained by high-resolution modeling data. When applied to two cases of retrospective flood analysis at part of City of Portland, Oregon, U.S., the results of the 4-m resolution physical simulation were successfully converted into 1-m resolution flood maps through super-resolution. High structural similarity between the super-solution image and the high-resolution original was found. The results show promising image quality loss within an acceptable limit of 22.80 dB (PSNR) and 0.73 (SSIM). The proposed super-resolution method can provide efficient model training with a limited number of flood scenarios, significantly reducing data acquisition efforts and computational costs.

A GIS Technique to Evaluate Landslide Activity (산사태 활동성분석을 위한 GIS 응용연구)

  • 김윤종;유일현;김원영;이사로;신은선;송무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4 no.1
    • /
    • pp.83-92
    • /
    • 1996
  • The inventory maps of landslide deposits show where landsliding has occured in the past., and serve as a general guide to slope stability. Isopleth maps derived from those inventory maps, provide an economi¬cal means for the recognition of landslide activity and assessing the degree of landslide hazard in a large area, es¬pecially rural areas. GIS could generalize the methods of hazard assessment by means of isopleth mapping of landslide deposits. Isopleth maps of Secheon and Boreong areas, where the degree of landslide hazard is very high, show the mitigation of landslide activities remarkably by the remedial efforts during the period of 1978-1991.

  • PDF

A GIS Approach to Select a Suitable Site for Industrial Complex in North Korea (북한지역 산업단지 적지선정을 위한 GIS 적용)

  • 이근수;정종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1 no.3
    • /
    • pp.241-24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select the most proper site, which is essential for the economic activation of North Korea by means of the GIS tool. In this purpose, firstly, Nampo area is sampled as model case, classifying the factors into the natural environmental one and socio- cultural one. Secondly, to analyze the land use status and topographic status which is essential for natural environment factor. Besides USLE(Universal Soil Loss Equation), which is one of the disaster effect assessments, is being applied to suggest the selection method for minimizing the environment change by way of assuming the land effluence amount. The started could advance to prove the ideal model in selecting the most suitable site while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change by means of the composite tool of GIS and USLE.

  • PDF

A Prediction Method of Wave Deformation in Harbors Using the Mild Slope Equation (완경사 방정식을 이용한 항내의 파고예측)

  • 최선호;박상길
    • Water for future
    • /
    • v.26 no.2
    • /
    • pp.39-48
    • /
    • 1993
  • Since major reason of disaster in coastal area is wave action, prediction of wave deform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to ocean engineers. Wave deformations are due to physical factors such as shoaling effect, reflection, diffraction, refraction, scattering and radiation etc. Recently, numerical models are widely utilized to calculate wave deformation. In this study, the mild slope equation was used in calculatin gwave deformation which considers diffraction and refraction. In order to slove the governing equation, finite element method is introduced. Even though this method has some difficulties, it is proved to predict the wave deformation accurately even in complicated boundary condition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numerical calcul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 model harbour of rectangular shape which has mild slope bottom. The results by F.E.M. are compared with those of both Lee's method and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se three methods show reasonable agreement.

  • PDF

Interrelation Analysis between ENSO Index and Hydrologic Variables (자료의 표준화를 통한 ENSO 지수와 수문변량의 상관관계분석)

  • Chu, Hyun-Jae;Kim, Tae-Woong;Lee, Jong-Kyu;Wi, S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20-1524
    • /
    • 2006
  • ENSO(El $Ni\check{n}o$ Southern Oscillation)은 태평양상의 해양과 대기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일부이며, ENSO 순환(ENSO cycle)의 극한상태인 엘니뇨와 라니냐는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홍수와 가뭄 등 자연재해와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이 많은 연구를 통하여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ENSO와 수문변량들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수문자료의 변동계수가 크기 때문에 이를 단순 표준화하여 해석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표준정규분포화를 통하여 ENSO와 우리나라 수문변량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ENSO를 정량적으로 표준지수화하기 위하여 적도부근 남태평양 Tahiti섬과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Darwin 지역에서의 기압차를 월별로 표준화(standardization)한 SOI(Southern Oscillation Index)지수를 이용하였고, 수문자료를 정량적으로 표준지수화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23개 기상관측소의 월강수량, 12개 기상관측소의 월평균기온, 월최저기온, 월최고기온 자료를 이용하여 표준정규분포를 가지는 표준정규지수로 환산하였다. 환산된 자료의 계절적 영향을 파악하고자 3개월 단위로 구분하여, 초과확률 등을 이용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정지역의 수문변동이 남방진동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수문기상학적 예측모형의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