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위험도 평가

Search Result 43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isasters Risk Assessment of Urban Areas by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s (지형공간정보체계에 의한 도시지역 재해위험도 평가)

  • Yoo, Hwan-Hee;Kim, Seong-Sam;Park, Ki-Youn;Choi, Woo-S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3 no.3 s.33
    • /
    • pp.41-52
    • /
    • 2005
  • The high density of population and building; can cause catastrophe in urban areas when natural or artificial disasters break ou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ssess comprehensive disasters risk of urban areas by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we classified disasters risk of urban areas into low categories: flood, fire, building-collapse, and shelter, and then determined factors for hazard risk assessmen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hazard assessment can be applied to minimize the demage of disasters in establishing the urban management planning. For mor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approach the further research is need to consider more disaster assessment factors and join with related experts.

  • PDF

Risk Index Computation of Work Type for Bridge Construction using Accident Cases and the AHP Method (재해사례와 AHP를 이용한 교량공사 위험지수 산정)

  • Seo, Su-Eun;Gang, Gyeong-Sik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9.11a
    • /
    • pp.441-459
    • /
    • 2009
  • 교량공사는 지상작업과 고소작업이 혼재하고 작업공종이 복잡하여 위험성이 높은 공사로 추락, 협착, 붕괴, 낙하 비래 재해의 발생빈도가 높다. 또한, 중량 부재의 운반, 조립, 양중 등의 작업과정에서 유해 위험 기계기구와 건설장비 사용에 따른 유해 위험 요인이 산재하여, 유해 위험의 정도와 재해 발생빈도 및 재해의 강도에 차이가 있어 위험성평가를 통한 정량화된 위험지수의 제시가 필요하다. 위험성 평가는 교량공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량 건설현장의 공종별 유해 위험요인을 세부공종별 요소작업에 따라 분류하고, 재해 발생정도와 피해정도에 따른 위험도가 평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량 건설공사의 재해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정량화된 교량공사 위험지수를 제시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재해예방 활동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특히 교량공사 시공 상의 제반 위험요인을 사전에 점검하여 변경 보완 제거할 수 있는 재해 예방대책을 수립하여 재해를 최소화하는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건설현장에서 위험지수의 고저에 따라 자원을 적정하게 배분한다면 안전관리의 효율성이 제고되고, 궁극적으로 건설재해 감소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s of Risk Characteristic and Risk Perception on Risk Severity of Natural Disaster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치는 효과)

  • Song, Hae-Ryong;Kim, Won-J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4
    • /
    • pp.198-207
    • /
    • 2013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isk characteristic and risk perception on risk severity of natural disaster.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risk severity of natural disaster were classified into geographical disaster, storm and flood damage, drought damage. Typhoon among storm and flood damage showed high scores on risk severity of natural disaster. Moreover participants showed high scores on unfamiliar, undiscoverable, and unknown by scientific knowledge among risk characteristic of natural disaster. Second, risk characteristic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risk perception. Third, risk characteristic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severity of natural disaster. Especially, risk characteristic had great effect on storm and flood damage among natural disaster. Fourth, risk perception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severity of natural disaster. Especially, risk perception had great effect on storm and flood damage among natural disaster.

Risk Assessment and Hazard Information Map Generation of Urban Areas (도시지역 위험도 평가 및 재해정보지도 제작)

  • Park, Ki-Youn;Choi, Woo-Suk;Kim, Weon-Seok;Yoo, Hwan-He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63-368
    • /
    • 2005
  • 도시지역의 토지이용의 고도화로 도시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증가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물들의 재해특성을 분석하고 위험도를 평가하여 재해가 일어나기 전에 발생 위험성을 사전에 분석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이용해 재해정보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위험도항목을 자연조건, 토지이용 및 건축물, 인구, 교통, 위험물취급시설로 구분하여 자료를 구축하고, 항목별 위험도를 설정하여 등급화 하였으며, 침수위험도, 화재위험도, 대피위험도, 건물붕괴 위험도로 구분하여 재해지도를 제작함으로서 해당지역의 지구단위계획을 수립 시 재해요소를 적용할 수 있고, 재해발생시 사전대응 및 대피를 위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truction Site Risk Assessment Operation System (건설현장 위험성평가 운영시스템 구축효과에 관한 연구)

  • Lee, Jae-B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85-186
    • /
    • 2022
  • 2012년 9월부터 건설현장 위험성평가는 안전관리 업무로 의무화되었으나, 해당 근로자가 사전위험성을 추정하고 대책을 수립하여 재해예방 활동으로 연계되기에는 위험성평가 작성부터 어려움이 있다. 위험성평가 운영시스템 구축을 통해 건설현장 근로자가 해당작업의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작업 공종 선택만으로 해당작업의 다양한 위험요인과 안전대책을 제시하고, 해당 공종에서 발생한 재해사례를 보여줌으로써 동종 재해 재발방지 대책수립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위험성평가 활동의 효과분석을 위해 H건설사의 운영평가에서, 위험성평가 운영시스템 구축 이후 건설현장 근로자가 위험성평가 활용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해당공정의 위험요인 추정 및 위험예방 대책 수립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평가기간 동안 재해율 감소에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ssessement of Rockfall Hazard in the Northeast Region of Ulleung-Do (울릉도 북동부 지역의 낙석재해 위험도 평가)

