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취약성

Search Result 31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ssessment of Landslide Disaster Vulnerability : Case Study of Daegu (도심지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 : 대구광역시 적용)

  • Park, Yoonkyung;Sung, MooKwang;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57-257
    • /
    • 2016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로 인해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집중호우, 태풍, 홍수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도에만 약 2천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 하였고, 5천억원 이상이 피해를 복구하는데 사용되었으며, 피해금액과 복구금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발생한 토사재해의 경우에는 인구가 밀집한 도심지에서 발생하여 매우 단기간에 치명적인 피해를 야기 시키고, 사회적 관심을 크게 일으키기도 했다. 이처럼 자연재해가 인구가 밀집되어있고, 사회적재화가 많은 도심에서 발생할 경우 그 피해규모는 더욱 커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에 대한 토사재해를 물리적 취약성과 사회적 취약성으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이를 종합하여 평가하였다. 물리적 취약성은 Flow-R 모형을 사용하여 토사재해의 발생 가능성 및 정도를 평가하고, 발생지역의 건물 구분에 따라 그 취약성의 정도를 달리하였다. 사회적 취약성의 경우는 대구지역의 집계구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사회적 지표에 계층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적용하여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후 물리적 취약성과 사회적 취약성의 값을 0에서 1사이로 정규화 시키고 정규화된 값을 다시 곱하여 0에서 1사이로 정규화 하여 취약성 정도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구지역에 대한 토사재해의 취약성을 평가함으로써 대구 도심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토사재해 위험구역을 선정하고 방재시설을 준비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Disaster Vulnerable Districts using Heavy Rainfall Vulnerability Index (폭우 취약성 지표를 활용한 재해취약지구 분석)

  • PARK, Jong-Young;LEE, Jung-Sik;LEE, Jin-Deok;LEE, Won-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1
    • /
    • pp.12-22
    • /
    • 2018
  • In order to improve the vulnerability of current cities due to climate change,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manual for various disasters is provided. Depending on the spatial units, the disaster vulnerability levels, and the conditions of the climatic factors, the results of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this study, relative assessments are conducted by adding the eup, myeon and dong unit in addition to census output area unit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spatial unit, and relative change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ges by expanding the natural classification, which is standardized at level four stage, to level two, four and six stage. The maximum rainfalls(10min, 60min, 24hr) are added for the two limited rainfall characteristics to determine the relativity of disaster vulnerable districts by index. The relative assessment results of heavy rainfall vulnerability index showed that the area ratio of disaster areas by spatial unit was different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pace analysis between the eup, myeon and dong unit in addition to census output area unit was not consistent. And it can be seen that the proportion of disaster vulnerable districts is relatively different a lot due to indexes of rainfall characteristics, spatial unit analysis and disaster vulnerability level stag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s of disaster vulnerable districts differ relatively significantly due to the level of the disaster vulnerability class, and the indexes of rainfall characteristics. This suggests that the impact of the disaster vulnerable districts depending on indexes is relatively large, and more detailed indexes should be selected when setting up the disaster vulnerabilities analysis index.

Assessing Vulnerability to Flood Disaster in Jeju area (제주지역 침수재해 취약성 평가)

  • Park, Cha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8-338
    • /
    • 2021
  •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한 광역자치단체인 제주특별자치도는 태풍의 길목에 위치한 지정학적 특성, 한라산 영향에 의한 호우의 산지효과,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상승 가속화 등에 의해 재해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또한, 연안지역에 위치한 주거지, 숙박시설 입지 특성과 더불어 해안가의 개발수요 증가에 따라 재해취약성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침수재해 취약성을 평가하고, 취약지역 특성을 파악한다. 그 결과, 도 내의 취약지역 분포와 취약등급에 따른 지역적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취약지역 여건에 맞는 도시계획적 방재대책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기후변화 심화로 인한 호우 패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방재시설이 필요함은 물론, 취약지역에 적합한 도시계획적 관점의 관리대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Review of the Spatial Unit for Analysis on Disaster Vulnerability of Climate Change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의 공간단위 검토)

  • Park, Jong Young;Lee, Jung Sik;Son, Ho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72-376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취약성 분석에 있어 분석단위가 되는 집계구 단위와 더불어 동 단위를 추가하여 기후노출의 공간분석단위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기후노출에 대한 분석은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매뉴얼(Ver 3.0)에서 제시되고 있는 ArcGIS의 Jenks 최적화방법을 활용하여 네 단계로 구분하였다. 기후노출지표는 폭우재해의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우일수, 연평균 시간최대강우량의 두 가지 지표를 활용하였으며 현재 기후노출지표만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요구되는 기후노출 지표값은 경상북도 인근의 최근 10년간 기상청 강우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공간분석 단위의 검토 결과, 기후노출 지표 특성에 따라 기후노출의 지리적 분포양상은 다르게 나타나며, 현재 매뉴얼에서 제시하고 있는 집계구 단위를 통한 분석과 추가적인 동 단위를 통한 분석은 지역별로 직접영향권과 간접영향권이 뒤바뀌는 양상까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해취약성 분석에 있어 재해특성별 공간분석 단위의 결정은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등의 활용성을 감안해 볼 때 매우 신중히 결정되어야 할 사항이며, 공간분석 단위의 결정에 대한 연구가 향후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Review on the Results of Adjusting Weight in Vulnerability Analysis of Climate Change Driven Disaster - Focused on Sea-level Rise -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방법의 가중치 조정에 따른 결과 비교 검토 - 해수면 상승 재해를 중심으로 -)

  • Kim, Jisook;Kim, Hoyo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3
    • /
    • pp.171-180
    • /
    • 2017
  • The vulnerability analysis of climate change driven disaster has been used as institutional framework for the urban policies of disaster prevention since 2012. However, some problems have occurred due to the structure of vulnerability analysis, such as overweighted variables and duplicated application of variables of similar meaning.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results between the method of current guideline and the method of weight equalization. For this, we examines the current structural framework of the vulnerability analysis, and performs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the extent and magnitude of vulnerability showed different spatial patterns depending on the weighting methods. Standardized weighting method relatively represented wider vulnerable areas compared to the pre-existing method which follows the current instruction manual. To apply the results of vulnerability analysis to urban planning process for disaster preven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should be ensured by improving analytical framework and detailed review of the results.

