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위험도

Search Result 1,18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Areas Considering of Root Cohesion and Crown Density (뿌리점착력과 수관밀도를 적용한 토사재해 위험지역 예측)

  • Choi, Won-Il;Choi, Eun-Hwa;Suh, Jin-Won;Jeon, Seong-K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7 no.6
    • /
    • pp.13-21
    • /
    • 2016
  • Since the landslide hazard areas prediction was analyzed by slope-angle and soil properties, regional characteristics is not taken. Therefore, in order to make more rational predic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ree roots have been known to increase soil cohesion in landslide hazard areas and to vary the degrees depending on the tree type. In addition, a reasonable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areas can be made by considering crown density based on crown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area of interest. In this study, using the roots cohesion considering the crown density of the trees, which is in the landslides risk areas around Mt. Gwehwa in Sejong City, the landslides risk areas were predicted and compared with predicted results obtained by not considering root cohesion.

Study on Inundation Analysis of Natural Hazard Area (재해위험지구 침수해석에 관한 연구)

  • Jun, Kye Won;Yeon, Gyu Bang;Jang, Chang Deo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02-202
    • /
    • 2011
  • 상습침수지역 산사태위험지역 등 지형적인 여건 등으로 인해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관리하기 위하여 "자연재해대책법"에 의해 지정되는 지구를 자연재해위험지구라 하며 특히 집중호우에 의한 도심지 주변 상습침수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해석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삼척시의 상습침수지역인 오십천 주변 자원동일대를 대상으로 수문학적 인자인 강우자료와 지형자료를 조사하고 도시유역 유출해석모형인 XP-SWMM을 적용하여 유출부에서의 본류수심을 고려한 재해위험지역의 하천범람과 내수침수 범위를 산정하였다. 연구지역은 GIS 프로그램인 ArcView를 이용하여 총 16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총 노드 75개 총 링크 74개를 생성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2년, 2003년의 태풍발생에 의해 침수된 지역의 특성을 하류지역의 경우 잘 반영하였으며 상류지역의 경우는 얕은 침수심을 갖으며 좀 더 넓게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Seismic Failure Probability of the Korean Disaster Risk Fill Dams Estimated by Considering Freeboard Only (여유고만으로 추정된 국내 재해위험 저수지의 지진시 파괴확률)

  • Ha, Ik Soo;Lee, Soo Gwun;Lim, Jeong Yeul;Jung, Young H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3
    • /
    • pp.451-461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methods and procedures for estimating the failure probability of small fill dams subjected to earthquake events and to estimate the seismic failure probability of the Korean disaster risk fill dams where geotechnical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In this study, first of all, seismic failure probabilities of 7 disaster risk small fill dams, where geotechnical information is available, were evaluated using event tree analysis. Also, the methods and procedures for evaluating probabilities are illu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m height and freeboard for 84 disaster risk small dams, for which the safety diagnosis reports are available, was examined. This relationship was associated with the failure computation equation contained in the toolbox of US Army corps of engineers. From this association, the dam height-freeborard critical curve, which represents 'zero' failure probability, was derived. The seismic failure probability of the Korean disaster risk fill dams was estimated using the critical curve and the failure probabilities computed for 7 small dams.

A Study on Integrated Assessment of Baekdu Mountain Volcanic Aisaster risk Based on GIS (GIS기법을 이용한 백두산 화산재해 종합평가 연구)

  • Xiao-Jiao, Ni;Choi, Yun Soo;Ying, Na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4
    • /
    • pp.77-87
    • /
    • 2014
  • Recently there are many disasters caused by volcanic activities such as the eruptions in Tungurahua, Ecuador(2014) and $Eyjafjallaj\ddot{o}kull$, Iceland(2010).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the disasters. This study analyzes the Baekdu Mountain area, where is the risky area because it is active volcano, based on the observed data and scientific methods in order to assess a risk, produce a hazard map and analyze a degree of risk caused by the volcano. Firstly, it is reviewed for the research about the Baekdu mountain volcanic eruption in 1215(${\pm}15$ years) done by Liu Ruoxin. And the factors causing volcanic disaster, environmental effects, and vulnerability of Baekdu Mountain are assessed by the dataset, which includes the earthquake monitoring data, the volcanic deformation monitoring data, the volcanic fluid geochemical monitoring data, and the socio-economic statistics data. A hazard, especially caused by a volcano, distribution map for the Baekdu Mountain Area is produced by using the assessment results, and the map is used to establish the disaster risk index system which has the four phases. The first and second phases are very high risky area when the Baekdu Mountain erupts, and the third and fourth phases are less dangerous area. The map shows that the center of mountain has the first phase and the farther area from the center has the lower phase. Also, the western of Baekdu Mountain is more vulnerable to get the risk than the eastern when the factors causing volcanic disasters are equally applied. It seems to be caused by the lower stability of the environment and the higher vulnerability.

Risk Priority Number of Chemical Facilities by the Risk Assessment of Injury Analysis in the Chemical Plant (재해분석을 통한 화학공장의 위험성 평가에 따른 화학설비의 위험도 우선순위)

  • Shin, Woon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7 no.4
    • /
    • pp.39-44
    • /
    • 2013
  • There have been large explosions at some chemical plants recently. Accidents in chemical plants have been caused mainly by servicing for maintenance. There is a need to find a key target for effective injury prevention in maintenance. In this paper, facilities were selected as a key target and the risk priority numbers of the facilitie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prioritize preventative measures.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the followings; the list of the facilities is found through injury analysis. Then, the risk of each facility was calculated by the frequency of accidents and the working day loss through injuries. In addition, the risk of the facilities was calculated again by the frequency and the severity based on knowledge and experience of experts. As a result, the facilities in chemical plant maintenance are ranked in order of high to low risk priority number; reactor, dryer, tank lorry, etc. In the future, special measures and attention should be directed according to the risk priority number during the maintenance of chemical plants.