  • Seo, Yong-Seok;Jang, Hyung-Su;Kim, Kwang-Yeom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2 no.3
    • /
    • pp.353-363
    • /
    • 2012
  • The geology of Ulleung-Do is dominated by volcanic rocks with low strength and trachytic rocks with high strength but containing vertical joints that yield easily. Consequently, rockfalls along roadcuts are a major geological hazard, with the potential to affect the ring road of Ulleung-Do.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ree types of rockfall hazard-risk assessment on the 3-km-long section of the ring road expected to have the highest possibility of rockfall. We used a rockfall ranking sheet in a roadside landslide hazard map, the Slope Stability Inspection Manual for National Highways (Japan), and a rockfall hazard rating system for inspection from the Japan Highway Public Corporation. We also employed the evaluation criteria of 'RHRS' developed by the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FHA). An analysis of roadcuts at 27 sites with regard to geographic and geological conditions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three classes of rockfall hazard (high, medium, and low). Of note, over 74% of slopes were assessed as high- and medium-class. Finally, a rockfall hazard map of the northeast region of Ulleung-Do was produced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The in-situ Assessment of GIS-Based Geotechnical Hazard Map (GIS기반 지반재해위험지도의 현장 적용성 평가)

  • Ryu, Ji Hyeob;Seo, Sang Hoon;Hwang, Ui 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6 no.1
    • /
    • pp.35-45
    • /
    • 2013
  • In recent years, increasing damage due to landslides. So the government is to create a geotechnical hazard map.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geotechnical hazard map by using 4 years of landslide cases in Seoul and Busan. And the in-situ aseessment has been carried out in test-bad area with specialists. Study has shown dangerous grade in geotechnical hazard map is more dangerous than the actual. Thus we can utilize geotechnical hazrd map in the purpose of the geotechnical hazard preliminary assessment. However, the in-site inspection and evaluation is required for in order to select the hazard area.

Risk Assessment of Submerged Floating Tunnels based on Fuzzy AHP (퍼지 AHP를 이용한 수중터널의 재해위험도 분석)

  • Han, Sang-H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7
    • /
    • pp.3244-3251
    • /
    • 2012
  •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large marine structure, hazard risk analysis is one of important factors.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hazard risk indexes and evaluates the risk level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SFT on the basis of expert survey and Fuzzy analytic hierarchy process. Hazard risk is divided into natural hazard risk (earthquake, typhoon, tsunami, and ice collision) and human factor hazard risk (fire, explosion, traffic accident, ship or submarine collision). Also, the influence of hazard risk indexes on SFT was evaluated in tunnel tube, supporting system, ventilation tower, foundation, and connection part. As the hazard risk level of SFT is compared with those of bridge, underwater tunnel, and immersed tunnel, the intrinsic risk level of SFT was evaluated. Tsunami and earthquake had higher risk level in natural hazard risk, and the risk levels of fire and explosion were higher in human factor hazard risk. Hazard risk level of SFT was 1.4 times higher than immersed tunnel, and 3.2 times higher than bridge.

Need to Conduct Risk Assessment Using Job Safety Analysis (JSA) at Workplaces Such as Manufacturing Industries (제조업 등의 사업장에서의 작업안전분석(JSA)을 활용한 위험성평가 실시 필요성)

  • Park, Ki-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25-126
    • /
    • 2023
  •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 특히 중대재햬(사망사고)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 후에도 줄어들고 있지 않아 2023년부터 자기규율 예방체계를 중심으로 사업장 스스로 위험요인을 발굴·개선하여 산업재해를 감소하도록 산업재해 예방정책을 실시하고 있다(관계부처합동 산업재해 감축로드맵(2022.12.08.). 23년도 상반기 중대재해는 22년도(301명) 대비하여 17명 감소하여(284명) 다소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산업재해의 88%는 인적요인으로 발생하고 있어 작업자의 실수를 줄이는 것이 중대재해를 줄일 수 있어 JSA를 활용한위험성평가를 실시하여 산업재해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 PDF

소규모 개발지역의 토사재해예측에 관한 연구

  • Park, Ki-Bum;Park, Eun-Yeong;Cha, Sang-Hwa;Kim,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12-515
    • /
    • 2012
  • 최근의 재해 발생은 하천에 의한 범람, 제방의 붕괴 등에 의한 피해발생보다는 일정지역에 국한적으로 내수배제 불량, 토사유출, 산사태 등으로 인한 피해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나 도시지역과 신규개발지역을 중심으로 집중호우로 인한 토사유출 등으로 인한 배수로 막힘, 산사태등의 2차적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1년의 서울의 우면산 산사태 등과 같은 도시중심에서의 피해와 강원도 등의 신규개발지역에서의 토사로 인해 2차, 3차 피해는 국지적이고 예측이 불가능한 곳에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토사유출, 산사태에 의한 예측기법은 최근의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보다 다양한 방법의 접근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기법들이 개발되고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지형의 소규모 개발지의 토사재해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GIS 기술을 이용한 사면의 안정성과 산사태 위험성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Pack et al. (1998)이 제안한 수리적 무한사면 안정모델과 결합하여 사면안정분석을 위해 개발된 SINMAP을 이용하여 소규모 개발지역의 토석류 해석과 사면의 안정성 검토 그리고 범용토양공식을 이용하여 토사유출량을 산정하여 개발지역내 사면 및 토사재해의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GIS를 이용한 지형적 특성에 따른 사면의 위험성과 토사유출량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소규모 개발지역의 토사재해의 위험성을 정량적이고 다각적으로 평가하여 재해발생에 따른 위험성을 노출하고 이에 대한 대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