Disaster Vulnerability Assessment of Kangwon Area with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Disoster Risk index (기후변화시나리오와 재해위험지수를 이용한 강원지역의 재해취약성 평가)

  • Jeung, Se Jin;Lee, Suk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5-25
    • /
    • 2015
  • 본 논문의 목적은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증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기후변화로 연평균 강수량이 1910년대 1,155mm에서 2000년대 1,375mm로 약 19% 증가했으며 21세기말에는 약 17%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부간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에 따르면 미래에는 지구의 연평균기온은 2050년은 $2.3^{\circ}C$ 2100년엔 $4.8^{\circ}C$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하였고, 우리나라의 경우 2050년에 $3.2^{\circ}C$ 2100년에 $6^{\circ}C$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지구적인 문제로 대두되어 온 기후변화 대해 재해취약성 분석을 통하여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의 지역은 강원도의 18개 시, 군 지자체로 하였으며 계산의 평가단위는 각 지자체를 하나의 집계구로 정하였다. 재해취약성 분석 지표로는 현재(2000년)와 미래(2020년, 2050년)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00년에는 영동지역과 원주시가 가장 취약하였으며, 2020년에는 속초와 강릉, 춘천시가, 2050년에는 강원도 중부지역이 가장 취약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

Survey of Panelboard for Weakness Place of Electrical Disaster (전기재해 취약장소의 분전반 실태조사 연구)

  • Lee, Sang-Ick;Kim, Gi-Hyun;Jeon, Hyun-Jae;Bae, Seg-Mye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b
    • /
    • pp.125-127
    • /
    • 2008
  • 전기재해에 취약한 장소에서의 화재는 많은 재산상의 피해와 사망자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기재해에 취약한 장소에서 전기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사전에 예방하고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전기재해에 취약한 장소에서 전기설비를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기재해 취약장소의 실태조사가 뒤따라야 하므로 전기재해 취약장소 중 하나인 재래시장 분전반을 중심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전기재해에 취약한 재래시장에 알맞은 감시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로 활용하고자 국내 17개소 재래시장 분전반의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 PDF

Classification of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based on Natural Hazard Vulnerability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광역도시권 차원의 자연재해 저감방안 연구 -자연재해 취약성에 따른 수도권 도시의 유형화-)

  • Shim, Jae Heon;Kim, Ja Eun;Lee, Sung-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1
    • /
    • pp.5534-5541
    • /
    • 2012
  • This paper classifies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based on natural hazard vulnerability. The procedure of our empirical analysi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s follows: First, it summarizes variables related to natural hazard vulnerability to significant factors, carrying ou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econd, it classifies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conducting cluster analysis using factor scores. Lastly, it proposes differential measures for natural hazard mitigation for classified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based on natural hazard vulnerability.

Comparison of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nd Risk Evaluation of Heat Wave Disasters (폭염재해의 재해취약성분석 및 리스크 평가 비교)

  • Yu-Jeong SEOL;Ho-Yong K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6 no.1
    • /
    • pp.132-144
    • /
    • 2023
  • Recently,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heat waves due to the increase in climate change temperature are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compare the evaluation proces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heat wave disaster evaluation, which is the government's analysis of the heat wave disaster vulnerability and the risk evaluation method recently emphasized by the IPCC. The analysis of climate change disaster vulnerability is evaluated based on manuals and guidelines prepared by the government. Risk evaluation can be evaluated as the product of the possibility of a disaster and its impact, and it is evaluated using the Markov chain Monte Carlo simulation based on Bayesian estimation method, which uses prior information to infer posterior probabi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wo evaluation results for Busan Metropolitan City differed slightly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reas vulnerable to heat waves. In order to properly evaluate disaster vulnerable areas due to climate change, the process and results of climate chang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must be reviewed, and consider each methodology and countermeasures must be prepared.

Development of integrated disaster mapping method (II) : disaster mapping with risk analysis (통합 재해지도 작성 기법 개발(II) : 리스크 분석을 적용한 재해지도 작성)

  • Park, Jun Hyung;Kim, Byung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
    • /
    • pp.85-97
    • /
    • 2022
  • In this study, a method for an integrated flood risk mapping was proposed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the flood inundation map indicating the degree of risk and the disaster vulnerability index. This method creates a new disaster map that can be used in actual situations by providing various and specific information on a single map. In order to consider the human, social and economic factors in the disaster map,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exposure, vulnerability, responsiveness, and recovery factors. Then, 7 indicators for each factor were extracted using the GIS tool. The data extracted by each indicator was classified into grades 1 to 5, and the data was selected as a disaster vulnerability index and used for integrated risk mapping by factor. The risk map for each factor, which overlaps the flood inundatoin map and the disaster vulnerability index factor, was used to establish an evacuation plan by considering regional conditions including population, assets, and buildings. In addition, an integrated risk analysis method that considers risks while converting to a single vulnerability through standardization of the disaster vulnerability index was proposed.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reparedness, response and recovery plans for providing detailed and diverse information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the flood risk including social, humanistic, and economic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