소규모 개발지역의 토사재해예측에 관한 연구

  • Park, Ki-Bum;Park, Eun-Yeong;Cha, Sang-Hwa;Kim,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12-515
    • /
    • 2012
  • 최근의 재해 발생은 하천에 의한 범람, 제방의 붕괴 등에 의한 피해발생보다는 일정지역에 국한적으로 내수배제 불량, 토사유출, 산사태 등으로 인한 피해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나 도시지역과 신규개발지역을 중심으로 집중호우로 인한 토사유출 등으로 인한 배수로 막힘, 산사태등의 2차적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1년의 서울의 우면산 산사태 등과 같은 도시중심에서의 피해와 강원도 등의 신규개발지역에서의 토사로 인해 2차, 3차 피해는 국지적이고 예측이 불가능한 곳에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토사유출, 산사태에 의한 예측기법은 최근의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보다 다양한 방법의 접근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기법들이 개발되고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지형의 소규모 개발지의 토사재해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GIS 기술을 이용한 사면의 안정성과 산사태 위험성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Pack et al. (1998)이 제안한 수리적 무한사면 안정모델과 결합하여 사면안정분석을 위해 개발된 SINMAP을 이용하여 소규모 개발지역의 토석류 해석과 사면의 안정성 검토 그리고 범용토양공식을 이용하여 토사유출량을 산정하여 개발지역내 사면 및 토사재해의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GIS를 이용한 지형적 특성에 따른 사면의 위험성과 토사유출량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소규모 개발지역의 토사재해의 위험성을 정량적이고 다각적으로 평가하여 재해발생에 따른 위험성을 노출하고 이에 대한 대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Method for Constructing of Inventory based on Importance, Risk, Damages Estimation of Facilities in TB Area for Rapid Disaster Response (신속한 재해 대응을 위한 TB지역의 시설물 중요도·위험도·피해액 산정 기반 인벤토리 구축)

  • Choi, Soo Young;Kim, Jin Man;Jo, Myu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99-59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에 따른 재해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위하여 시설물의 중요도 위험도 피해액 평가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인벤토리 구축을 수행하기 위해서 재해에 따른 시설물의 위험 발생 시 피해 시설물에 대한 구분 및 분류가 이루어져야한다. 하지만 재난관리가 수행되어야 하는 시설물 건축물의 정보가 정부 여러 기관에서 각기 다른 형태의 정보로 관리되어짐으로써 재난관리 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HAZUS-MH와 DIMSuS의 위험도와 중요도 개념을 기반으로 피해 시설물의 중요도, 위험도 등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들을 선정하고 국내 시설물 분류, 건축법규 및 자산 가치 산정 정보를 활용하여 시설물 재해 대응을 위한 인벤토리 구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성서산업단지를 TB지역으로 선정하고, TB지역내의 수변구조물, 산업시설, 주거시설 등 다양한 시설물의 속성 정보를 수집 구축하였다. 또한 신속한 재해 대응을 위해서는 시설물 정보와 공간정보를 융합한 복합적인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TB지역의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속성 정보와 연계하여 통합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벤토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신속한 재해 대응을 위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Risk Transference Processes of Natural Hazard - Focus on the human adjustment according socio-economic structure - (자연재해의 위험성 전이 과정에 대한 연구 - 사회.경제적 구조에 따른 인간의 적응양식을 중심으로 -)

  • Park, Eui-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8 no.2
    • /
    • pp.247-255
    • /
    • 2002
  • In recent decades,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hazard has been changed and the global cost of natural disasters has increased substantially. There are several trends in society and nature that suggest this pattern may continue, with more frequent mega-disasters occurring in the future. In particular, risk perception that is at odds with the "real" risk underlies the process of risk transference increases long-term vulnerability. Therefore investigating the correct risk transference and adjustments according to regional socio-economic structure can mitigate and reduce environmental, so called man-made hazard.

  • PDF

화재안전 및 보험상식 - 여름철 풍수재해 위험관리 및 보험

  • 한국화재보험협회
    • 방재와보험
    • /
    • s.141
    • /
    • pp.58-59
    • /
    • 2011
  •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등으로 인한 기상이변으로 최근 50년간 집중호우일수가 50% 증가하고, 강우패턴 변화로 인한 기상재해 총 피해액은 연평균 2조 9천억 원에 달하는 등 풍수재로 인한 피해가 매년 급증하고 있다. 특히, 여름철에 발생되는 태풍이나 홍수에 의한 자연재해로 보험사고가 빈번하여, 이번 호에는 여름철 풍수재해 위험 관리 및 재해유형별 보험상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포장과 법률 -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346
    • /
    • pp.98-103
    • /
    • 2022
  • 지난 1월 27일부터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약칭 :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었다. 중대재해를 예방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해 경영자에게 안전보건 확보 의무를 부여하는 중대재해처벌법은 현장의 위험요인을 일상적으로 확인하고 개선하는 절차를 마련하고 이를 이행할 것, 그리고 위험요인 개선을 위해 필요한 인력, 예산 등을 갖추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다음에 그 주요내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